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ource Transfers between Middle-Aged Parents and Their Married Children

중년기 부모와 기혼 자녀 간 상호 자원이전: 경제적 자원과 도구적 자원을 중심으로

  • Kim, Young-Soon (Sungshin Women's Univ. Dept. of Family Culture & Consumer Science) ;
  • Koh, Sun-Kang (Sungshin Women's Univ. Dept. of Social Welfare)
  • 김영순 (성신여자대학교 가족문화소비자학과) ;
  • 고선강 (성신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3.04.01
  • Accepted : 2014.05.10
  • Published : 2014.05.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s on resource transfers between middle-aged parents and their married children. This study used 2009 data from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regarding inter-generational resource transfers and preparation for later life (kfr-2009-c00010). A sample of 1208 households of middle-aged parents with married children was used. The study found that parents provided financial resource transfers to their married children in the following circumstances: where parents received financial resource transfers from their married children, where the household income of parents was high, where the children were younger, and where the children were male. Parents provided instrumental resource transfers to their married children in the following circumstances: where parents received instrumental resource transfers from their married children, where the gender of children was female, where the children were employed, where married children had their own children who were either younger than a preschooler, and where household incomes of married children were high. Parents received financial resource transfers from their married children in these circumstances: where their emotional ties with their children was high, where the household income of the parents was low, where the household income of the married children was high, and where married children had preschoolers. The circumstances in which parents received instrumental resource transfers from their married children were where parents provided instrumental resource transfers and the household incomes of married children were high.

Keywords

References

  1. 강유진.한경혜(1997). 비동거 자녀의 노부모 부양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17(1), 271-288.
  2. 고선강(2005). 미국 성인자녀의 노부모에 대한 자원이전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1), 187-195.
  3. 고선강(2008). 치매부모에 대한 성인자녀의 자원이전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2(2), 209-229.
  4. 고선강(2011). 중노년기 가정의 세대 간 자원 이전: 경제자원의 효과.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5(1), 157-175.
  5. 고선강(2012). 부모의 결혼자금 지원과 경제적 자원이전: 20-40대 기혼여성가정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3), 1-19.
  6. 김명자.손서희(2005). 기혼자녀(아들.딸)와 부모간의 정서적 결속도에 따른 부양행동. 대한가정학회지, 43(7), 37-51.
  7. 김순미.박미려(2008). 중.고령자가구의 경제적 자원 교류유형 및 교류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5), 1-14.
  8. 김승권.김유경.김혜련.박종서.손창균.최영준.김영우.이가은.윤아름(2012). 2012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9. 김승권.박종서.김유경.김연우.최영준.손 창균.윤아름(2012). 2012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 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0. 김은경(2002). 농촌 여성노인과 남성노인의 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성인자녀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4), 27-36.
  11. 김지경.송은경(2004). 부모와의 경제적 교류 여부 및 교류액의 결정요인 : 따로 사는 부 모가구와 자녀가구를 대상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 22(5), 75-89.
  12. 김지경.송현주(2008). 결혼으로 분가한 자녀와 부모 간의 사적소득이전. 사회보장연구, 24(3), 77-98.
  13. 김지연(2005). 성인자녀와 부모 간 경제적 자원교류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김진(2008). 한국 노부모와 성인자녀 간 지원 행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김태현.임선영(2004). 가족이념, 생활교류가 부모자녀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중년세대와 성인세대를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1), 85-109.
  16. 김현주(2005). 어머니와 자녀간 지원교환과 관계만족도: 노후동거의사를 조건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0(4), 525-553.
  17. 박미려(2007). 은퇴노인의 경제적 자원 수혜 여부 및 수혜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배희선(1998). 중.노년기 가계의 성인자녀에 대한 경제적 자원이전.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서소영.김명자(1998). 며느리의 시부모부양 에 따른 보상, 부양의식, 부양행동 분석. 한국가족관계학회지, 3(2), 81-107.
  20. 손용진(2008). 노부모-자녀 간의 사적 경제교류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42, 225-246.
  21. 안경숙(2005). 노인부부.노인독신가구의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5(1), 1-19.
  22. 여성가족부(2011). 2010 가족실태조사. 여성가족부.
  23. 윤선영(2008). 노인가구의 연령집단별 사적소득이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사회복지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이상림.김두섭(2002). 세대간 교환관계가 중년층의 노후부양관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구학, 25(1), 83-111.
  25. 이윤정(2010). 어머니와 성인 자녀 간 자원이 전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이윤정.고선강(2011). 어머니와 성인자녀 간 자원이전: 경제적 지원과 돌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6), 137-151.
  27. 이형실(2003). 농촌 노인의 세대 간 사회적 지원 교환과 생활만족: 성별 및 연령 집단별 비교. 대한가정학회지, 41(4), 57-69.
  28. 임효연(2009). 일본 대도시 독거노인의 자녀와의 지원교환형태에 따른 생활만족도. 대한 가정학회지, 47(5), 59-66.
  29. 정기원(2001). 노부모와 별거 성인자녀와의 가족유대 : 정서적 지원에 대한 교환 이론적 접근. 한국인구학, 24(1), 123-148.
  30. 통계청(2012) 2012 사회조사. 통계청.
  31. 하석철(2010). 가족 간 소득이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한민아(2004). 세대 간 지원교환관계와 성인 자녀의 심리적 복지감.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한지수.홍공숙(2007). 노부모와 동거하는 기혼여성자녀의 시장노동 참여 및 참여 시간 결정요인: 기혼여성자녀와 노부모와의 시간 자원 이전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5(6), 61-75.
  34. 홍달아기(1998). 노부모가 지각한 성인자녀에 대한 감정과 교류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6(12), 115-127.
  35. 황남희.정주연(2009). 중고령자의 소득수준별 사적이전 비교분석. 한국재정학회 추계정기학술대회 자료집.
  36. 한국경제신문(2012). 은퇴 앞둔 베이비부머들 자녀결혼 두려워. 2012. 6. 26.
  37. Bernheim, B. D., Shleifer, A. & Summers, L. H.(1985). The Strategic Bequest Motive.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93(6), 1045-1076. https://doi.org/10.1086/261351
  38. Becker, G. S.(1992). A Treatise on the Family. Harvard University Press.
  39. Hentetta, J. C., Hill, M. S., W., Soldo, B. J. & Wolf, D. A.(1997). Selection of children to provide care: The effect of earlier parental transfers. The Journal of Gerontology Series B, 52B, 110-119. https://doi.org/10.1093/geronb/52B.Special_Issue.110
  40. Grundy, E. & Henretta, J. C.(2006). Between elderly parents and adult children: A new look at the intergenerational care provided by the 'sandwich generation'. Ageing and Society, 26, 707-722. https://doi.org/10.1017/S0144686X06004934
  41. Koh, S. & MacDonald, M.(2006). Financial reciprocity and elder care: Interdependent resource transfers. Journal of Family and Economic Issues, 27, 420-436. https://doi.org/10.1007/s10834-006-902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