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컴퓨터 시스템 분야의 성취 목표,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hievement Goals,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Methods in Computer System Education

  • 김현배 (부산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 김갑수 (서울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Kim, Hyunbe (Dept. of Computer Education,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Kim, Kapsu (Dept. of Computer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투고 : 2014.03.12
  • 심사 : 2014.03.27
  • 발행 : 2014.03.31

초록

우리나라의 소프트웨어 생산은 세계 수준에 비하면 아직 미미한 수준에 그치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소프트웨어 회사들 가운데 세계적으로 성공한 회사들도 점점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인 변화에 부응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의 컴퓨터교육도 IT의 사용과 활용 중심에서 콘텐츠의 생산과 생산성을 높이기 위하여 원리 중심의 컴퓨터 과학 교육으로 방향 전환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 '컴퓨터 시스템'과 관련된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컴퓨터과학교육과 관련된 해외 사례를 분석하고, 컴퓨터과학 교육과 정의 하위 영역으로서 컴퓨터 시스템 영역의 성취 목표를 제시하고, 교수학습 방법과 평가 방법의 고려사항을 제시한다.

Computer education in Korea needs to be modified from IT utilization to principle-oriented form of computer science education. In this study the achievement,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methods in the computer system education area of computer science education are suggested on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in Korea. For these purpose the curriculums of computer science in United Kingdom and United States are analyzed.

키워드

참고문헌

  1. ACM Deborah Seehorn, Stephen Carey, Daniel Moix, Brian Fuschetto, Irene Lee, Dianne O'Grady-Cuniff, Chris Stephenson, Anita Verno (2011). CSTA K-12 Computer Science Standards Revised 2011.
  2. CAS(2013). Computing in the national curriculum: A guide for primary teachers. Computing At School.
  3. CAS(2013). Computing in the national curriculum: A guide for secondary teachers. Computing At School.
  4. CAS(2012). Computer Science: A curriculum for Schools.
  5. D. Frost, A. Verno, D. Burkhart, M. Hutton, K. North.(2009). A Model Curriculum for K-12 Computer Science Level I Objectives and Outlines. CSTA.
  6. H.B. Kim(2012) et al. Information Education, Kyoyook Book.
  7. ISTE(2012), NETS for Students Curriculum Planning Tool.
  8. K.H. Kim(2012) et al. Core competencies of the future for the promotion of Korean creative problem solving information-based education policy-way navigation,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9. Tucker, A., Deek, F., Jones, J., McCowan, D., Stephenson, C. and Verno, A.(2002). A Model Curriculum for K-12 Computer Science. Report of the ACM K-12 Education Task Force Computer Science Curriculum Committee.

피인용 문헌

  1. 초등학교에서 정보과학교육을 위한 정보기기교육의 내용 체계 vol.18, pp.2, 2014, https://doi.org/10.14352/jkaie.2014.18.2.335
  2. 자연수의 이진체계 교육자료 개발에 관한 연구 vol.19, pp.4, 2014, https://doi.org/10.14352/jkaie.2015.19.4.525
  3. 문자의 이진체계 교육 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vol.20, pp.1, 2014, https://doi.org/10.14352/jkaie.2016.20.1.39
  4. 초등학생용 문제해결력 증진을 위한 정렬 알고리즘 교육자료 개발 vol.20, pp.2, 2016, https://doi.org/10.14352/jkaie.2016.20.2.151
  5. 초등 소프트웨어 교육 연구 동향 분석: 국내 학술지 중심으로 vol.21, pp.5, 2014, https://doi.org/10.14352/jkaie.2017.21.5.509
  6. 데이터 에러 검출과 수정에 대한 초등교육자료 개발 vol.22, pp.1, 2018, https://doi.org/10.14352/jkaie.2018.22.1.1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