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쌀가루 제분용 백미 내 잠재적 위해 세균에 대한 살균 및 세척 효과

Antibacterial and Rinsing Activities Against Potentially Harmful Bacteria in Rice during Rice Flour Production

  • Han, Jae-Kwang (Dep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Chung-Ang University) ;
  • Cha, Min-Hee (Dep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Chung-Ang University) ;
  • Kim, Min-Ju (Dep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Chung-Ang University) ;
  • Kim, Keun-Sung (Dep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Chung-Ang University)
  • 투고 : 2013.08.06
  • 심사 : 2014.05.02
  • 발행 : 2014.06.30

초록

습식 쌀가루의 제분과정 중에서 유해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기 위하여 침지공정이나 세척공정에 사용되는 물에 천연살균제인 쌀뜨물발효액 혹은 화학살균제인 chlorine dioxide (CD)와 sodium benzoate (SB)를 각각 첨가하여 침지공정이나 세척공정 중 쌀에 잔류 미생물의 증식억제 정도를 파악하였다. 또한 원료 쌀의 잔류 미생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침지공정 전과 후 세척 횟수별 잔류 미생물의 제거 정도를 파악하였다. 쌀뜨물발효액, CD, 혹은 SB는 백미 내 잔류 가능성이 있는 잠재적 위해 세균들로 선정된 S. typhimurium, E. coli, 그리고 B. cereus 표준균주들에 대하여 액체배양액 내에서 각각 첨가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이들 살균제들의 항균력이 비교적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쌀뜨물발효액이나 SB와 비교하였을 때 CD가 액체배양액 내에서 가장 높은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쌀뜨물발효액, CD, 혹은 SB는 침지과정 중에 각각 첨가된 농도가 증가하면서 백미 내 잔류세균에 대하여 이들 살균제들의 항균력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은 위에서 언급한 S. typhimurium, E. coli, 그리고 B. cereus 표준균주들에 대하여 액체배양액 내에서 이들 천연살균제와 화학살균제들이 나타낸 항균력보다 낮게 나타났다. 한편 백미 검체의 침지 전과 후 세척 횟수에 따른 백미 잔류 세균의 제거효과는 백미 검체를 침지하지 않고 세척하였을 때가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세척을 한 후 침지를 시켰을 때는 세척 횟수가 증가하여도 잔류 세균의 수가 비슷한 정도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결론적으로 백미의 살균 및 제균 방법으로는 살균제에 의한 살균방법보다는 물 등으로 세척하여 잔류 세균을 제거하는 것이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Rice can be the contaminating with soil-borne bacteria. Furthermore, the contaminated bacteria can be grown during immersion process for produce wet-milled rice flour. Therefore, disinfectants can be added during the immersion process. Antibacterial activities of the natural disinfectant, fermented rice spent water (FRSW), and the chemical disinfectants, chlorine dioxide (CD) and sodium benzoate (SB), were respectively determined when added in pure cultures of target bacteria such as Salmonella typhimurium, Escherichia coli, and Bacillus cereus or when added to immersion water in the immersion process. In addition, rinsing effects for removing bacteria were determined when rice was rinsed with water before and after the immersion process. Antibacterial activities were rapidly increased as increasing amounts of the disinfectants are added to the pure cultures of the target bacteria. Antibacterial activity of CD was the most effective among the three tested disinfectants when added to the pure cultures of the target bacteria, respectively. Those of the same disinfectants were increased when they were increasingly added to the immersion water. However those of the disinfectants were less effective when added to the immersion water. On the other hand, rinsing effects for removing bacteria were the most effective when rice was rinsed only with water without the immersion process. Collectively, rinsing rice with water only was more effective than using disinfectants in the immersion water during rice flour produc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금준석: 쌀의 영양과 쌀 가공식품.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9, 38-54 (2010).
