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North-Korean-Refugee Women's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in South Korea and Reemergence of Trauma Experience

탈북여성들의 남한사회에서의 차별 경험과 트라우마 경험의 재현에 관한 탐색적 연구

  • Received : 2014.02.12
  • Accepted : 2014.04.07
  • Published : 2014.05.28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reexperience of trauma caused by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and stigma from South Korean. For this purpose of this study, focus group interview methods are used. The participants are five women who escaped from North Korea and they were from 20s to 50s. From the outcomes of this study, I find out that they had experienced to put in prison, to let arrest to let human traffic, and sexual or physical assault. Now they have PTSD(Post Trauma Stress Symptom) of nightmare related with past trauma, avoidanc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imilar situations, and retrospection and memorization of negative experiences. In that situation, they also have experienced discrimination caused by lack of understanding of their suffering in South Korea. And almost of them suffer from poor situation economically and physically. Participants regret their entry to South Korea and perceive that their hope has gone. And they have anger of Korean's discrimination and stigma and they feel suicide impulse after experiencing very difficult situation. These negative experiences affect their PTSD and make reemergence of trauma experience. In conclusion, the outcome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and I proposed the practical suggestions which have affected decreasing the PTSD.

본 연구는 외상사건을 경험한 탈북여성들이 남한생활에서 경험하는 어려움과 남한에서의 부정적 경험으로 그들이 갖고 있는 트라우마의 재현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를 경험하는 5명의 탈북여성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과 서면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참여자들은 굶주림, 투옥, (성)폭력, 인신매매, 가족관계의 단절, 죽음의 목격 등 극단적 사건을 경험하였으며, 이로 인해 과거 기억의 회상과 회피, 악몽에 시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외상후 스트레스를 겪는 상황에서 이들은 남한에서 차별과 부당한 대우, 낙인, 적과의 동침 상황, 끝나지 않는 빈곤, 용서불가, 그리고 자살의도 등과 같은 트라우마 경험의 재현을 겪고 있었다. 이런 트라우마 경험의 재현 경험으로 인해 연구 참여자들은 남한 입국에 대한 후회와 분노, 그리고 타인과의 관계 철회와 무희망 등의 부정적 정서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부정적 정서의 근간에는 부정적인 사회적 인식과 편견이 자리 잡고 있어 이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사회적 노력이 뒷받침되어야 하며, 지속적인 취업 및 고용지속을 위한 장기적인 서비스 등을 위해 지역사회복지관이나 민간기관과의 연계망을 확보하고, PTSD 및 그 외상경험의 재현에 대한 사례관리를 해야 할 필요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성록, 탈북자의 외상척도 개발 연구, 연세대학교대학원 석사하위논문, 2000.
  2. 전우택, 윤덕용, 엄진섭, "탈북자들의 남한사회 적응생활 실태조사: 2001년도 553명의 탈북자들에 대한 조사를 중심으로", 통일연구, 제7권, 제1호, pp.155-208, 2003.
  3. 홍창영, 북한이탈주민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3년 추적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4. 조영아, 전우택, 유시은, 엄진섭, "북한이탈주민의 우울 예측 요인: 3년 추적연구", 상담 및 심리치료, 제17권, 제2권, pp.467-484, 2005.
  5. 김병창, "북한이탈주민 정신건강", 정신건강정책포럼, 제4권, pp.4-37, 2010.
  6. 김연희, 전우택, 조영아, "북한이탈주민 정신건강문제 유병율과 영향요인: 2007년 입구자를 중심으로", 통일정책연구, 제19권, 제2호, pp.141-174, 2010.
  7. 박철옥, 안현의, "새터민의 대인관계적 외상겅험, 용서, 경험회피와 외상후스트레스 증상간의 관계", 상담학연구, 제10권, 제4호, pp.1891-1906, 2009.
  8. 강혜성, 북한이탈여성의 남한사회 초기적응 경험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9.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북한이탈주민 생활실태조사 기본분석보고서, 2011.
  10. 김성종,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을 위한 협력적거버넌스 구축",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2호, pp.311-321, 2012.
  11. 신수문, 북한이탈주민의 정착지원 정책과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에 대한 연구, 고려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2. 서주연, 북한이탈주민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와 남한사회 적응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13. 윤인진,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과 사회통합", 한국사회학회, 2006.
  14. 김재엽, 최지현, 류원정, "PTSD가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 사회적 교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제43권, 제4호, pp.343-367, 2012.
  15. 정길호, "북한이탈주민의 지역사회 정착을 위한 연계협력체계 구축방향", 한국행정학회 하계학술대회, 2009.
  16. 임정빈, "북한이탈주민 정착을 위한 지역사회 지원체계 및 이해관계자 분석", 한국정책연구, 제12권, 제2호, pp.249-272, 2012.
  17. 통일부, 북한이탈주민현황, 2013.
  18. 정윤태, 김원철, 김학만, "북한이탈주민 정착을 위한 민간지원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서비스전달체계 분석틀에 근거하여", 한국정책연구, 제12권, 제1호, pp.185-201, 2012.
  19. 임목옥,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충격적 사건에 대한 공포감과 재경험, 2006. http://boog,naver,com
  20. 최남희, "재난피해자 사후 지원: 재난피해자의 사후 복귀", 한국위기관리논집, 제2권, 제2호, pp.1-18, 2006.
  21. 김석향, 이은주, "북한여성 연구의 동향과 과제",북한연구학회보, 제16권, 제2호, pp.229-268,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