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정보과학 교과 내용체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tents of Information Science Curriculum

  • 투고 : 2014.03.12
  • 심사 : 2014.03.27
  • 발행 : 2014.03.31

초록

우리나라 컴퓨터 교육은 2000년부터 컴퓨터 도구 활용위주로 시작되었고, 2005년부터는 문제해결과 프로그래밍 교육을 강조하였지만 잘 실시되지 않았다. 또한 2010년부터는 컴퓨터 교육을 의무적으로 실시하지도 않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컴퓨터 교육에 대한 교과 내용 체계는 아직도 명확하게 만들어지지 않고 있다. 미국과 영국은 미래 세대의 핵심 역량을 기르기 위해서 컴퓨터 교육을 실시하고, 컴퓨터 교육이 꼭 필요한 교과로 인식하여 새로운 교육 내용체계를 만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컴퓨터 교과에서 필요한 기본 교과목으로 정보과학을 제안한다. 정보과학 교과는 초등학교 1학년부터 중학교까지 일관성 있게 학습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 정보 과학 교과의 세부 영역으로 컴퓨터 시스템, 소프트웨어 제작, 융합활동이다. 컴퓨터 시스템은 18개의 세부 영역으로 구성되고, 소프트웨어 제작은 11개의 세부 영역으로 구성되고, 융합 활동은 15개의 세부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학생들의 학교생활 및 미래의 사회생활에서 꼭 필요한 핵심 역량을 양성하는 것으로 이용할 수 있다.

The Computer Education in Korea since 2000 mainly were 'how to use computer tools', Computer education from 2005 to emphasize problem-solving and programming, but did not perform well, and In 2010 it was not compulsory computer training. Thus, our country have training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for computer education without creating a curriculum content of computer. U.S. and UK educate students computer training to foster future generations the essential core competencies to be recognized as a new educational curriculum. In this study, the basic course in computer studies of Korean is proposed as Information Science. Information science subject from middle school to first grade curriculum is consistently able to study was composed. The subarea of information science curriculum computer systems, software production, the fusion activity. The computer system is composed of 18 subdivisions, software production is composed of 11 subdivisions, and fusion activity was composed of 15 subdivisions. The results of the students' school life and social life in the future core competencies necessary to be available to train.

키워드

참고문헌

  1. CAS(2013). Computing in the national curriculum: A guide for primary teachers. Computing At School.
  2. CAS(2013). Computing in the national curriculum: A guide for secondary teachers. Computing At School
  3. Deborah Seehorn, Stephen Carey, Daniel Moix, Brian Fuschetto, Irene Lee, Dianne O'Grady-Cuniff, Chris Stephenson, Anita Verno (2011). CSTA K-12 Computer Science Standards Revised 2011
  4. Department for Education(2013). National curriculum in England: computing programmes of study. https://www.gov.uk/government/collections/nationa.l-curriculum.
  5. ISTE(2012), NETS for Students Curriculum Planning Tool
  6. Kapsu Kim(2009), "A Method of Programming Language Education for Elementary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 Elementary Education 19-2, 135-152. https://doi.org/10.20972/kjee.19.2.200901.135
  7. MOE(2000),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Education Guidelines, MOE.
  8. MOE(2005),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Education Guidelines, MOE.
  9. OECD(2009) PISA Data Analysis Manual:SPSS, Second Edition (Paris, OECD)
  10. OECD(2010). Are New Millennium Learners Making the Grade? Technology Use and Educational Performance in PISA. Paris: OECD.
  11. OECD(2011). PISA 2009 at a glance. Paris: OECD.
  12. OECD(2012a), Education at a Glance: OECD Indicators, Paris: OECD.
  13. OECD(2012b), PISA 2012 Assessment and Analytical Framework, Paris: OECD.
  14. Susan Brooks-Young(2007), National Educational Technology Standards for Students, Second Edition
  15. Tucker, A., Deek, F., Jones, J., McCowan, D., Stephenson, C. and Verno, A. (2002). A Model Curriculum for K-12 Computer Science. Report of the ACM K-12 Education Task Force Computer Science Curriculum Committee.

피인용 문헌

  1. 초등학생들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래밍의 성취 기준에 관한 연구 vol.18, pp.2, 2014, https://doi.org/10.14352/jkaie.2014.18.2.255
  2. 초.중학교에서 운영체제교육을 위한 내용체계 연구 vol.18, pp.2, 2014, https://doi.org/10.14352/jkaie.2014.18.2.307
  3. 초등학생을 위한 알고리즘 및 프로그래밍 교육과정 모델 개발 vol.19, pp.4, 2014, https://doi.org/10.14352/jkaie.2015.19.4.459
  4. 초등학생을 위한 SW 교육과정 표준 모델 개발 vol.19, pp.4, 2014, https://doi.org/10.14352/jkaie.2015.19.4.467
  5. 초등학생을 위한 알고리즘 교수학습방법과 평가 vol.19, pp.4, 2014, https://doi.org/10.14352/jkaie.2015.19.4.489
  6.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 분석 vol.20, pp.1, 2016, https://doi.org/10.14352/jkaie.2016.20.1.47
  7.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대비한 교육대학교의 소프트웨어 교육과정에 대한 수요 분석 vol.20, pp.1, 2014, https://doi.org/10.14352/jkaie.2016.20.1.83
  8. 미국 영국 독일 컴퓨터 교육과정에서 한국 컴퓨터 교육의 시사점 vol.20, pp.4, 2016, https://doi.org/10.14352/jkaie.2016.20.4.421
  9. 초등 KAIE 컴퓨팅 시스템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교육내용 탐색 vol.21, pp.6, 2014, https://doi.org/10.14352/jkaie.2017.21.6.701
  10. 한국 초등교사 양성기관의 소프트웨어 교육과정 분석 vol.21, pp.6, 2014, https://doi.org/10.14352/jkaie.2017.21.6.723
  11. 초등 예비 교사들을 위한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온라인 교육 효과 분석 vol.24, pp.6, 2014, https://doi.org/10.14352/jkaie.2020.24.6.6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