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roduction Techniques for Goryeo Wooden Lacquerware

고려시대 목심칠기 木芯漆器의 제작기법 연구

  • Yi, Yonghee (Conservation Science Department National Museum of Korea) ;
  • Park, Suzin (Conservation Science Department National Museum of Korea) ;
  • Yun, Eunyoung (Conservation Science Department National Museum of Korea) ;
  • Jung, Hyejin (Conservation Science Lab, Gyeongju National Museum)
  • 이용희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 ;
  • 박수진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 ;
  • 윤은영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 ;
  • 정혜진 (국립경주박물관 보존과학실)
  • Received : 2014.06.12
  • Accepted : 2014.09.05
  • Published : 2014.10.30

Abstract

To examine the materials, production techniques, and key features of Goryeo wooden lacquerwares, scientific analysis was conducted on six relevant lacquerware items. All of the items, except for a lacquered bowl duksu 4123, were found to have been made by first covering the surface of the wood with cloth and then varnishing with lacquer. The wooden frames of flower-shaped lacquered case and pine leaves shape lacquered case were made by wrapping thin wood around either the lid or bottom panel. In most cases, microscopic analysis revealed a lower layer of lacquer mixed with bone ash and bone dust, followed by an upper varnish layer of lacquer. SEM-EDS analysis and μ-XRF Micro-X-ray Fluorescence analysis showed that vermilion lacquer mixed with cinnabar was used on the surface. A lid decorated with a dot pattern was made by first varnishing the surface with yellow lacquer mixed with orpiment, and then irregular dot pattern with a mixture of black lacquer and soot. The vermilion lacquer used to varnish the side of the lacquered bowls was composed of lacquer mixed with cinnabar and minium Red Lead.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고려시대 칠기 6점을 대상으로 엑스선 X-ray 촬영과 현미경 조사, SEM-EDS 분석 등 과학적인 조사를 실시하여 고려시대 칠기의 재질 및 제작기법의 특징을 연구하였다. 조사 결과 칠제합 덕수 4123을 제외한 나머지 고려시대의 칠기 유물은 목심 木心 표면에 직물 織物을 입혀 옻칠을 한 목심저피칠기 木芯紵皮漆器 양식으로 만들어졌음이 밝혀졌다. 화형합과 송엽형합의 목심은 뚜껑의 천판 天板 이나 몸체 바닥판의 외각에 두께가 얇은 띠 모양의 목재를 돌려 감아 기벽을 만들었다. 또한 꽃모양 칠제배 덕수 4124는 권태 捲胎 양식 樣式과 유사하게 띠 모양의 목재를 나선형으로 감아올려 기벽을 형성한 후 바닥을 판재로 막고 굽을 달아 칠기 잔의 형태를 만든 것으로 나타났다. 현미경을 이용한 광학적 조사에서는 목재나 직물심 위에 골분 骨粉을 혼합한 골회 骨灰 옻칠을 먼저 하고, 그 위에 다시 옻칠을 중첩하여 바르는 칠기법이 공통적으로 확인되었다. SEM-EDS 및 μ-XRF 미소부 형광X-ray 분석 결과 꽃모양 칠제배 덕수 4124 표면에는 진사 辰砂: HgS를 섞은 주칠 朱漆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뚜껑에 반점 무늬가 있는 송엽형 칠제합 덕수 4190은 석황 石黃: As2S3을 섞은 황색 칠을 도장하고 그 위에 연매 煙煤를 혼합한 흑색칠로 불규칙한 반점을 찍어 독특한 무늬를 표현한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 칠제합의 측면에 발라진 주칠에는 진사와 연단 鉛丹: Pb3O4을 혼합한 옻칠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