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ssessment of Basic Physical Activity for Elderly Women in Long-Term Care Facilities

요양시설 거주 여성노인의 기초신체활동 측정 평가

  • 강혜경 (한양대학교 간호학부 노인간호학실)
  • Received : 2014.05.30
  • Accepted : 2014.07.14
  • Published : 2014.07.28

Abstract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basic level of physical activity test that reflects activity of daily living(ADL) for institutionalized elderly women. The subjects were 105 elderly women over than 65 years living in long-term care facilities located in Daejeon and Chungnam. The measured eight items related to ADL were tested and the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OVA, factors analysis and correlation.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eight test items, two factors(muscle strength and mobility) were extracted by principal component factor analysis(PCA). The two factors are appropriate domains for assessment of basic physical activity of institutionalized elderly women. By using Pearson's correlation, between two factors and age, the first principal component scor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age increasing. Degradation of ADL must be prevented for institutionalized elderly women through maintain muscle strength and mobility.

본 연구의 목적은 시설거주 여성노인의 일상생활동작이 반영된 기초신체활동을 측정하여 대상자들의 기초신체활동의 기본적인 필수 측정요소와 측정항목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대상자는 대전과 충남에 소재한 장기요양시설 4곳의 만 65세 이상 여성노인 105명이며, 일상생활동작이 반영된 8개 항목(악력, 스텝 테스트, 의자에서 앉았다 일어나기, 한발 서기, 기능적 팔 뻗기, 8자 보행, 5m 보행, 일어서고 걷기)을 측정하였다. 자료는 평균과 표준편차, 요인분석, ANOVA, 그리고 피어슨의 상관관계로 분석하였다. 연령집단 간각 종목의 평균을 분석한 결과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각 측정항목의 결과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8개 측정항목은 요인분석을 통해 근력과 이동능력 두 영역으로 제시하였다. 시설거주 여성노인에게 중요한 체력요소인 이 근력과 이동능력 영역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따라서 시설거주 여성노인의 운동을 위한 간호전략에 있어 근력 및 이동능력의 요소가 고려되어야 하며, 이 두 영역에 대한 측정항목 또한 객관적인 지표가 마련되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2013 고령자 통계, 노년부양비 및 노령화지수, http://kostat.go.kr/wnsearch/search.jsp
  2. 이명숙, "저소득층 전기여성노인과 후기여성노인의 영양위험, 지각된 건강상태와 우울", 농촌의학지역보건, 제37권, 제1호, pp.12-22, 2012. https://doi.org/10.5393/JAMCH.2012.37.1.012
  3. 현혜순, 이인숙, "우리나라 지역사회 재가노인의 체질량지수 관련 요인: 전기 및 후기노인비교",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4권, 제1호, pp.62-73, 2013.
  4. 보건복지부, 우리나라 보건의료 실태분석결과 -OECD Health Data 2008 주요내용, 보건복지부 통계담당관, 2008.
  5. 국민건강보험공단 노인장기요양보험, 2011 노인복지시설현황, http://www.longtermcare.or.kr/portal/site/nydev/MENUITEM_DATA
  6. 신경아, "노인 돌봄의 탈 가족화와 노인의 경험: 재가노인과 시설노인의 경험연구", 한국사회학회, 제45권, 제4호, pp.64-96, 2011.
  7. 김인숙, 강승주, "일 지역 장기요양시설 노인의 간호요구", 조선의대논문집, 제32권, 제3호, pp.62-70, 2007.
  8. J. Rice and W. L. Keogh, "Power training: can it improve functional performance in older adults? A systematic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Exercise Science, Vol.2, No.2, pp.131-151, 2009.
  9. S. K. Inouye, S. Studenski, M. E. Tinetti, and G. A. Kuchel, "Geriatric syndromes: clinical, research, and policy implications of a core geriatric concept," Journal America Geriatric Society, Vol.55, No.5, pp.780-791, 2007. https://doi.org/10.1111/j.1532-5415.2007.01156.x
  10. 이미영, "여성노인들의 생활 체력과 낙상발생 및 불안과의 관련성", 한국스포츠학회, 제11권, 제2호, pp.479-487, 2005.
  11. J. L. Durstine, A. Moore, P. Painter, and S. Roberts, ACSM's Exercise Management for Persons with Chronic Diseases and Disabilities (third ed.),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2009.
  12. 전소자, 주영희, 정경옥, "일개지역 노인의 일상 생활 수행능력과 우울에 관한 연구", 김천과학대학논문집, 제37권, pp.53-63, 2011.
  13. 오혜경, 이수경, 석소현, 김귀분, "시설노인의 일상생활능력, 자기 효능감 및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연구", 동서간호학연구지, 제13권, 제1호, pp.48-56, 2007.
