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 영역의 내용 영역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Content Domains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Mathematics

  • Cho, Seongmin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sation) ;
  • Kim, Jaehong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sation) ;
  • Choi, Jiseon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sation) ;
  • Choi, Inseon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sation)
  • 투고 : 2014.02.16
  • 심사 : 2014.04.12
  • 발행 : 2014.05.15

초록

대학수학능력시험은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대학 교육에 필요한 수학 능력을 측정하는 시험으로, 대학입시제도가 갖고 있는 사회적 영향력으로 인해 모든 국민의 관심을 받고 있는 고부담 시험이다. 대학수학능력시험은 교육 과정의 개정에 따른 영향 뿐 아니라 공교육의 정상화, 수험생의 학습 부담 완화 등과 같은 외적 요인에 의해 여러 차례 변화되어왔다. 본 고에서는 교육과정의 개정에 따른 수학 영역의 평가 내용의 변화와 해외 대학입학 수학시험의 내용 영역에 대한 분석을 통해 향후 대학수학능력시험의 개선 방향 탐색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is the Korean national university examination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The CSAT is a high-stakes test because of powerful social forces which the college admission system has in Korea. This examination has changed many times through not only the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but also various external factors including the normalization of public education, mitigating the burden of students, etc. This study analysis the changes of assessment contents of the Mathematics of the CSAT due to the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Additionally, this study analysis the mathematics content domains of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s in some foreign countrie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analysis, this study will derive implications for improvement directions of the Mathematics of the CSAT.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승호 (2007). 미국 SAT의 평가내용과 타당도 및 유용성에 관한 연구. 교육평가연구, 20(2), 125-150.
  2. 강현석 (2009). 대학수학능력시험과 중등학교 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에 대한 토론. 제2회 KICE 교육과정․평가 정책 포럼: 대학수학능력시험의 현안과 미래 전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ORM 2009-22, 99-108.
  3. 교육과학기술부 (2011).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 [별책 8].
  4. 교육부 (2013). 2017학년도 대입제도 확정. 교육부 보도자료 2013.10.25.
  5. 김신영 (2009). 대학수학능력시험의 개선 방안 탐색. 교육평가연구, 22(1), 1-27.
  6. 남진영.정연준 (2011). 중국의 대학입학 수학 시험 분석 연구. 학교수학, 13(1), 1-17.
  7. 남진영 (2013).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 영역의 변화 연구. 교육과정평가 연구, 16(1), 211-229.
  8. 박경미 (2010). '학년군'과 '수학적 과정'을 중심으로 한 외국 수학과 교육과정의 최근 경향 비교․분석. 학교수학, 12(4), 667-686.
  9. 서민원 (2009). 공교육 발전과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미래 전망에 대한 토론. 제2회 KICE 교육과 정․평가 정책 포럼: 대학수학능력시험의 현안과 미래 전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ORM 2009-22, 150-155.
  10. 신일용.박기범.박종훈.남진영.전영주.김용명.고현숙.박진동.황인표.신항수.장의선.강대현.이정우.동효관.최혁준.김현경.구자옥.이용백.장호성.변은주 (2010). 중국 대학입학 시험 문항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ORM 2010-63.
  11. 양길석 (2010).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변천 과정과 쟁점 분석. 교육평가연구, 23(4), 765-791.
  12. 이근님.남명호.홍후조 (1998).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장기 발전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98-7.
  13. 이만근 (2002). 수리 영역의 주요국 대학입학시험 문제 비교 연구에 대한 토론. 대학수학능력시험 문항의 질 개선을 위한 주요국 대학입학시험 문제 비교 세미나: 한국, 프랑스, 독일, 영구, 일본, 중국.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ORM 2002-14, 71-74.
  14. 이봉주.김창일 (2013). 2007년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선택과목 교과서의 수학교사 체감난이도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52(1), 1-17. https://doi.org/10.7468/mathedu.2013.52.1.001
  15. 이상하.최혁준 (2013).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물리I 선택 요인 분석. 교육과정평가연구, 16(1), 231-251.
