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Study for understanding the Pre-Service Teachers' View about Middle School Teacher's Role

중등교사 역할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분석

  • Received : 2014.03.17
  • Accepted : 2014.04.11
  • Published : 2014.04.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iew of pre-service teachers' about middle school teacher's role using reflective writing. Pre-service teachers considered meaning of education is sympathy and discovery. Therefore they considered middle school teacher's role is discoverer of dream and subject master. The consideration of pre-service teachers' about education and middle school teacher's role was affected by their schooling experience.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is study are follows: First, the view of pre-service teachers' about teacher's role must not judgement according as former grouping on teaching profession. Second, The view of pre-service teachers about middle school teacher's role is different with reality. So middle school management should be improve to minimize foreseeing dilemma. Third, To do improve pre-service teachers' reflecting thought, various opportunity should be supported. Forth, it is need the institutional improvement and reflection for pre-service teachers' curriculum.

본 연구목적은 예비교사들이 인식하는 중등교사의 역할을 분석,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교직과정을 이수 중인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반성적 글쓰기를 실시하고, Colaizzi의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은 중등교육의 의미를 공감과 발견으로, 중등교사의 역할을 공감과 소통을 통한 꿈의 발견과 이의 실현을 위한 교과전문가로 여기고 있었다. 이러한 인식 형성은 경험과 이상의 불일치라는 과거 학교교육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21세기 예비교사들의 중등교사 역할 인식은 기존 교직관에 비추어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삶의 맥락에 주목한 지속적인 인식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예비교사들이 인식하는 중등교사 역할은 학교현장에서 요구되는 역할과는 다르며 이로 인해 이들이 학교현장에서 겪게 될 정체성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한 중등교육 개선이 요구된다. 셋째, 예비교사들의 반성적 성찰자로서의 면모는 교사전문성을 위한 정체성 확립 및 교육개혁의 근간으로 예비교사 교육과정에서 이를 위한 다양한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 넷째, 임용고시준비로 운영되는 현 예비교사 교육과정에 대한 교수자, 예비교사들의 반성과 함께 제도적 차원에서의 개선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정영근, "중등교사의 교육적 의미와 역할과제", 한국교육학연구, 제8권, 제1호, pp.89-109,, 2003.
  2. 전숙녀, 중등교사의 교육정향성에 관한 연구, 동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3. 백은주, 박혜미, "예비유아교사의 교육목표, 교수활동과 평가, 교사역할에 대한 교수신념유형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7권, 제4호, pp.225-248, 2012.
  4. 박성미, "예비 초등교사의 역할정체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상담학연구, 제6권, 제1호, pp.229-244, 2006.
  5. 김남순, "교원양성기관 학생들의 교직관 비교", 생활지도연구, 제22권, pp.103-117, 2003.
  6. 손충기, 김영태, "사범대학생 및 교직과정 이수자의 교육의식 조사", 교육연구, 제23권, pp.1-32, 2004.
  7. 박은혜, 유아교사, 서울, 창지사, 2005.
  8. V. Richardson, (Ed)., Constructivist Teacher Education. Bristol: Falmer Press, 1997.
  9. 김남순, "교원양성기관 학생들의 교직관 비교연구", 한국교사교육, 제11권, pp.133-154, 1995.
  10. 윤혜승, "교사의 역할수행에 있어서 인격적 상호작용의 중요성에 관한 연구", 교육의 이론과 실천, 제13권, 제2호, pp.149-175, 2008.
  11. S. Heck and R. Williams, The Complex Roles of the Teachers, 황기우 역, 원미사, 1998.
  12. 고재천, "교사 역할 수행 관점의 재검토", 초등교육학연구, 제17권, 제1호, pp.1-24, 2010.
  13. 박종덕, "인성교육과 교사의 전문성: 초등교사의 역할에 주는 시사", 초등교육연구, 제20권, 제3호, pp.107-127, 2007.
  14. 홍은숙, "교직관에 따른 전문직 교원윤리의 성격재음미", 교육철학연구, 제33권, 제3호, pp.187-212, 2011.
  15. 김운종, "미래교육을 위한 교직관의 적합성 검토",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6권, 제4호, pp.79-84, 2009.
  16. 김성열, "학교혁신을 위한 교사와 교장의 역할", 지방교육경영, 제9권, pp.99-117, 2005.
  17. 조한숙, 문혁준, "교사의 변혁적 리더십, 교사신뢰, 공감적 이해수준 및 아동의 학습동기와의 관계", 아동학회지, 제30권, 제5호, pp.23-39, 2009.
  18. 정영근, "글로벌 경쟁시대의 교직관과 교사의 역할", 교육의 이론과 실천, 제13권, 제1호, pp.175-191, 2008.
  19. 박고훈, 박분희, "교사교육의 반성과 대안 탐색(중등교원 양성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학회, 제19권, 제1호, pp.245-271, 2002.
  20. 김병찬, "사범대생들의 사범대학 진학 동기와 적응과정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제20권, 제1호, pp.57-83, 2003.
  21. 한재영, "사범대학 예비교사의 삶과 정체성 변화연구", 교사교육연구, 제51권, 제1호, pp.75-89, 2012.
  22. 박영민, 김종백, 우은실, "반성적 쓰기 활동이 학생필자의 쓰기 능력 및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학연구, 제12권, 제1호, pp87-102, 2006..
  23. 김준희, "'자기'에 대한 이해의 글쓰기 교육 연구" 겨레어문학, 제47권, pp.33-59, 2011.
  24. 김민정, "대학 글쓰기교육에서의 '반성적 쓰기'의 활용과 의의", 한국문학이론비판, 제13권, 제4호, pp.451-480, 2009.
  25. S. S. Swain, Studying teachers' transformation: Reflection as methodology, The Clearing House, Vol.72, No.1, pp.28-34, 1998. https://doi.org/10.1080/00098659809599381
  26. P. Colaizzi, Psychological research as phenomenologist views it. In R. Valle & King(Eds.), Existential phenomenological alternative for psychology(pp.48-71),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78.
  27. 허정철,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이 진로의사결정유형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8호, pp.533-441, 2009.
  28. 이병승, "교사교육에 있어서 교육철학 교수의 역할", 교육연구, 제21권, pp.1-20, 2007.
  29. 이상준, 윤관호, 김성윤, "교육서비스의 만족도지수 모형개발 및 IPA를 통한 개선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1호, pp.510-521,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1.510

Cited by

  1.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Effective Teaching Behaviors vol.15, pp.2,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2.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