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nalysis of the Recent Research Trend of Sipjeondabo-tang in Korea

국내 십전대보탕 최근 연구 동향 분석

  • Oh, Somi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 Cheon, Chunhoo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 Park, Sunju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 Jang, Bo-Hyoung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 Park, Jeong-Su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
  • Jang, Soobi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 Shin, Yong-Cheol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 Ko, Seong-Gyu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오소미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전천후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박선주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장보형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박정수 (한국보건의료연구원) ;
  • 장수빈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신용철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고성규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Received : 2014.03.31
  • Accepted : 2014.04.28
  • Published : 2014.04.30

Abstract

Objective : This study is aimed to analyze the recent research trend of Sipjeondabo-tang (SJDBT) in Korea. Method : We searched Korean research database by using keyword 'Sipjeondabo-tang'. Databases are Korean Medicine Information System,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System and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We analyzed studies by research method, publication year, type of journal and subject of the study. Results : By analyzing studies published after 1990, we could find that experimental studies were primarily conducted in SJDBT study. During recent 10 years, the number of toxicity studies and components analysis studies is increasing. Among the SJDBT studies, the number of clinical study was only 1. Conclusion : We explored the recent research trend of SJDBT in Korea. As a result, We suggested three further research ways of SJDBT. Proposed research ways are exploring various effect of SJDBT, observing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of effect according to extracting and drying method, and conducting clinical research of SJDBT.

