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명.특허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발명 관련 용어 이해도 분석

Study of teachers' understanding of terminology and their meaning differences in the realm of invention based on invention/patent specialized high school

  • 투고 : 2014.02.19
  • 심사 : 2014.03.24
  • 발행 : 2014.03.30

초록

이 연구는 발명 특허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발명, 직무발명, 자유발명 용어와 용어 간 차이에 대한 이해도를 조사하고, 배경변인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발명 특허 특성화고등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교사 333명이며, 조사는 전수 조사로 이루어졌다. 회수한 설문지는 216부이며, 불성실 응답을 제외한 211부(63.4%)를 활용하여 용어별 이해도와 용어 간 차이에 대한 이해도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발명, 직무발명, 자유발명 용어의 이해도는 신규 학교 교사보다 기존 학교 교사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교육 경력이 있는 교사가 교육 경력이 없는 교사보다 이해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연수 경험이 있는 교사가 없는 교사보다 이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발명, 직무발명, 자유발명 용어 간 차이에 대한 이해도는 신규 학교 교사가 기존 학교 교사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교육 경력이 없는 교사가 교육 경력이 있는 교사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연수 경험이 없는 교사가 연수 경험이 있는 교사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용어 간 차이에 대해서 모른다고 응답한 비율은 기존 학교 교사가 신규 학교 교사보다 용어 간 차이에 대해서 모른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교육 경력이 있는 교사가 없는 교사보다 용어 간 차이에 대해서 모른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연수 경험이 있는 교사가 없는 교사보다 용어 간 차이에 대해서 모른다고 응답한 비율 이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s invention and patent specialized high school teachers' understanding of terminology and their meaning differences in the realm of invention, career-specific, and freestyle Invention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The population of this research consists of 333 teachers currently employed in invention and patent specialized high school and complete enumeration survey has been used. To analyze the terminology understanding and their meaning differences, total of 216 questionnaires have been collected and 211 of them (63.4%) were used, excluding the ones with insincere answ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regard to invention, carrer-specific, freestyle Invention terminology understanding, established teachers showed higher results over new teachers. In addition, experienced teachers showed higher results over inexperienced teachers, and teachers with in-service training experiences showed higher results over the ones without. Second, when it came to understanding the terminology differences in the three realms, the new teachers showed higher results than the established teachers, inexperienced teachers over those with teaching experiences, and ones who have never taken any in-service training showed higher results than the ones with training experiences. The ones who answered 'don't know' regarding the meaning differences among terminology were established teachers over new teachers, experienced teachers over inexperienced teachers, and in-service training recipients over the ones without.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남희(2011). 기본심리욕구와 수업참여를 매개로 한 학생-교사애착관계와 학업성취도의 관계: 교사지지와 학생-교사애착관계의 의미와 역할의 차이를 중심으로. 교육심리연구, 25(4), 763-789.
  2. 김성민, 황진태(2011). 학생의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른 학업성취도 차이에 교사가 미치는 영향. 교육재정경제연구, 20(4), 77-98.
  3. 김태훈, 이병욱, 류병구(2012). 특성화고등학교에서 양성할 지식재산 실무인력의 핵심 역량 요소에 관한 연구. 직업교육연구, 31(1), 95-118.
  4. 김혁준 외(2011), 국가 지식재산전략 수립에 관한 연구. 특허청, 한국지식재산연구원.
  5. 노민선, 이희수(2010). 직무발명보상제도의 효과에 관한 연구. 산업재산권, 33, 47-80.
  6. 박경영, 김영민(2009). 물리 전공이 아닌 중학교 과학교사들의 '힘과 운동' 내용지식 영역의 전문성.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8), 910-922.
  7. 박지애, 한수지, 노태희(2010). 물질의 입자성과 관련된 학생들의 오개념에 대한 중등 교사들의 지식과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1), 42-53.
  8. 박희철(2013). 직무발명의 보상제도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9. 엄부영 외(2010). 차세대 창의발명교육 모델 구축 연구. 특허청, 한국발명진흥회.
  10. 엄성호, 김병준(2003). 교사의 지도행동에 따른 학생의 체육 내적동기.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4(4), 17-35.
  11. 윤선희(2005). 직무발명에 있어서의 보상제도. 법조, 54(11), 19-54.
  12. 이명훈(2007).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생활 적응과 관련 변인.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2(2), 1-22.
  13. 이병욱 외(2007). 발명.특허 분야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특성화 고교 운영 방안. 한국기술교육학회지, 7(3), 224-255.
  14. 이병욱 외(2012). 창의발명인재.육성사업 추진현황 및 중장기 발전방안 연구. 특허청, 한국발명진흥회, 충남대학교.
  15. 이원구(2008). 직무발명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법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6. 이희승(2014). 국어대사전. 민중서림.
  17. 정진우(2012). 발명능력 지표 개발 및 평가 도구의 구안.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조영선(2012). 직무발명에 대한 정당한 보상과 특허의 무효. 저스티스, 129, 164-192.
  19. 조한진, 김태훈(2012). 특성화고 수준의 지식재산 실무인력 양성을 위한 발명.특허 교육 내용의 교육요구도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2(2), 26-48.
  20. 조현래, 권혁(2007). 노동법상 근로자에 대한 직무발명보상제도의 법 이론상 문제점. 법학연구, 48(1), 1351-1375.
  21. 국가법령정보센터 홈페이지. http://www.law.go.kr.
  22. 학교알리미 홈페이지. http://www.schoolinfo.go.kr.
  23. 한국발명진흥회 홈페이지. http://www.kipa.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