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hange of Dweller's Residents Stability on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s: Focused on Apartment Housing Construction Method

주거환경개선사업으로 인한 거주자들의 주거안정 변화: 공동주택건설방식을 중심으로

  • 김홍주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 김주진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Received : 2014.03.14
  • Accepted : 2014.04.29
  • Published : 2014.04.30

Abstract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REIP) which has started in 1989 and continued with 3rd government-supporting project in 2013 has lots of policy changes and related studies. However, the related researches have focused on residents resettlement into the project site, this paper is more interested in the residents stability than residents resettlement. So, this paper analyzes the changes of residents stability on the site of REIPs (with 3 groups of dwellers, removers and newcomers). We survey about understanding of those projects, each interior physical housing characters, housing cost, outside settlement characters. On the base of case analysis, we can conclude as follows: firstly, the residents are more young, higher educated, and higher income but not alter to household, barrier, occupation. Secondly, REIPs have some positive influences on physical conditions of housing and outside characters but negative impacts on housing cost. In case of newcomers, there are no changes of housing size and room numbers but higher housing cost, better outside settlement conditions.

본 연구는 주거환경개선사업의 원주민 재정착보다 포괄적인 사업의 공공성 측면인 주거안정에 초점을 둔 것으로, 주거환경개선사업이 사업 전 후시점의 거주자(지구거주자, 재입주자, 신규입주자)의 주거안정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주거환경개선사업의 시행이전 지구, 시행완료된 준공지구에서 각각 다른 유형의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항목은 주거환경개선사업에 대한 주민인식과 주거안정 관련한 개별주택 내부의 물리적 환경 측면, 주거비용측면, 개별주택의 외부 주거환경 측면을 조사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주거환경개선 사업으로 인해 입주자들은 보다 젊은 층, 고학력, 고소득계층으로 변화하지만 가구구성과 장애여부, 직업구성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둘째, 주거환경 개선사업이 주거안정에 미친 영향을 보면 지구거자는 향후 주택의 물리적 여건과 주거외부환경은 양호해지나 주거비용에 대한 부담을 많이 호소하였다. 재입주자의 경우 주택면적과 방수는 증가하여 물리적 여건은 양호해지고 주거비용측면에서 비용증가, 주거외부환경은 양호해지는 형태를 보였다. 신규입주자는 주택의 물리적 여건인 주택면적이나 방수의 변화는 차이가 없고 주거비용은 상승, 외부환경은 양호해지는 형태를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고혜진, 이근복, 황희연(2009), "농어촌주거환경개선사업의 시행결과에 대한 인식차이 분석 : 청원군 공무원과 주민의 의견을 토대로", 농촌계획, 16(3) : 23-32.
  2. 국가인권위원회(2005), 개발사업지역 세입자 등 주거빈곤층 주거권 보장 개선방안을 위한 실태조사.
  3. 국토연구원(2005), 주거환경개선사업의 원주민 재정착 제고방안 연구.
  4. 국토해양부(2010), 도시 및 주거환경 정비사업 여행.
  5. 김윤이(2007), "개발사업지역 세입자 주거대책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도시와 빈곤, 85 : 94-116.
  6. 김윤이(2011), "주거취약계층 주거지원사업의 현황과 개선 방향", 도시와 빈곤, 90 : 61-80.
  7. 김형배, 김혜천(2009),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에서의 원주민 현지 재정착 요인의 특성에 관한 기초연구", 지역개발연구, 41(2) : 55-67.
  8. 김호철(2002), "주거환경개선사업의 사후평가에 관한 연구 : 공동주택건설방식을 중심으로", 도시행정학보, 15(1) : 53-67.
  9. 대한주택공사(2004),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 주민의 주거안정 대책에 관한 연구.
  10.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2013), 3단계 주거환경개선사업의 새로운 패러다임 및 운영방안, 국토교통부.
  11. 박정은, 최병선(2004),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 지정기준항목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9(1) : 179-190.
  12. 배웅규, 서수정, 이창호, 임정민(2009), "사회적 재정비를 위한 거점확산형 주거환경개선사업 도입방안 연구", 국토연구, 60 : 3-28.
  13. 봉인식(2010), 경기도 뉴타운 주거안정지수 개발연구, 경기개발연구원.
  14. 서울특별시(2007), 뉴타운사업에 따른 원주민 재정착률 제고 방안.
  15. 장영희, 박은철(2008), 뉴타운사업의 단계적 시행방안 연구.
  16. 진미윤(2004),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의 주민민원 실태분석과 개선방안", 국토계획, 39(4) : 65-79.
  17. 최광룡, 하규수(2012), "서울시 주거환경개선사업 정책의 실효성에 관한 연구 : 수혜자와 공급자의 인식비교",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4(4) : 169-184.
  18. 한국토지주택공사(2010), 도시재생사업업무편람.
  19. 한국토지주택공사(2010), 주거환경개선사업 업무편람.
  20. 홍인옥(2002), "주거환경개선사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모색", 도시와 빈곤, 57 : 98-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