Keywords

References

  1. 이종태. 한국인의 한약재 복용실태 조사 연구. 2006.
  2. 송효원. 십전대보탕의 활용에 대한 문헌적 고찰.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1996;4(1):153-172.
  3. 정규만, 구본홍. 종설 : 십전대보탕에 관한 문헌적 고찰. 동서의학. 1980;5(2):16-20.
  4. Http://ezdrug.mfds.go.kr 식품의약품안전처 인터넷 사이트.
  5. Http://www.health.kr 약학정보원 인터넷 사이트.
  6. 이경구, 황대선, 유영법, 마진열, 하혜경, 신현규. 사군자탕, 사물탕, 팔물탕 및 십전대보탕의 처방 구성 및 용량 용법에 관한 연구.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06;19(4):219-225.
  7. 황도연. 방약합편. 영림사. 2007.
  8. 마진열, 황대선, 이남헌, 하혜경, 유영법, 신현규. Chiness hamster lung cell(CHL)에서 십전대보 탕 염색체 이상 시험.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2008; 16(2):145-153.
  9. 마진열, 이남헌, 황대선, 하혜경, 유영법, 신현규. ICR 마우스 골수세포를 이용한 십전대보탕 소핵시험.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2008;16(1):109-115.
  10. 마진열, 황대선, 이남헌, 하혜경, 유영법, 신현규. SD 랫드를 이용한 십전대보탕의 급성 독성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8;22(5):1192-1195.
  11. 마진열, 황대선, 이남헌, 하혜경, 유영법, 신현규. 세균을 이용한 십전대보탕 복귀돌연변이 시험. 대한한의학회지. 2008;29(3):1-10.
  12. 김기철, 김지민, 김대진. 국내산 및 중국산 십전대 보탕 재료의 구조탄수화물과 식이섬유에 관한 연구. 생명과학회지. 2005;15(1):49-54.
  13. 이지혜, 김태수, 곽동훈, 마진열. 마우스를 이용한 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 발효물의 단회투여 독성 연구.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11;32(3):334-344.
  14. 양민철, 정상원, 마진열. 보문 : 발효, 세포배양, 생물공정 ; 유산균 발효에 의한 십전대보탕의 발효 전후 성분 변화 연구.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2011;39(4):350-356.
  15. 박영선, 윤상협.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 십전대 보탕, 영계출감탕이 장음으로 평가된 흰 쥐의 위 수축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10; 31(2):212-223.
  16. 이호영, 하혜경, 정다영, 이남헌, 신현규. 사물탕, 사군자탕, 팔물탕, 십전대보탕의 약리 활성 비교 연구.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10;21(4):41-51.
  17. 김정훈, 서창섭, 전우영, 신현규. 전탕 방법 및 전 탕 시간에 따른 십전대보탕 전탕액 비교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12;25(2):108-119.
  18. 서창섭, 황대선, 이준경, 하혜경, 천진미, 엄영란, et al. 전탕 전과 후의 중금속, 잔류농약 및 잔류이 산화황의 농도변화 - 십전대보탕 구성처방을 중심으로 -. 대한한의학회지. 2009;30(4):108-117.
  19. 이상영, 정현우. 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과 가미십 전대보탕(加味十全大補湯)이 뇌허혈 흰쥐의 뇌혈류 역학에 미치는 실험적 영향.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13;27(2):173-182.
  20. 이호영, 하혜경, 정다영, 최지윤, 이남헌, 마진열, 유영법, 신현규. 십전대보탕에서 황기⋅육계의 함 량 변화에 따른 약리활성 비교 연구. 대한한의학회지. 2008;29(1):156-166.
  21. 한상백, 신헌태, 박해모, 이선동. 십전대보탕과 육 미지황탕이 실험동물의 모체에 미치는 생식독성학적 연구.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07;11(2):159-174.
  22. 한상백, 전성진, 신헌태, 박해모, 이선동, 박철수. 십전대보탕과 육미지황탕이 실험동물의 태자에 미치는 독성학적 연구.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08;12 (3):35-45.
  23. 신규원, 이선동, 박해모, 전성진, 변진석. 다용한 약처방 투여가 흰쥐의 신장기능에 미치는 영향 - 십전대보탕, 보증익기탕, 오적산 및 육미지황탕을 중심으로-.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05;9(1):119-133.
  24. 한용주, 이선동, 최종환, 박종구, 장인수, 박해모. 다용 한약처방 투여가 흰쥐의 간기능에 미치는 영 향 - 십전대보탕, 육미지황탕, 보중익기탕 및 오적산을 중심으로 -. 대한한의학회지. 2006;27(1): 78-90.
  25. 한효정, 강래엽, 김현진, 박은영, 장정아, 서호석, et al. 虛勞로 변증한 만성신부전 환자의 十全大補 湯 투여 호전례.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2009;17 (2):195-201.
  26. 이상영, 김형우, 김계엽, 최찬헌, 윤여충, 정현우. 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 및 가미십전대보탕(加味十 全大補湯)의 항산화 효과 및 신경교세포주 보호 효과.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9;23(6):1292-1298.
  27. 김정훈, 신현규. 십전대보탕의 면역활성에 관한 기초 실험 연구 문헌 분석.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12; 26(5):641-649.
  28. 전국한의과대학 공동교재편찬위원회. 본초학. 영림사. 2011.
  29. Nishiuchi T, Okutani Y, Yamagishi Y, Fujita T, Imataki O, Ohnishi H, Matsunaga T, Shimizu T, Shimizu H. Synergistic effect between Juzen-taiho-to, a Japanese traditional herbal medicine, and gemcitabine single-agent chemotherapy for advanced biliary tract cancer. J Altern Complement Med. 2013 Jun;19(6): 593-597. https://doi.org/10.1089/acm.2012.0177
  30. Okumi H, Koyama A. Kampo medicine for palliative care in Japan. Biopsychosoc Med. 2014 Jan 22;8(1):6. https://doi.org/10.1186/1751-0759-8-6
  31. Kono T, Takeda H, Uezono Y. Kampo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adverse effects caused by anticancer drugs. Nihon Geka Gakkai Zasshi. 2013 Sep;114(5):251-5.
  32. Hara H, Kataoka S, Anan M, Ueda A, Mutoh T, Tabira T. The therapeutic effects of the herbal medicine, Juzen-taiho-to, on amyloidbeta burden in a mouse model of Alzheimer's disease. J Alzheimers Dis. 2010;20(2):427-39.
  33. Kishida Y, Nishii T, Inoue T, Nishida S, Arimitsu J, Yoshikawa H, Sugano N. Juzentaihoto (TJ-48), a traditional Japanese herbal medicine, influences hemoglobin recovery during preoperative autologous blood donation and after hip surgery. Int J Clin Pharmacol Ther. 2009 Dec;47(12):716-21. https://doi.org/10.5414/CPP47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