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the Criticality and The Priority for Developing Creative Cluster of The National Industrial Complex - For the Gumi National Industrial Complex

국가산업단지의 창조클러스터화를 위한 발전방안 우선순위 도출: 구미국가산업단지를 대상으로

  • 최일용 (구미전자정보기술원 기업진흥팀) ;
  • 한장협 (경북대학교 대학원 경영학부)
  • Received : 2013.10.16
  • Accepted : 2014.02.14
  • Published : 2014.03.31

Abstract

Recently, due to the global economic crisis and prolongation of slow growth period, many countries have proposed creative economy as an important policy for economic growth. Korea has also progressed important policies such as development of creative industries, start-up activation and employment creation through creative economy as a key policy. However, each country has a different definition of creative economy and detailed field to promote, and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creative economy of industrial complexes and activation plans of creative industries. This study derived the priority order and importance of development plans to develop into creative clusters through AHP analysis base on Gumi National Industrial Complex that have had a significant role in the national economy since the 1970s. As a result, the creativity enhancing factor was the highest priority, followed by creative infrastructure and network. These results mean that it is necessary to promote creativity in order national industrial complexes to continuously lead national economy and for this purpose it needs to prioritize the development of creative human resources and to extend the creative R&D. This study can be provided to government and local policy makers and innovation agencies as basis data and practical policy guide to establish a successful creative cluster by deriving the priority order in reflection of both hardware and software policies such as infrastructure to develop national industrial complex into creative cluster.

