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amination of Factors Influencing Supports for Regulation Toward Girl Groups' Suggestive Performance: Focusing on the Third-person Effect

걸그룹의 선정적 퍼포먼스 규제 태도 영향 요인에 대한 고찰: 제 3자 효과를 중심으로

  • 이성준 (청주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Received : 2014.03.31
  • Accepted : 2014.05.14
  • Published : 2014.07.28

Abstract

This study has two major purposes. First, this research empirically tests whether there are the impacts of the third-person effects on individuals' perceptions of the girl groups' suggestive performance. The second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erceptual biased toward the influences of the girl groups's suggestive performances and the supports for regulation. For this purpose, this paper investigated individuals' perception of different degrees to which the suggestive performance has influences on three dissimilar groups including 'the self', 'colleagues' and 'the others' and how they affect supports for regulation. An online survey was administrated on 305 people who have watched the girl groups' lasciviousness performance for data gathering.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 multiple and hierarchical regress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the effect of suggestive performance on three groups including 'the self', 'colleagues' and 'the others'. The findings also revealed that the perception of the effects of lasciviousness performance on 'the others' is one of the strongest predictors for the supports for regulation.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were also discussed.

본 연구는 두 가지 주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첫 번째는 걸그룹의 선정적 퍼포먼스 영향력에 대한 수용자들의 인식 차원에서의 제 3자 효과가 실제로 발생하는 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두 번째로, 선정적인 퍼포먼스에 대한 지각적 편향이 선정적 퍼포먼스 규제 태도와 어떤 연관성을 지니는 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걸그룹의 선정적 퍼포먼스가 수용자가 지각하는 자기 자신, 주위 동료 및 타인에게 미치는 영향력 정도의 차이를 검증하였고, 지각 정도의 차이가 규제 태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를 연구 모델과 가설을 수립하고 살펴보았다. 자료 수집을 위해서 최근 걸그룹의 선정적 퍼포먼스를 본 305명을 중심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 검증, 다중, 위계적 회귀 방법에 의해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수용자들은 선정적인 퍼포먼스가 자신과 동료, 그리고 타인에게 미치는 영향력 정도가 다르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타인에게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지각 정도가 규제지지 태도에 강한 영향력을 미치는 중요 요소임이 증명되었다. 결과가 지니는 함의에 대해서도 토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영찬, 오현주, "'아이돌 장르'의 부상에 따른 아이돌 스타덤 연구: KBS 드라마 <드림하이>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25권, 제6호, pp.125-161, 2011.
  2. 정소하, 유영선, "K-Pop 걸그룹의 패션에 나타난 이미지 연출 특성에 대한 분석", 복식, 제63권, 제2호, pp.98-109, 2013.
  3. 김수경, "여성 아이돌 그룹 의상의 특성", 한국디자인포럼, 제33권, pp.329-342, 2011.
  4. 김수아, "소녀 이미지의 볼거리화와 소비 방식의 구성: 소녀 그룹의 삼촌 팬 담론 구성", 미디어, 젠더 & 문화, 제15호, pp.79-119, 2010.
  5.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4&no=262774
  6.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6793316
  7. 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SCD=JI71&newsid=01341526606020040&DCD=A407&OutLnkChk=Y
  8. 박수경, 최명일, 정은정, "소셜테이너 활동 관련 보도와 제3자 효과에 관한 연구", 방송통신연구, 제85호, pp.135-163, 2013.
  9. W. P. Davison, "The Third Person Effect in Communication," Public Opinion Quarterly, Vol.47, pp.1-15, 1983. https://doi.org/10.1086/268763
  10. 유홍식, "악성 댓글에 대한 제 3자 효과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4권, 제5호, pp.238-278, 2010.
  11. 정재민, "대부업 광고에 대한 제 3자 효과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1권, 제6호, pp.111-134, 2007.
  12. 하승태, 이정교, "청소년시청보호시간대와 비보 호시간대의 TV 선정성 수준 비교: 등장인물의 인구학적, 사회관계적, 언어적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제20권, 제4호, pp.133-157, 2009.
  13. S. Martino, R. L. Collins, M. N. Elliot, A. Strachman, D. N. Kanouse, and S. H. Berry, "Exposure to Degrading Versus Nondegrading Music Lyrics and Sexual Behavior among Youth," Pediatrics, Vol.118, No.2, pp.430-441, 2006. https://doi.org/10.1542/peds.2006-1061
  14. 이세용, "인터넷과 청소년의 성의식", 정보와 사회, 제2권, pp.154-182, 2000.
  15. 이성식, "청소년 인터넷음란물 접촉이 성폭력에 미치는 영향에서의 조건적 효과", 청소년학연구, 제11권, 제2호, pp.22-45, 2000.
  16. D. Linz, E. Donnerstein, and S. Penrod, "The Effect of Multiple Exposure to Filmed Viloence against Women," Journal of Communication, Vol.34, pp.130-147, 1984. https://doi.org/10.1111/j.1460-2466.1984.tb02180.x
