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Development of Key Performance Indicators for Regional Co-Training Programs,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Technique

가중치 분석을 적용한 지역공동형 훈련성과 평가지표 개발

  • 이영민 (숙명여자대학교 여성인적자원개발대학원)
  • Received : 2014.02.03
  • Accepted : 2014.03.14
  • Published : 2014.04.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develop the key performance indicators of regional co-training programs,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method. Firstly, we pooled indicators by reviewing the literatures. The researcher checked the properness and representative of them and then, the training professionals reviewed them again. Finally, we finalized the indicators, depending on the indicator domains such as MOU (Memorandum of Agreement) company (the training participation rate of MOU companies, training participation of employees, and etc.), training performance (the completion of the program, employment rate, and etc.), cost-effectiveness (training cost per capita), satisfaction (satisfaction rate of MOU companies and training participants), and regional co-training enhancement (the operation of the committee, the will for training of the regional municipal government, and etc.). The weight size varied by the regional training needs, satisfaction of MOU companies, and regional committee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We also suggested the continuous revision of the key performance indicators for regional co-training.

본 논문의 목적은 가중치 분석을 통해 지역공동형 훈련성과를 효과적으로 점검할 수 있는 평가지표를 개발하는 것이다. 지표를 개발하기 위하여, 1단계에서는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예비지표 목록을 구성하였고, 2단계에서는 전문가 검토를 통해 지표의 적절성과 대표성을 점검하였으며, 3단계에서는 현장 훈련기관 전담자 검토를 통해 지표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파악하였고, 최종 성과 평가지표를 산출하였다. 4단계에서는 최종지표를 바탕으로 가중치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협약기업 발굴 및 관리실적 영역(협약기업 참여율, 근로자 훈련참여율 등), 훈련실적 영역(수료율, 취업률 등), 비용효과성 영역(1인당 훈련비용), 만족도 영역(협약기업 만족도, 훈련생 만족도), 지역공동 훈련활성화 영역(지역인적자원개발협의체 운영, 지자체의 인력개발 의지 등)별 지표들을 개발하였다. 가중치는 지역산업의 훈련수요 대응, 협약기업 만족도, 지역인적 자원개발협의체 운영 순으로 높았다. 또한 지역공동형 훈련성과 지표에 대한 지속적인 개선과 분석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배용호, 하태정, 김병우, 장병영, 성장과 고용 촉진을 위한 혁신정책의 방향,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6.
  2. 강경종, 윤여인, 최병학, 지방자치단체 주도형 지역인적자원개발 정책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2.
  3. A. Burton-Jones and J. C. Spender, Oxford Handbook of Human Capita, Oxford:Oxford. University Press, 2011.
  4. C. Secolsky and B. D. Denison, Handbook of measurement, assessment, and evaluation in higher education, Florence, KY: Routledge, Taylor& Francis Group, 2012.
  5. M. Pilz, The Future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 Changing World, Wiesbaden:VS Verlag& Springer, 2012.
  6. 고용노동부, 국가인적자원개발 컨소시엄 사업 매뉴얼, 고용노동부, 2013.
  7. 고용노동부, 2013년 업무보고, 내부자료, 2013.
  8. 산업인력공단, 지역.산업 맞춤형 인력양성체계 운영매뉴얼 초안, 산업인력공단, 2013.
  9. 김수원, "중소기업훈련컨소시엄 사업의 평가 및 분석", 직업과 고용서비스연구, 제3권, 제2호, pp. 21-45, 2008.
  10. 권순원, 장홍근, 김성재, 컨소시엄 운영기관 평가시스템 개발 연구, 컨소시엄허브사업단, 2008.
  11. 이영민, 최영섭, 홍성민, "CIPP평가모형 구성요소에 기초한 중소기업 훈련 컨소시엄 운영기관담당자의 인식조사", 산업교육연구, 제11권, 제2호, pp. 91-113, 2009.
  12. 이찬, 컨소시엄 사업의 지원제도 분석 및 효율적 제도개편 방향연구. 컨소시엄허브사업단, 2011.
  13. 이찬, 정철영, 최영준, 문예원, "논리모형을 활용한 국가인적자원개발컨소시엄 사업 성과분석", 직업교육연구, 제31권, 제1호, pp. 195-216, 2012.
  14. 이상준, 이수경, 이지은, 김한준, 국가기간 전략산업직종훈련 운영실태 분석 및 성과평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2.
  15. 황승록, "교육훈련 투자와 기업성과", 패널 브리프 3월호, 2012.
  16. 전명숙, 김주섭, 최형재, 직업능력개발사업의 효과성 측정을 위한 통계지표 정비방안-실업자 훈련을 중심으로, 노동부, 2009.
  17. 지역인적자원 평가지표개발 및 투자실적분석 연구진, 지역인적자원개발관련사업의 평가지표개발 및 투자실적분석방안, 광주전남발전연구원, 2005.
  18. 임세영 원상봉 조세형 조은정, 기업.공고 연계맞춤훈련 평가모델 개발, 중소기업청, 2006.
  19. 오영훈 김미숙 김수원, 직업훈련기관 인증제 연구, 직업능력개발원, 2009.
  20. 조준모, 박상일, 나영선, 안준기, 이재성, 직업능력개발계좌제 시범사업 평가 및 개선방안 연구, 노동부, 2010.
  21. 유경준, 이철인, "실업자 직업훈련의 효과 추정", 노동경제논집, 제31권, 제1호, pp. 59-103, 2008.
  22. 오영균, 고경훈, "지역인적자원개발정책의 평가를 위한 지표의 설계에 관한 연구", 지방행정연구, 제21권, 제3호, pp. 269-294, 2007.
  23. 김주섭, 장혜정, 강순희, 장홍근, 이규용, 직업능력개발훈련사업 평가 개편방안 연구, 노동부, 2011.
  24. 박용성, AHP에 의한 의사결정, 교우사, 2009.
  25. 김순호, 정혜영, 이명훈, "연령별 가중치 분석을 통한 도시의 삶의 질 지표 선정",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7호, pp. 453-462, 2012.
  26. 김삼철, 김일태, "광주 문화산업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평가지표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1호, pp. 677-689, 201 https://doi.org/10.5392/JKCA.2013.13.11.6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