최근 글로벌 경제위기와 저성장기조의 장기화로 많은 국가에서 경제성장을 위한 중요정책으로 창조경제를 제시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핵심 정책으로 창조경제를 통한 창조산업 육성과 창업활성화, 일자리 창출 등을 주요 정책으로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국가마다 창조경제에 대한 정의와 추진하는 세부분야가 상이하며, 국가산업단지의 창조경제 및 창조산업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70년대 이후 국가경제에서 중요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구미국가산업단지를 중심으로 창조클러스터로 발전하기 위한 발전방안의 우선순위 및 중요도를 AHP분석을 통해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창조성 촉진 요인이 우선순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창조인프라, 창조네트워크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국가산업단지가 국가경제를 지속적으로 견인하기 위해서는 창조성을 촉진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 창조적 인재양성과 창조적 R&D의 확대가 우선하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국가산업단지를 창조클러스터로 발전시키기 위한 방안을 인프라 등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정책 모두를 반영하여 우선순위를 도출함으로써 정부 및 지역 정책입안자들과 혁신기관에게 성공적인 창조클러스터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와 실질적인 정책 가이드로 활용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아 (2009), "창조산업 기업혁신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문화산업 정부지원을 중심으로", 한국거버넌스학회보, 16(3): 187-208.
  2. 김규명 (2012), "창조산업이 수도권 지역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 김정훈 (2011), "창조산업이 지역경제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김원제 (2008), "한국의 미래경제시스템은 창조경제", Printing Korea, 7(11): 128-131.
  5. 김왕동.송위진.성지은 (2013), "국민행복을 위한 창조경제: 특성과 함의", 기술혁신학회지, 16(3): 672-693.
  6. 김왕동 (2007), "지리적 혁신클러스터의 한계와 보완방안: 가상 혁신클러스터 관점에서", 기술혁신학회지, 10(4): 808-841.
  7. 권오혁 (2013),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산업생태계 조성방안", 국토, 380: 14-21.
  8. 기영석 (2004), "지역발전을 위한 혁신클러스터 구축전략", 한국공공관리학보, 18(1): 25-52.
  9. 김홍배.박정환.권영선 (2005), "혁신클러스터에 의한 지역혁신과 지역경제성장", 국토계획, 40(5): 143-152.
  10. 노시춘.방기천 (2012), "지식창출형 콘텐츠 기반 창조산업 육성방안", 디지털정책연구 10(2): 47-53.
  11. 노화준.노시평.김태일 (1996), "정부출연 연구기관 종합평가모형에 관한 연구: 평가요소의 개발과 가중치 설정", 한국정책학회보, 5(1): 30-54.
  12. 박성호.김진열.정문기 (2012), "창조산업의 집적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 지방행정연구, 26(3): 173-206.
  13. 박은실 (2008), "국내 창조도시 추진현황 및 향후과제", 국토, 322: 45-55.
  14. 신동호 (2011), "창조산업 클러스터의 형성과 발전의 거버넌스에 관한 연구: 미국 뉴욕 브루클린의 문화예술 산업클러스터를 사례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4 (1): 71-85.
  15. 양도식 (2009), "맨체스터, 산업도시에서 창조도시로 거듭나다", 국토, 332: 74-79.
  16. 이민화.차두원 (2013), 제2 한강의 기적 창조경제, 서울: 북콘서트.
  17. 이민화 (2009), "창조경제와 벤처생태계", 과학기술정책, 19(4): 3-8.
  18. 이재은 (2002), "지방자치단체의 자연재해관리정책과 인위재난관리정책 비교 연구: AHP기법을 이용한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 측정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36(2): 160-180.
  19. 이창원.차종화 (2000), "노인복지회관의 조직효과성 평가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회관과 일반 노인복지회관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9(1): 215-241.
  20. 이창원.최창현.권해수 (1998), "지방자치단체의 조직효과성 평가에 관한 연구: 계층분석절차 기법을 이용한 평가지표의 개발 및 적용", 한국행정학보, 32(1): 129-145.
  21. 임상오 (2008), "창조도시 진흥을 위한 창조산업 활성화 전략", 국토, 322: 16-23.
  22. 이성근.이관률 (2008), "구미.창원국가산업단지 혁신클러스터 비교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0(2): 1-28.
  23. 이성근.이관률 (2006), "구미단지 혁신클러스터 분석과 구축방안", 국토계획, 41(2): 191-209.
  24. 이재훈.김기근 (2008), "지리적 클러스터의 문제점과 성과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 구미국가산업단지를 중심으로", 기술혁신연구, 16(1): 165-190.
  25. 이종열.채원호.이창원.손호중 (2005), "한국의 클러스터 발전방안: 산업단지 클러스터 성공요인의 우선순위 분석을 중심으로", 정책분석평가학회보, 15(2): 165-189.
  26. 이연정.윤성민 (2010), "창조산업의 경제활동과 파급효과", 문화산업연구, 10(3): 27-49.
  27. 이상율 (2011), "경북 북부도시에서 창조성의 의미: 지역개발의 실행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7(5): 554-567.
  28. 오정연 (2013),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4대 미래 창조자본의 특성과 과제, 서울: 한국정보화진흥원.
  29. 임덕순 (2002), "인도 소프트웨어 산업의 혁신클러스터 형성 과정 : 개발인가, 진화인가?", 기술혁신학회지, 5(3): 167-188.
  30. 임종빈.조형례.정선양 (2012), "혁신 클러스터 구축을 위한 정책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 판교테크노밸리를 중심으로", 기술혁신학회지, 15(3): 675-699.
  31. 원유호.김성은 (2011), "도시의 창조적 인력.기반.관용이 수도권 창조산업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서울도시연구, 12(4): 175-190.
  32. 장지상.임덕순.김왕동.복득규.박재곤 (2007), 균형발전 정책 교본 혁신클러스터, 서울: 국가균형발전위원회, 과학기술부, 산업자원부.
  33. 장윤정.이승일 (2009), "서울의 창조산업 분포특성과 도시상업활력의 공간회귀분석", 국토계획, 44(6): 51-64.
  34. 장철순 (2013), "산업입지 공급을 통한 창조산업 활성화 방안", 국토, 380: 22-28.
  35. 조혜영 (2013), "창조경제시대 지식서비스산업 활성화를 위한 산업단지 재편방안", 국토, 380: 29-37.
  36. 조영석 (2005), "산업단지 중심의 혁신클러스터 형성전망과 과제-서울디지털산업단지를 사례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17(1): 79-90.
  37. 정선양 (2011), 기술경영의 주요이슈, 서울 : 건국대학교.
  38. 차두원.유지연 (2013), 창조경제 개념과 주요국 정책분석 : KISTEP, Issu paper 서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39. 차두원 (2013), "창조경제 개념과 산업 활성화 방안", 국토, 380: 6-13.
  40. 최계영 (2013가), 창조경제의 비전과 정책추진 방향, 서울: 정보통신정책연구원.
  41. 최계영 (2013나), 창조경제와 ICT, 서울: 정보통신정책연구원.
  42. 홍성범.임덕순.이명진.이정협.장승권 (2001), 해외 신흥 혁신클러스터의 특성 및 성장 요인, 서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43. 황윤원.이창원.이종열.김종래.김재득 (2004), 산업단지 클러스터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지역혁신 추제간의 추진체계 구축 및 운용방안, 서울: 한국산업단지공 단.
  44. Caves, R. E. (2002), Creative Industries : Contracts between Art and Commerce,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45. Cooke, P. (1998), Regional Innovation System, UCL Press.
  46. DCMS (Department for Culture, Media and Sport, UK) (2008), Creative Industries Mapping Document, London: DCMS.
  47. Florida, R. (2002), The Rise of the Creative Class, New York: Basic Books.
  48. Howkins, J. (2001), Creative Economy : How people make money from idea, Penguin Books.
  49. June, G. (2009), "Innovation and the creative industries cluster: A case study of Singapore's creative industries", Innovation : management, policy & practice, 11(2): 240-252. https://doi.org/10.5172/impp.11.2.240
  50. Landry, C. (2000), The Creative City: A Toolkit for Urban Innovators, Comedia and Earthscan Publications, London.
  51. Porter, M. E. (1998), "Clusters and the New Economics of Competition", Harvard Business Review, 76(6) Nov-Dec: 77-90.
  52. Saaty, T. L. (1980),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New York: McGraw Hill.
  53. Saaty, T. L. (1982), Decision Making for Leader: The AHP for Decisions in a Complex World, CA: Wadsworth.
  54. Saaty, T. L. and Kevin, P. K. (1985), Analytical Planning: The Organization of Systems, New York: Pergamon Press.
  55. UNDP and UNCTAD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Trade and Development) (2010), Creative Economy Report, New York: UN.
  56. Peter, C. (2000), "The Creative Economy, Business Week Online", http://www.businessweek.com/2000/00_35/b3696002.htm, (28 August 2000).
  57. UNESCO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2013), http://www.unesco.org/culture/en/creativecities (1 October 2013).
  58. 기획재정부 (2013), "현 부총리, "4차 투자활성화 대책, 서비스산업에 중점", http://www.mosf.go.kr/news/news01.jsp? boardType=general&hdnBulletRunno=60&cvbnPath=&sub_category=&hdnFlag=&cat=&hdnDiv=&&actionType=view&runno=4018549&hdnTopicDate=2013-10-08&hdnPage=1/ (2013.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