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operation Network and Publication Performance of Korean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through Collaborative Paper Status

공동논문 현황을 통한 정부출연(연)의 협력네트워크 구조와 논문성과와의 관계 분석

  • 정태원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
  • 정동섭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
  • 김정흠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 Received : 2014.02.03
  • Accepted : 2014.03.17
  • Published : 2014.03.31

Abstract

Establishment of efficient cooperative ecosystem of research institutes is important for the efficiency of national innovation system, especially in the era of technology convergence. Performance of institutes inside the ecosystem is dependent on the position of the institutes in the system.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network structure and research performance, and determines significant factors on the research performance. The results of 5 year panel data analysis of SCI journal papers of Korean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s indicate that four network centralities -degree, betweenness, closeness, and eigenvector- and structural holes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 research performance of the institutes. Among the four centralities, closeness and eigenvectors are more significant than others. Implication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for policy of establishing efficient cooperative system are that increasing the cooperative activities of less active institutes is more effective for research performance than increasing the magnitude of cooperative activities of all institutes. Also, when an institute starts a new cooperative relationship, it is better to have relationship with an active institute first.

기관간 협력생태계의 효율은 연구기관의 연구생산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서로 다른 전문분야와 자원을 보유한 한국의 정부출연연구기관이 신생융합기술 시대에 선도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협력체제의 구축이 매우 중요하다. 협력활동의 결과로 나타나는 연구성과는 협력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에 큰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효율적인 협력생태계의 조성을 위해서는 협력네트워크의 정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하며 형성되는 네트워크 구조에 대한 정밀한 사전기획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정부출연연구기관의 협력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이 논문발표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2008년부터 2012년까지 한국의 정부출연연구기관이 발표한 SCI논문을 바탕으로 네트워크분석과 패널회귀분석결과, 4가지 네트워크 중심성(연결정도, 매개성, 근접성, 고유벡터)과 구조적 공백이 논문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4가지의 네트워크 중심성 중 근접중심성과 고유벡터 중심성이 가장 중요한 요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현재 추진되는 정부출연연구기관의 개방적 협력생태계조성을 위한 정책에 중요한 점을 시사한다. 모든 기관의 협력활동 빈도를 단순히 늘리기 보다는 협력활동이 적은 기관의 협력을 우선 늘림으로써 근접중심성을 제고하는 것이 연구성과 제고에 더 효과적이다. 또한 협력활동이 적은 기관과 기존에 협력이 활발한 기관과의 협력을 우선적으로 추진함으로써 고유벡터중심성을 높이는 것이 출연연구기관의 협력을 통한 연구성과 제고에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기초기술연구회 (2009), 기초기술연구회 소관 정부출연연구기관 2008년도 기관평가보고서, 서울: 기초기술연구회.
  2. 기초기술연구회 (2010), 기초기술연구회 소관 정부출연연구기관 2009년도 기관평가보고서, 서울: 기초기술연구회.
  3. 기초기술연구회 (2011), 기초기술연구회 소관 정부출연연구기관 2011년도 기관평가보고서, 서울: 기초기술연구회.
  4. 기초기술연구회 (2012), 2012년도 기초기술연구회 소관 정부출연연구기관 기관평가보고서, 서울: 기초기술연구회.
  5. 기초기술연구회 (2013), 2013년도 기초기술연구회 소관 정부출연연구기관 기관평가보고서, 서울: 기초기술연구회.
  6. 산업기술연구회 (2011), 산업기술연구회 소관연구기관 2010년도 기관평가보고서, 서울: 산업기술연구회.
  7. 산업기술연구회 (2012), 산업기술연구회 소관연구기관 2011년도 기관평가보고서, 서울: 산업기술연구회.
  8. 미래창조과학부 (2013), 출연연구기관(과학기술분야)의 개방형협력 생태계 조성(안): 출연(연)을 창조경제의 선봉으로, 서울: 미래창조과학부.
  9. 장호원 (2012), "정부출연연구기관 수행과제 특성의 다양성이 논문 연구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기술혁신학회,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2012. 11), 149- 163.
  10. 최호영 (2011), "과학기술계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연구개발성과 결정요인-한국과학기술연구원 (KIST) 사례연구-", 기술혁신학회지, 14(4): 791-812.
  11. Ahuja, G. (2000), "Collaboration Networks, Structural Holes, and Innovation: A Longitudinal Study",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45(3): 425-455. https://doi.org/10.2307/2667105
  12. Allen, T. J. (1984), "Managing the Flow of Technology: Technology Transfer and the Dissemination of Technological Information within the R&D Organization", MIT Press Books, Vol 1.
  13. Autant-Bernard, C., Billand, P. and Bravard, C. (2007), "Network Effects in R&D Partnership Evidence from the European Collaborations in Micro and Nanotechnologies", In DIME-Workshop on 'Interdependencies of Interactions in Local and Sectoral innovation Systems'.
  14. Burt, R. S. (2009), Structural Holes: The Social Structure of Competi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15. Cohen, W. M., Levinthal, D. A. (1990), "Absorptive Capacity: A New Perspective on Learning and Innovation", Administration Science Quarterly, 35(1): 128-152. https://doi.org/10.2307/2393553
  16. Crase, D., Rosato, F. D. (1992), "Single versus Multiple Authorship in Professional Journals",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Recreation & Dance, 63(7): 28-31.
  17. Eom, B. Y. and Lee, K. (2010), "Determinants of Industry-Academy Linkages and, Their Impact on Firm Performance: The Case of Korea as a Latecomer in Knowledge Industrialization", Reasearch Policy, 39(5): 625-639. https://doi.org/10.1016/j.respol.2010.01.015
  18. Ferriani, S., Cattani, G., Baden-Fuller, C. (2009), "The Relational Antecedents of Project-Entrepreneurship: Network Centrality, Team Composition and Project Performance", Research Policy, 38(10): 1545-1558. https://doi.org/10.1016/j.respol.2009.09.001
  19. Goetze, C. (2010), "An Empirical Enquiry into Co-Patent Networks and Their Stars: The Case of Cardiac Pacemaker Technology", Technovation, 30(7): 436-446. https://doi.org/10.1016/j.technovation.2010.03.003
  20. Lemmens, C. E. (2004), Innovation in Technology Alliance Networks, Edward Elgar.
  21. Mark S. G. (1973), "The Strength of Weak Tie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78: 1360-1380. https://doi.org/10.1086/225469
  22. Ponomariov, B. L. and Boardman, P. C. (2010), "Influencing Scientists' Collaboration and Productivity Patterns Through New Institutions: University Research Centers and Scientific and Technical Human Capital", Research Policy, 39(5): 613-624. https://doi.org/10.1016/j.respol.2010.02.013
  23. Powell, W. W. (Eds) (1999), "Network Position and Firm Performance: Organizational Returns to Collaboration in the Biotechnology Industry", Research in the Sociology of Organizations, 16(1): 129-159.
  24. Rigby, J. and Edler, J. (2005), "Peering Inside Research Networks: Some Observations on the Effect of the Intensity of Collaboration on the Variability of Research Quality", Research Policy, 34: 784-794. https://doi.org/10.1016/j.respol.2005.02.004
  25. Stuart, T. E. (1998), "Network Positions and Propensities to Collaborate: An Investigation of Strategic Alliance Formation in a High-Technology Industry",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668-6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