  14. 김은하, 김영경, "요양시설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성인간호학회지, 제22권, 제3호, pp.281-290, 2010.
  15. 배상열, 고대식, 노지숙, 이병훈, 박형수, 박종, "한국 노인의 신체활동과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0호, pp.255-266, 2010. https://doi.org/10.5392/JKCA.10.10.255
  16. 정재웅, 장호석, "도시거주노인의 건강에 관한 신체기능 평가", 한국 스포츠 리서치, 제15권, 제6호, pp.257-268, 2004.
  17.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ACSM), Exercise and the older adult, www.acsm.org/docs/.../exerciseandtheolder adult, 2008.
  18. 권봉안, 정윤만, 안자희, 노인들을 위한 기능적 운동, 대한미디어, 2006.
  19. 황지선, 이원준, "노화와 근감소증: 저항성 운동과 단백질 섭취", 이화체육논문집, 제12권, pp.15-20, 2009.
  20. 변용현, 김상훈, 김태수, "시설거주 여성노인의 체질량지수 차이가 신체구성, 심폐적성과 슬관절등속성 근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52권, 제1호, pp.789-799, 2013.
  21. 최명애, 채영란, 김증임, 전미양, "노인의 건강상태와 건강관련 생활 숩관,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신체생리 지수의 한일 비교연구", 성인간호학회지, 제18권, 제4호, pp.612-621, 2006.
  22. 김현숙, "운동프로그램이 양로원 노인의 체력과 일상활동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제8권, 제3호, pp.53-61, 2001.
  23. 이경옥, 김미예, 이기화, 한혜원, 임호남, 임혜옥, "여성의 체성분 분석", 한국여성체육학회지, 제14권, 제1호, pp.159-175, 2000.
  24. 이미숙, "고령여성의 BMI 수준별 생활체력 비교",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제11권, 제2호, pp.17-27, 2009.
  25. D. P. Schoenfelder and L. M. Rubenstein, "An exercise program to improve fall related outcomes in elderly nursing home residents," Applied Nursing Research, Vol.17, No.1, pp.21-31, 2004. https://doi.org/10.1016/j.apnr.2003.10.008
  26. 정도상, "여성 고령자의 활동체력연령 추정",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51권, 제2호, pp.667-675, 2013.
  27. 한지원, 김태희, 주진형, 박준혁, 김정란, 유승호, 문석우, 추일한, 이동우, 윤종철, 도연자, 이석범, 김문두, 김기웅, "치매 선별용 간이정신상태검사와 단축형의 한국노인 정상규준 연구", 한국노인정신의학, 제14권, pp.24-37, 2010.
  28. 최희연, 장명제, 김형돈, "여성노인의 활동체력 평가 및 지표개발",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제13권, 제3호, pp.33-42, 2011.
  29. M. E. Rogers, J. E. Fernandez, and R. M. Bohlken, "Training to reduce postural sway and increase functional reach in the elderly," Journal of Occupational Re-habilitation, Vol.11, No.4, pp.291-298, 2001. https://doi.org/10.1023/A:1013300725964
  30. A. G. Vinsnes, J. L. Helbostad, S. Nyronning, G. E. Harkless, R. Granbo, and A. Seim, "Effect of physical training on urinary incontinence: a randomized parallel group trial in nursing homes," Clinical Interventions In Aging, Vol.7, pp.45-50, 2012.
  31. R. E. Rikli and C. J. Jones, Senior fitness test manual, California State University, Fullerton, 2001.
  32.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ACSM), (역)대한운동사협회, 운동검사 및 처방, 한미의학, 2011.
  33. T. Michikawa, Y. Nishiwaki, T. Takebavashi and Y. Toyama, "One-leg standing test for elderly populations," Journal of Orthopaedic Science, Vol.14, No.5, pp.675-685, 2009. https://doi.org/10.1007/s00776-009-1371-6
  34. 유승희, 노호성, "고령여성의 생활체력 측정 및 평가기준과 지표개발", 한국체육학회지, 제40권, 제3호, pp.565-574, 2001.
  35. 이미숙, 조준용, 차정훈, 조정환, 김현수, K. Tanaka, Y. Sugiyama, N. Takeshima, "한국과 일본 고령자의 신체구성, 일상생활활동능력, 건강 관련 체력, 신체활동수준평가",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제10권, 제2호, pp.79-100, 2008.
  36. 성순창, 이만균, 김현수, "남성노인의 연령과 넘어짐 경험 및 운동습관이 활동체력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제13권, 제3호, pp.367-379, 2004.
  37. 문정화, 옥정석, 박우영, "낙상 유경험자 여성노인의 12주 운동프로그램 수행이 근육적성 및 유연성, 평형성에 미치는 효과", 운동과학, 제13권, 제1호, pp.77-86, 2004.
  38. 강선영, "요가 프로그램이 여성노인의 낙상 두려움과 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지, 제24권, 제3호, pp.179-189, 2010.
  39. 이경호, "한국무용의 균형 잡기 동작 프로그램이 여성노인들의 하지근지구력, 유연성 및 평형성에 미치는 영향", 무용예술학연구, 제29권, pp.47-64, 2010.
  40. 김희걸, 남혜경, "세라밴드 운동이 여성노인의 유연성, 평형성, 근력에 미치는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2권, 제4호, pp.451-457, 2011.
  41. 이미숙, "고령자 기능체력 평가 방안",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제2권, 제2호, pp.79-90,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