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김계환, 박준모, 서병수, 변무섭, 오현경, 임성구, 2005, 만경강과 동진강(전북) 하천변의 식생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05(1), 48-49.
- 김창환, 이경보 , 김재덕, 조태동, 김문숙, 2005, 전북 동진강 하구역 일대의 염습지 식물상 및 식생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14(9),817-825. https://doi.org/10.5322/JES.2005.14.9.817
- 노백호 등, 2006, 지속가능한 하구역관리방안(III).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RE-02
- 류주형 등, 2003, 곰소만 조간대 퇴적물의 Landsat ETM+자료특성, 대한원격탐사학회지, 19(2), 117-133.
- 박성우 등, 2003, 위성영상을 이용한 강화도 남단갯벌의 DEM추출, 한국GIS학회, 11(1), 13-22.
- 이정전 외, 2001, 새만금간척사업의 경제적 타당성논쟁: 편익추정을 중심으로, 한국재정학회 재정논총, 15(2).
- 오현경, 김세천, 유주한, 2013, 서천갯벌 습지보호지역의 염생식물상과 식생,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지, 22(5), 409-426. https://doi.org/10.14249/eia.2013.22.5.409
- 이윤경, 엄진아, 유주형, 원중선, 2007, 강화도 동검도 주변 조간대 내에 서식하는 염생식물의 분광특성 분석,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3(6), 575-581. https://doi.org/10.7780/kjrs.2007.23.6.575
- 장진호, 2008, 보호지역 지정을 위한 갯벌의 평가기준 개발과 전남 지역갯벌의 평가. 한국환경과학회지, 17(2), 1391-1402. https://doi.org/10.5322/JES.2008.17.12.1391
- 정종철, 2011, 시화갯벌식생의 시공간적 범위 분석,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3), 349-356.
- 정종철 등, 2006, 다중시기 위성영상을 이용한 시화방조제 내만 식생변화탐지, 한국환경과학회지, 15(4), 373-378.
- 정종철, 2013, 갯벌의 탄소순환 모델 인자 연관분석,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13 추계학술대회.
- Boyd, R., Dalrymple, R.W. and Zaitlin, B.A., 1992. Classification of clastic coastal depositional environments. Sed. Geol., 80, 139-150. https://doi.org/10.1016/0037-0738(92)90037-R
- Diaz R.J, Solan. M, Valente R. M, 2004, A review of approaches for classifying benthic habitats and evaluating habitat quality.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73, 165-181. https://doi.org/10.1016/j.jenvman.2004.06.004
- Diefenderfer H.L., et al., 2009, Multiscale analysis of restoration priorities for marine shoreline planning. Environmental Management 44, 712-731. https://doi.org/10.1007/s00267-009-9298-4
- Woo H.J. et al., 2006, Changes of Sedimentary Environments in the Saemangeum Tidal Flat on the West Coast of Korea, Ocean and Polar Research, 28(4), 361-368. https://doi.org/10.4217/OPR.2006.28.4.361
- Zhen Xu et al., 2013, Research of topography changes by artificial structures and scattering mechanism in Yoobu-Do intertidal flat using remote sensing data, KSRS, 29(1), 57-68. https://doi.org/10.7780/kjrs.2013.29.1.6
Cited by
- Mapping of Vegetation Using Multi-Temporal Downscaled Satellite Images of a Reclaimed Area in Saemangeum, Republic of Korea vol.9, pp.3, 2017, https://doi.org/10.3390/rs90302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