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Politics of Hollywood Conspiracy Films in the Era of Late Capitalism

후기 자본주의 시대 헐리우드 음모론 영화의 정치성

  • 이지행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 Received : 2013.11.05
  • Accepted : 2014.02.17
  • Published : 2014.03.28

Abstract

Conspiracy theory is often considered as a kind of paranoid and an act of throwing all the blame solely on the Big Other who is presumed to control all the incidents behind the curtain. While, it is also assessed as a socio-political sub-culture and a way of interpreting the world full of closure and insufficient information, keeping us from grasping 'the totality'. Meanwhile recent conspiracy films reflect the ever dense and concealed anatomy of the world now. And it reveals some kind of ideological tendency which is, 'sense of catastrophe' and 'non-ideology' reflecting the world of late capitalism society. This article intends to examine the altered representational appearance and ideology in recent conspiracy films so as to understand how the conspiracy theory, the social-political interpretational mechanism, is converged into the film narrative against the backdrop of late capitalism, a socio-political condition we live in.

음모론은 현실에서 일어나는 부당한 상황에 대한 책임을 '사건의 뒤에서 모든 것을 조종하는 존재'인 큰 타자에 돌림으로써 비판론자들로부터는 책임전가이자 일종의 편집증이라는 평가를 받지만, 은폐와 불충분한 정보로 인해 총체성을 파악하기 어려운 이 세계를 해석하는 하나의 방식이자 일종의 정치사회적 하위문화 Sub-culture로서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한편 최근 음모론 영화의 재현 방식은 외형적으로 가시적이고 리버럴하지만 내적으로는 더욱 촘촘한 은폐가 작동하고 있는 지금의 후기 자본주의 체제 하의 세계를 반영하며 그 안에서 파국의 정서와 무정치성이라는 어떤 이데올로기적 경향성을 드러낸다. 본고는 당대 헐리우드 음모론 영화들에서 보이는 변화된 재현의 특징과 그 재현이 지시하는 이데올로기를 분석해 봄으로써, 음모론이라는 정치 사회적 해석 기제가 후기 자본주의라는 정치사회적 자장을 배경으로 현재 내러티브 재현의 장에서 어떤 식으로 수렴 및 변화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변정수, "일상의 정치적 무기력이 빚은 과잉 정치 담론: 음모론의 대중심리", 당대비평, 제25집, p.150, 2004.
  2. John S. Nelson, "Conspiracy as a Hollywood Trope for System," Political Communication, Vol.20, No.4, p.500, 2003(재인용).
  3. 전상진, "한국 정치의 편집증적 스타일: 한국 정치 커뮤니케이션과 음모론", 경제와 사회,제85집, p.155, 2010(재인용).
  4. 프레드릭 제임슨, 지정학적 미학, 현대미학사, pp.31-32, 2007.
  5. Mark Fenster, Conspiracy Theories: Secrecy and Power in American Culture, Univ. of Minnesota Press, p.116, 2008.
  6. Temenuga Trifonova, "Agency in the Cinematic Conspiracy Thrillers", SubStance, Vol.41, No.3, p.109, 2012.
  7. Temenuga Trifonova, "Agency in the Cinematic Conspiracy Thrillers", SubStance, Vol.41, No.3, p.111, 2012.
  8. 한나 아렌트, 예루살렘의 아이히만, 한길사, 2006.
  9. 허문영, "[전영객잔] 본 시리즈에 대한 뒤늦은 생각들", <씨네 21>, 2007.11.08. http://www.cine21.com/do/article/article/typeDispatcher?mag_id=48974
  10. Slavoj Zizek, Living in the End Times, Verso, 2011.
  11. 복도훈, 묵시록의 네 기사, 자음과 모음,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