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istics of Cultural Exchanges, Self-efficacy, and Cultural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교류 특성 및 자기 효능감과 문화적 역량의 관계

  • 양선이 (제주한라대학교 간호학과)
  • Received : 2014.04.11
  • Accepted : 2014.05.30
  • Published : 2014.07.28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ed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istics of cultural exchanges, self-efficacy and cultural competence in Korean nursing students. Method: A total of 301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the use of questionnaires which were constructed to include the General Self-efficacy Scale, the Caffery Cultural Competence Healthcare Scale(CCCHS), and the Cultural Competence Assessment(CCA). Result: Self-efficacy and cultural competency of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shown to have moderate levels (Self-efficacy: M=3.0, SD=0.38; Cultural competency: M=2.8, SD=0.55). And the nursing students who have higher grade and foreign friends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ly higher self-efficacy and cultural competence. Moreover,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cultural competency (r=.394, p .001).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nursing students need to enhance cultural exchanges and self-efficacy to reinforce cultural competence.

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자기 효능감과 문화적 역량 정도, 문화적 교류 특성 및 자기 효능감과 문화적 역량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본 연구의 대상자로 일 대학의 간호대학생 301명이 참여하였다. 자료 수집은 General Self-efficacy Scale, the Caffrey Cultural Competence Healthcare Scale(CCCHS), The Cultural Competence Assessment(CCA) 도구들을 통하여 설문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 결과 자기 효능감과 문화적 역량 정도는 중간수준(자기 효능감: M=3.0, SD=0.38; 문화적 역량: M=2.8, SD=0.55)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간호대학생의 학년이 높을수록 외국인 친구가 있을수록 유의미하게 높은 자기 효능감과 문화적 역량 정도를 나타냈다. 더 나아가 자기 효능감과 문화적 역량의 상관성(r=.394, p < .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교류 및 자기 효능감 증진을 통하여 문화적 역량을 강화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References

  1. 안전행정부, 외국인주민수 144만 5천명, 주민등록 인구 대비 2.8%. Retrieved March 2, 2013, http://www.mospa.go.kr/frt/bbs/type010/commonSelectBoardArticle.do?bbsId=BBSMSTR_000000000008&nttId=29783/
  2. 이삼식, 전영준, 신화연, 저출산 고령사회에서 외국인 유입의 파급효과 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3. 김선희, "간호사의 문화간호 자기효능감과 문화 간호역량 교육 요구",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제43권 제1호, pp.102-113, 2013. DOI: http://dx.doi.org/10.4040/jkan.2013.43.1.102.
  4. 정면숙, "우리나라 보건의료 관련 다문화 정책의 현황과 과제: 간호학적 측면에 대한 고찰", 서울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제6권, 제1호, pp.1-20, 2009.
  5. P. L. Donnelly, "Ethics and cross-cultural nursing," Journal of Transcultural Nursing, Vol.11, No.2, pp.119-126, 2000. https://doi.org/10.1177/104365960001100206
  6. J. Campinha-Bacote, "Becoming culturally competent in ethnic psychopharmacology," Journal of Psychosocial Nursing and Mental Health Services, Vol.45, No.9, pp.27-33, 2007.
  7. 오원옥,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민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아동간호학회지, 제17권, 제4호, pp.222-229, 2011. https://doi.org/10.4094/jkachn.2011.17.4.222
  8. 양선이, 임효남, 이주희, "간호대학생의 공감 능력과 문화적 역량과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9권, 제2호, pp.183-193, 2013. https://doi.org/10.5977/jkasne.2013.19.2.183
  9. 채덕희, 박윤희, 강경화, 이태화, "종합병원 간호사의 문화적 역량수준과 영향요인", 간호행정학회, 제18권, 제1호, pp.76-86, 2012.
  10. J. Campinha-Bacote, "A model and instrument for addressing cultural competence in health car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Vol.38, pp.203-207, 1999.
  11. A. Bandur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Pack, K.B. Trans.), NY: Freeman and Company, 2001.
  12. 심미정, 오효숙, "간호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및 자기주도적 학습태도가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6호, pp.328-337,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6.328
  13. M. S. Cronin, Enhancing the cultural competence of social work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eshiva University, NewYork, 2005.
  14. F. Faul, E. Erdfelder, A. G. Lang, and A. Buchner,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Vol.39, No.2, pp.175-191, 2007. https://doi.org/10.3758/BF03193146
  15. M. Sherer, J. E. Maddux, B. Mercadante, S. Prentice-Dunn, B. Jacobs, and R. W. Rogers,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Vol.51, pp.663-671, 1982. https://doi.org/10.2466/pr0.1982.51.2.663
  16. 전상원, 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용인, 2009.
  17. R. A. Caffrey, W. Neander, D. Markle, and B. Stewart, "Improving the cultur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Results of integrating cultural content in the curriculum and an international immersion experienc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Vol.44, No.5, pp.234-240, 2005.
  18. S. M. Schim, A. Z. Doorenbos, J. Miller, and R. Benkert, "Development of a Cultural Competence Assessment instrument," Journal of Nursing Measurement, Vol.11, No.1, pp.29-40, 2003. https://doi.org/10.1891/jnum.11.1.29.52062
  19. M. R. Jeffreys, Teaching cultural competence in nursing and health care (2nd ed.), Springer, 2010.
  20. M. R. Jeffreys and E. Dogan, "Evaluating the influence of cultural competence education on students' transcultural self-efficacy perceptions," Journal of Transcultural Nursing, Vol.23, No.2, pp.188-197, 2012. https://doi.org/10.1177/1043659611423836
  21. 황중원,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들의 자기효능감이 문화역량에 미치는 영향: 매개변수 전문직업성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광주, 2013.
  22. 이정임, 간호사의 문화적 역량과 공감과의 관계, 한림대학교 간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춘천, 2012.
  23. 픽은희, 박재순, "다문화 교육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 공감능력,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제43권, 제5호, pp.690-696, 2013. DOI: http://dx.doi.org/10.4040/jkan.2013.43.5.6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