  2. 신말식: 미래의 녹색 식품산업을 주도할 쌀 가공산업의 활성화.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9, 16-37 (2010).
  3. 최봉규, 금준석, 이현유, 박종대: 쌀가루 제분방법 및 입자크기에 따른 백설기 품질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12, 230-234 (2005).
  4. 금준석: 미곡 가공기술 혁신을 통한 쌀 소비확대방안.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9, 49-59 (2010).
  5. Kim, S.H., Kim, K.P., Jang, S.S., Shin, E.M., Kim, M.J., Oh, S., and Ryu, S.: Prevalence and toxigenic profiles of Bacillus cereus isolated from dried red peppers, rice, and Sunsik in Korea. J. Food Prot., 72, 578-582 (2009). https://doi.org/10.4315/0362-028X-72.3.578
  6. Park, Y.B., Kim, J.B., Shin, S.W., Kim, J.C., Cho, S.H., Lee, B.K., Ahn, J., Kim, J.M., and Oh, D.H.: Prevalence, genetic diversity, and antibiotic susceptibility of Bacillus cereus strains isolated from rice and cereals collected in Korea. J. Food Prot., 72, 612-617 (2009). https://doi.org/10.4315/0362-028X-72.3.612
  7. 박석규, 고용덕, 권선화, 손미예, 이상원: 쌀과 취반백미의 고온성 세균 분포 및 이상취 발생.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10, 70-74 (2003)
  8. 김경애, 전은례: 도정도에 따른 쌀의 수화와 이화학적 특성. 한국식품과학회지, 28, 959-964 (1996).
  9. 식품의약품안전처 : 식중독 통계 시스템. http://www.mfds.go. kr/e-stat/index.do. Accessed January 21, 2012.
  10. 김민주, 김병훈, 박성수, 박성희, 김동호, 김근성: 시판 백미의 미생물학적 프로파일 정량분석.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26, 198-202 (2011).
  11. Adebolu, T.T., and Oladimeji, S.A.: Antimicrobial activity of leaf extracts of Ocimum gratissimum on selected diarrhea causing bacteria in southwestern Nigeria. Afr. J. Biotechnol., 4, 682-684 (2005) https://doi.org/10.5897/AJB2005.000-3126
  12. 하지형, 이유시, 이석주, 황선순, 하상도: 행주 내 식품위해미생물에 대한 쌀뜨물발효액의 살균 효과.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22, 365-369 (2007).
  13. Kim, K.S., Park, K.S., Kim, M.J., and Kim, S.Y.: Free phenolic contents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of fresh and fermented rice spent water. Food Sci. Biotechnol., 19, 1415-1420 (2010). https://doi.org/10.1007/s10068-010-0202-z
  14. 식품의약품안전처 : 식품첨가물공전. (2012).
  15. 박종숙, 남은숙, 박신인: 과일류의 염소 소독 농도 및 세척 횟수에 따른 미생물 제거 효과. 한국식품영양학회지, 21, 167-183 (2008).
  16. 이우원, 김병지, 임기재, 신종백: Listeria monocytogenes 의 생존성에 관한 식육보존료의 효과. 한국가축위생학회지, 16, 20-33 (1993).
  17. Lee, S.Y., Chung, H.J., Shin, J.H., Dougherty, Richard, H., and Kang. D.H.: Survival and growth of foodborne pathogens during cooking and storage of oriental-style rice cakes. J. Food Prot., 69, 3037-3042 (2006). https://doi.org/10.4315/0362-028X-69.12.3037
  18. 김세리, 심원보, 박선자, 하광수, 윤혜숙, 하상도, 김근성, 이규호, 김민곤, 김광엽, 김철호, 정덕화, 이규효: 생딸기주스 제조 환경에서의 미생물학적 오염도 조사. 한국식품과학회지, 37, 287-293 (2005).
  19. 홍윤희, 김민기, 송경빈: 이산화염소수 처리가 삼계용 닭의 저온저장 중 미생물학적 변화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15, 769-773 (2008).
  20. Ogiehor, I.S., and Ikenebomeh, M.J.: Antimicrobial effects of sodium benzoate on the growth, survival and aflatoxin production potential of some species of Aspergillus in garri during storage. Pak. J. Nutr., 3, 300-303 (2004). https://doi.org/10.3923/pjn.2004.300.303
  21. Wu, V.C.H., and Kim, B.C.: Effect of a simple chlorine dioxide method for controlling five foodborne pathogens, yeasts and molds on blueberries. Food Microbiology, 24, 794-800 (2007). https://doi.org/10.1016/j.fm.2007.03.010
  22. 김소희, 정수열: 단체금식에서 채소류 전처리를 위한 식초 소독의 미생물적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2, 230-237 (2003).
  23. 오소영, 최선태, 김지강, 임채일: 쌈채소의 세척방법에 따른 잔류농약 및 미생물 제거 효과. 원예과학기술지, 23, 250-255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