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Volume 17 Issue 3
- /
- Pages.65-74
- /
- 2014
- /
- 1598-5016(pISSN)
- /
- 2733-9785(eISSN)
An analysis of the mobile learning usages of adult learners and the effects of their perceptions of mobile learning to their learning achievements in a cyber-university
사이버대학 성인학습자의 모바일러닝 활용실태 분석 및 학업성취도에 대한 모바일러닝 관련 인식의 영향 탐색
- 이의길 (고려사이버대학교 평생교육학과)
- Received : 2014.03.17
- Accepted : 2014.04.29
- Published : 2014.05.29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mobile learning usages of adult learners and how their perceptions of the mobile learning affects their learning achievements in a cyber-university. 1,118 online adult learners who enrolled in a cyber-university in Korea were involved in this study and the data for their demographic information, mobile learning usages, the perceptions of mobile learning(self-efficacy for mobile learning,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and learning satisfaction) and the learning achievement were collected.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ubjects in this study showed higher participation rates in the mobile learning with recently introduced mobile devices compared to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hey also showed the need of more learning materials and video streamed lectures. Second, the higher-aged subjects showed relatively higher levels of perception of mobile learning compared to the lower-aged group. Third, the effects of the subjects' perceptions of mobile learning to their learning achievement seem to be limited. It was recommended to enhance the quality of the mobile learning especially consider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the learning achievement.
본 연구는 사이버대학 성인학습자의 모바일러닝 시스템 활용실태를 분석하고 이들의 모바일러닝 관련 인식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2013학년도 1학기 국내 한 사이버대학에 등록한 재학생중 1,118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이들의 인구학적 정보, 모바일러닝 활용실태 및 이에 대한 인식수준(모바일 자기효능감, 용이성, 유용성, 만족도), 학업성취도를 수집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목적에 따라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들은 선행연구의 결과와 비교할 때 최신 모바일기기를 활용하여 보다 적극적으로 모바일러닝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보조자료의 제공, 동영상강의에 대한 확충 등이 보완사항으로 제시되었다. 둘째, 연령이 높은 연구대상자들의 모바일러닝에 대한 전반적 인식수준이 낮은 집단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 상황에서 모바일러닝 관련 변인이 학업성취도에 기여하는 정도는 제한적이었다. 특히 모바일러닝의 유용성과 학업성취도 간 관계를 고려할 때 모바일러닝의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꾸준히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