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ingular Position Detection Method from the Measured Path Loss Data for the Cellular Network

이동 통신 망에서 측정하여 계산된 경로 손실의 급격한 변동 위치 추출 방법

  • 박경태 (마산대학교 조선전자통신학과) ;
  • 배성혁 (마산대학교 조선전자통신학과)
  • Received : 2013.11.20
  • Accepted : 2014.02.04
  • Published : 2014.01.30

Abstract

The path loss data was re-calculated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a mobile station in the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 In this paper, the averaged path loss data was plotted with the conventional path loss models(free space, plane earth, Hata model ${\ldots}$). The standard deviations for the 2 Km, 1 Km, 0.5 Km-interval averaged path loss were 2.29 dB, 3.39 dB, 4.75 dB, respectively. Additionally, the derivative values for the 2 Km, 1 Km, 0.5 Km-interval averaged path loss were evaluated to find the positions with more than 1 times or 2times of the standard deviation. The situations with the sharply fluctuated path loss were calculated to 5 positions in the 2 Km interval, to 7 positions in the 1 Km interval, to 19 positions in the 0.5 Km interval, respectively. And, the exact distances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a mobile station were found with the sharply fluctuated path loss.

이동 통신망의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의 거리 차로 인하여 발생하는 경로 손실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측정된 수신 신호세기(RSSI)로부터 송수신기 거리 차이에 따른 경로 손실을 계산하여 이를 그래프로 표시하고, 평균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존의 경로 손실 모델들(자유공간 모델, 지면반사파 모델, 하타 모델, ${\ldots}$)과 그래프를 동시에 그려서 비교하였다. 2 Km, 1 Km, 0.5 Km 간격으로 평균한 경로 손실 데이터에 대한 표준 편차를 구해 보니, 각각 2.29 dB, 3.39 dB, 4.75 dB가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거리별로 계산된 경로 손실 평균값들의 미분 값을 구하여, 앞에서 구한 경로 손실 표준 편차의 1 또는 2배수를 초과하여 변동하는 위치를 찾아내는 방법을 제안 하였다. 이렇게 제안한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송수신기 사이에서 손실이 급격하게 발생하는 지점이, 2 Km 간격으로 경로 손실을 평균한 경우에는 5 지점, 1 Km 간격으로 평균한 경우에는 7 지점, 0.5 Km 간격으로 평균한 경우에는 19 지점이 됨을 알 수 있었고, 구체적인 위치를 파악하는 성과를 얻었다.

Keywords

References

  1. William C. Y. Lee, Mobile Cellular Telecommunications, McGraw- Hill Book Co., 1995.
  2. IEEE Vehicular Techology Society Committee on Radio Propagation, "Coverage Prediction for Moblie Radio System Operating in the 800/900 ㎒ Frequency Range", IEEE Transactions on Vehicular Techology, vol. VT-37, No. 1, pp. 3-72, Feb. 1988.
  3. Nazar. Elfadhil, M. A. Salam, A. Al-Lawati, O. Al-Qasmi, M. Al-Gheithi and Z. Nadir, "Modification of an Open Area Okumura-Hata Propagation Model Suitable For Oman", TENCON 2005 IEEE Region 10, 2005.
  4. 송기홍, "8 GHz 대역에서의 마이크로셀용 전파전파 예 측 모델 개발",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제17권 제12호, pp. 1212-1223, Dec. 2006.
  5. Masaharu Hata, "Empirical Formula for Propagation Loss in Land Mobile Radio Services", IEEE Transactions on Vehicular Techology, vol. VT-29, No. 3, pp. 317-325, Aug. 1980.
  6. 이상근, 방효창, CDMA 무선기술, 세화출판사, 2000.
  7. J. F. Aurand and R. E. Post, "A comparison of prediction methods for 800 MHz mobile radio propagation", IEEE Trans. VT. Technol., vol. VT-34, pp. 149-153, 1985.
  8. G. Delisle, J. P. Lefevre, M. Lecours, and J. Y. Chouinard, "Propagation loss prediction : A comparative study with application to the mobile radio channel", IEEE Trans. VT. Technol., vol. VT-33, pp. 86-96, 1985.
  9. D. S. Paunovic, Z. D. Stojanovic, and I. S. Stojanovic, "Choice of a suitable method for the prediction for the field strength in planning land mobile radio systems", IEEE Trans. VT. Technol., vol. VT-33, pp. 259-265, 1986.
  10. Masaharu Hata, "Empirical Formula for Propagation Loss in Land Mobile Radio Services", IEEE Transactions on Vehicular Techology, vol. VT-29, No. 3, pp. 317-325, Aug. 1980.
  11. 박경태, 조형래, "자유 공간 모델과 하타 모델을 이용 한 러시아 PNG 지역의 경로 손실 예측에 관한 연구", 한국ITS학회논문지, 제10권 제5호, pp. 87-92, Oct.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