  17. 한균태, 차동필, 최수진, "포르노마? 공중파와 케이블 자체제작 드라마의 선정성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23집, 제3호, pp.252-282, 2007.
  18. 하승태, 박범길, 이정교, "한국 지상파 텔레비전에 나타난 선정성 유형 및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4권, 제1호, pp.73-112, 2010.
  19. 송경희, 방송프로그램 등급체제 마련을 위한 수용자 연구, 한국방송영상진흥원, 1997.
  20. 이기현, 박웅진, 텔레비전 모니터 보고서 99-2, 한국방송영상진흥원, 1999.
  21. 이대식, 국내 뮤직비디오 표현양식에서의 선정성 및 폭력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22. 김형지, 윤영민, "청소년 대상 음악프로그램의 선정성 연구: 지상파 방송 3사를 중심으로", 제25권, 제5호, pp.49-88, 2011.
  23. A. C. Gunther, "Overrating the X-Rating: The Third-Person Perception and Support for Censorship of Pornography," Journal of Communication, Vol.45, No.1, pp.21-39, 1995.
  24. 양승목, "여론조사와 제 3자효과: 여론조사의 영향에 대한 국회의원의 지각적 편향을 중심으로", 언론과사회, 제18호, pp.6-28, 1997.
  25. 한균태, 차동필, "금연광고와 제 3자 효과: 중고등학교 학생들을 중심으로", 광고연구, 제56호, pp.263-286, 2002.
  26. 김인숙, "연예인 자살보도와 제 3자 효과: 언론의 연예인 자살보도에 대한 태도, 미디어 이용, 미디어 규제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제9권, 제3호, pp.5-36, 2009.
  27. 윤태일, 심재철, 글렌 레슈너, "안티 사이트의 제3자 효과: 타인반응에 대한 지식과 동의수준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47권, 제1호, pp.31-55, 2003.
  28. 한미정, 김종은, "미디어 효과 지각과 광고규제 및 보도강화에 대한 태도: 음주, 흡연, AIDS이슈에 대한 제 3자 효과, 제1자 효과를 중심으로", 방송통신연구, 제58권, pp.301-328, 2004.
  29. 유홍식, "인터넷게임에 대한 제3자 편향적 지각과 규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제11권, 제2호, pp.333-364, 2011.
  30. W. Peiser and J. Peter, "Third-Person Perception of Television-Viewing Behavior," Journal of Communication, Vol.50, No.1, pp.25-43, 2000. https://doi.org/10.1111/j.1460-2466.2000.tb02832.x
  31. 양승찬, "제 3자 효과 가설과 침묵의 나선 이론의 연계성-여론조사 보도에 대한 제 3자 효과 지각과 공개적 의견 표명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43권, 제2호, pp.109-141, 1998.
  32. 김옥태, 김규찬, "언론의 신종플루 보도가 대학생의 예방위생 행동에 미치는 영향: 제 3자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4권, 제6호, pp.344-367, 2010.
  33. D. M. McLeod, W. P. Eveland, and A. I. Nathanson, "Support for Censorship of Violent and Misogynic Rap Lyrics: An Analysis of the Third-Person Effect," Communication Research, Vol.24, No.2, pp.153-174, 1997. https://doi.org/10.1177/009365097024002003
  34. 탁진영, "과장광고의 설득효과와 제 3자 효과: 규제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를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제10권, 제1호, pp.398-441, 2010.
  35. 이병관, 백혜진, 김봉철, "광고에서 유명인 모델의 부정적 정보와 유명인 모델 광고의 부정적 효과에 대한 광고주의 지각을 중심으로", 광고연구, 제65호, pp.147-169, 2004.
  36. 송경희, 이수영, "외국위성방송 수신과 제3자 효과", 한국방송학보, 제10권, pp.229-256, 1998.
  37. D. V. Shah, R. J. Faber, and S. Youn, "Susceptibility and Severity: Perceptual Dimensions Underlying the Third-Person Effect," Communication Research, Vol.26, No.2, pp.240-267, 1999. https://doi.org/10.1177/009365099026002006
  38. 박신영,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과 제 3자 효과", 한국방송학보, 제25권, 제6호, pp.290-331, 2011.
  39. W. Eveland, A. Nathason, B. Detender, and D. M. McLeod, "Rethinking the Social Distance Corollary-Perceived Likelihood of Exposure and the Third-Person Perception," Communication Research, Vol.26, No.3, pp.275-302, 1999. https://doi.org/10.1177/009365099026003001
  40. I. Lewis, B. Watson, and R. Tay, "Examining the Effectiveness of Physical Threats in Road Safety Advertising: The Role of the Third-Person Effect, Gender, and Age,"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F: Traffic Psychology and Behavior, Vol.10, pp.48-60, 2007. https://doi.org/10.1016/j.trf.2006.05.001
  41. 차동필, "신종 조류독감 보도에 대한 제 3자 효과 연구", 홍보학연구, 제18권, 제1호, pp.188-211, 2014.
  42. 안세근, 조정희, "중학생의 인터넷 중독과 자기 통제력과의 연구", 한국교육논단, 제6권, 제2호, pp.87-103, 2007.
  43. 주정민, "인터넷 포르노그래피의 이용과 지각적 편향", 한국방송학보, 제19권, 제4호, pp.563-603, 2005.
  44. 박재영, 김세은, "열독신문에 대한 비판이 독자의 신뢰도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제48권, 제5호, pp.295-318, 2004.
  45. M. Gottfredson and T. Hirschi. A General Theory of Crime, Palo Alto: Standford University Press, 1990.
  46. 심재웅, "포르노그래피 이용이 성차별주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2권, 제6호, pp.167-188, 2008.
  47. 홍종필, 이시연, "잡지 속의 신체 이미지 광고에 대한 노출이 20대 여성의 기분과 신체 불만족에 미치는 영향", 미디어, 젠더&문화, 제4호, pp.72-118, 2005.
  48.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스마트세대 20대의 미디어 이용 행태, KISDI stat report, 2013.
  49. 올리버 브라이언트, 김춘식,양승찬, 이강형 역, 미디어 효과 이론, 나남,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