  16. 이양락.조윤동.박선화.고호경.이진호 (2008). 201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리영역 출제 체제 공청회.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ORM 2008-17.
  17. 이양락.조지민.신일용.조윤동.이명애.신택수.박기범.이광상.김용명.강대현.김동영.김현경.김진구.김영춘 (2010). 201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체제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대수능 CAT 2010-3.
  18. 이재학 (2002). 수리 영역의 주요국 대학입학시험 문제 비교 연구. 대학수학능력시험 문항의 질 개선을 위한 주요국 대학입학시험 문제 비교 세미나: 한국, 프랑스, 독일, 영구, 일본, 중국. 한국 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ORM 2002-14, 29-70.
  19. 이정례.이경희 (2012). 수학 기초학력과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리 영역 성적의 관계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 2012 춘계학술대회 프로시딩, 41-47.
  20. 이종승 (2009).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변천 과정과 개선 방향. 제2회 KICE 교육과정․평가 정책 포럼: 대학수학능력시험의 현안과 미래 전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ORM 2009-22, 3-29.
  21. 이종재 (2009). 공교육 발전과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미래 전망. 제2회 KICE 교육과정․평가 정책 포럼: 대학수학능력시험의 현안과 미래 전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ORM 2009-22, 115-143.
  22. 장혜원 (2012). 미국의 수학교육과정 규준 CCSSM의 수학적 실천에 대한 고찰. 수학교육학연구, 22(4), 557-580.
  23. 전영주 (2011). 중국 대학입학시험의 수학 평가내용 및 구성 고찰.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4(1), 85-100.
  24. 전영주 (2013).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수리) 영역 변천사. 한국수학사학회지, 26(2-3), 177-195. https://doi.org/10.14477/jhm.2013.26.2_3.177
  25. 조윤동.남진영.고호경 (2009). 한, 중, 미, 일의 전국단위 대학입학시험 수학과 출제체제 비교를 통 한 수리 영역 개선 방안 연구. 학교수학, 11(4), 547-565.
  26. 한경동.장경호 (2011).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경제를 선택하는 학생의 특성 분석. 경제교육연구, 18(2), 45-57.
  27. 한국과학창의재단 (2011).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교육과정 연구. 정책연구 2011-11.
  28.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5a). 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 매뉴얼-수리영역.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9.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5b). 대학수학능력시험 10년사II.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ORM 2005-32-2.
  30.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4). http://suneung.re.kr/contents.do?contentsNo=17&menuNo=222 (검색일: 2014. 2.3.)
  31. 황석근, 윤정호 (2013). 수학적 연결성을 고려한 연속확률분포단원의 지도방안 연구. 학교수학, 13(3), 423-446.
  32. Cimetta, A. D., D'Agostino, J. V., & Levin, J. R. (2010). Can high school achievement tests serve to select college students? Educational Measurement: Issues and Practice, 29(2), 3-12.
  33. Common Core State Standards Initiative (2014). Common Core State Standards for Mathematics. http://www.corestandards.org/math(검색일: 2014.2.10.)
  34. The College Board (2009). The official SAT study guide. The College Board.
  35. The College Board (2010). The official SAT Subject Tests in Mathematics Levels 1 & 2. The College Board.
  36. The College Board (2014a). (검색일: 2014. 2. 3.)
  37. The College Board (2014b). http://sat.collegeboard.org/practice/sat-subject-test-preparation/ mathematics-level-1 (검색일: 2014. 2. 3.)
  38. The College Board (2014c). http://sat.collegeboard.org/practice/sat-subject-test-preparation /mathematics-level-2 (검색일: 2014. 2. 3.)

피인용 문헌

  1. 대학수학능력시험과 수학진단평가의 상관관계 분석 vol.30, pp.4, 2014, https://doi.org/10.7858/eamj.2014.033
  2. 공과대학 신입생들의 수학에 대한 인식변화에 따른 대학수학 교육방향 연구 vol.29, pp.3, 2014, https://doi.org/10.7468/jksmee.2015.29.3.513
  3. 중위권 공과대학 신입생들의 수학적 성향의 변화 분석 vol.29, pp.4, 2015, https://doi.org/10.7468/jksmee.2015.29.4.745
  4.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고등학교 수학 교사의 선호도 비교 vol.55, pp.1, 2014, https://doi.org/10.7468/mathedu.2016.55.1.129
  5.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반영한 대학 미적분학 교과에 대한 탐색 vol.31, pp.3, 2017, https://doi.org/10.7468/jksmee.2017.31.3.3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