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농촌지역 다문화가정 아동의 감각처리능력과 사회성숙에 관한 연구

The Influence on Sensory Processing Ability and Social Maturity of Multicultural Children in Farming Villages

  • 김희동 (동신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 장연식 (동신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 백지영 (동신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 한재복 (동신대학교 방사선학과)
  • 투고 : 2014.01.23
  • 심사 : 2014.02.28
  • 발행 : 2014.04.28

초록

본 연구는 농촌지역 다문화가정 아동의 감각처리능력이 사회성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향후 농촌지역 다문화가정 아동을 양육지원하기 위한 교육정책과 적절한 사회성숙도를 통한 사회적응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안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상북도와 전라남도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정 아동 54명을 대상으로 단축감각프로파일, 사회성숙도검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로 수집된 자료는 통계처리를 통해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각처리능력은 평균 $154.33{\pm}21.24$점, 사회성숙도의 영역 중 사회연령은 $5.46{\pm}1.76$세, 사회지수는 $91.28{\pm}18.31$로 각각 감각처리능력과 사회성숙도의 지연을 보였다. 둘째, 감각처리능력이 사회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은 사회연령의 영역에 움직임 민감성, 과소반응/특정자극 찾는 행동, 활력이 부족하고 허약함에 해당하는 항목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5), 사회지수의 영역에서는 움직임 민감성, 과소반응/특정자극 찾는 행동, 청각 여과하기, 활력이 부족하고 허약함의 항목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5). 셋째, 감각처리능력이 사회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의 변인 분석 결과에서는 사회성숙도의 영역 중 사회연령 영역에 45.3%, 사회지수 영역에 66.3%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to examine how sensory processing ability of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farming areas can affect their social maturity. Short sensory profile and social maturity scale were conducted to fifty four children of multinational parents who live in Gyeongsangbuk-do and Jeollanam-do. The data were analysed by statistics process. The result of the analysis revealed three findings. Firstly, there exieted certain delays in sensory processing ability and social maturity. Multicultural children had an average point of $154.33{\pm}21.24$ regarding sensory processing ability and with regards to social age and social quotient of social maturity of them were 1.76 year old and $91.28{\pm}18.31$ point respectively. Another interesting finding is that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influence, in which sensory processing ability of the example group affected social maturity, were found in categories of movement sensitivity, underresponsive/seeks sensation and low energy/weak of social age part(p<0.0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uditory filtering as well as movement sensitivity, underresponsive sensation and low energy/weak of social quotient area(p<0.05). Finally, variables of the impact on social maturity of the group of children were analysed to examine to what extent sensory processing ability of the children had affected and the influencing rate of social age and social quotient of social maturity, with 45.3% and 66.3% respectively.

키워드

참고문헌

  1. 류진아, "농어촌 다문화가정 아동의 적응 유형과 전략에 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회지, 제16권, 제2호, pp.5-27, 2011.
  2. 이재은, 유치원과 연계한 초등교실 환경구성과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3. V. Gathercole, Command of the mass/count distinction in bilingual and monolingual children: An English morphosyntactic distinctio," In Oler & Gathercole, V. (Eds.), Language Transmission in Bilingual Families in Wales. Cardiff, Welsh Language Board, 2002.
  4. 우현경, 정현심, 최나야, 이순형, 이강이,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과 유아기 언어 발달", 아동학회지, 제30권, 제3호, pp.23-36, 2009.
  5. 이지영, "다문화가정 자녀가 지각한 부모애착과 또래애착이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회지, 제65권, pp.169-186, 2010.
  6. 이영주, "국제 결혼한 여성의 자녀에 대한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여성, 제12권, 제2호, pp.83-105, 2007.
  7. 박순희, "다문화가족 아동의 특성과 사회적응", 한국아동복지학, 제29권, pp.125-154, 2009.
  8. 박기관, "다문화시대 결혼이민자의 실태와 정책과제", 한국지방자치학회 동계학술대회 발표자료집, pp.87-106, 2009.
  9. 전숙자, 박은아, 최윤정, 다문화사회의 새로운 이해, 서울: 도서출판 그린, 2009.
  10. A. G. Fisher and E. A. Murray, "Instruction to sensory integration theory" In Fisher, A. G. Murray, E. A. Bundy, A. C. (Eds.), Sensory integration Theory and practice, Philadelphia: F. A. Davis, 1991.
  11. G. Dawson and R. Watling, "Interventions to facilitate auditory, visual, and motor integration: a review of the evidence,"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Vol.30, No.5, pp.415-421, 2000. https://doi.org/10.1023/A:1005547422749
  12. E. Anderson and P. Emmons, Unlocking the Mysteries of Sensory Dysfunction, arlington, Future Horizons, 1996.
  13. 함보현, 김수경, "다문화와 일반 가정의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아동의 감각처리능력 비교",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제8권, 제1호, pp.15-26, 2010.
  14. 곽금주, 다문화가정 아동의 발달과 적응: 다문화 가정에서의 부모-자녀간의 상호작용 패턴과 그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1-21, 2008.
  15. D. N. McIntosh, L. J. Miller, V. Shyu,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ensory profile, In: Dunn W.(Ed.). The sensory profile: Examiner's manual. San Antonio, Psychological Cooperation, 1999.
  16. 김미선, 일반아동과 발달장애아동의 감각처리능력 비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17. 김경미, "단축감각프로파일 타당성 연구",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제2권, 제1호, pp.1-10, 2004.
  18. 김승국, 김옥기, 사회성숙도검사,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1995.
  19. 박미선, 송지훈, 현효진, 김경미, "취학 전 시설보호 아동의 수용기간과 감각조절 기능과의 관계",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제7권, 제1호, pp.59-69, 2009.
  20. 김경미, "감각통합치료의 역사적 고찰",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제1권, 제1호, pp.1-7, 2003.
  21. 강성률, 가족 및 사회적 지지가 다문화가정 자녀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위덕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22. G. T. Baranek, "Autisum during infancy: Aretrospective video analysis of sensory motor and social behaviors at 9-12months of age," Journal Autism Developmental Disorder, Vol.29, No.3, pp.213-224, 1999. https://doi.org/10.1023/A:1023080005650
  23. 장덕희, 이경은, "농촌지역 다문화가족 부부의 문화적응에 미치는 가족요인의 영향", 한국농촌사회학회, 제21권, 제2호, pp.103-139, 2011.
  24. 이지연, 정민예, "학령기 전 아동의 감각처리능력과 문제행동에 관한 연구", 대한작업치료학회지, 제10권, 제2호, pp.57-67, 2002.
  25. J. Case-Smith and T. Brian, "The effect of occupational therapy with sensory interaction emphasis on preschool-age children with autism," Am J Occup Ther, Vol.53, pp.489-497, 1999. https://doi.org/10.5014/ajot.53.5.489
  26. W. Dunn, Sensory profile: User's manual. San Antonio, TX: Psychological Corporation, 1999.
  27. 채수경, 놀이중심의 감각통합치료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아동의 행동 및 감각기능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28. 한미애, 장기언, 김지연, 한수현 , "그룹 감각통합 치료가 발달장애 아동의 운동기능 및 사회성 증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감각통합학회지, 제7권, 제2호, pp.23-35, 2009.
  29. A. C. Bundy, S. Shia, L. Qi, and L. J. Miller, "How does sensory processing dysfunction affect play?,"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61, pp.201-208, 2007. https://doi.org/10.5014/ajot.61.2.201
  30. J. Piaget, 삐아제의 심리학(김재은 역.), 서울: 익문사, 19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