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문화예술활동 기반 교육 개발사례에서 미적경험이 주는 교육적 효과 분석

A Study of the Educational Effects of Aesthetic Experience through Culture and Arts Based Learning Development Case

  • 투고 : 2013.12.04
  • 심사 : 2014.01.27
  • 발행 : 2014.02.28

초록

본 연구는 문화예술활동을 하나의 교육방법으로 활용하여, 그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문화예술활동은 다른 활동과 비교하였을 때 과학적, 논리적 경험과 구별되는 독특한 경험인 미적경험을 제공받게 되어 학습자는 보다 풍부한 경험을 하게 된다. 이러한 이론적 논의에 대한 실제적 자료를 얻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2학년 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문화예술교과가 아닌 교직과목에서 14차시의 문화예술 활동기반 교육프로그램을 설계하여 적용하였다. 학습자의 변화과정 및 교육효과 분석은 수업을 진행하면서 얻게 된 그림저널, 성찰저널, 학습결과물, 개방식 설문 결과를 미적경험의 교육적 효과를 측정할 수 있는 루브릭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문화예술활동 기반 교육은 학습자로 하여금 지적 정서적 실천적 측면에서 효과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문화예술활동이 주는 교육적 효과에 관한 실제적 자료를 제시하고, 나아가 교육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과 필요성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리라 기대한다.

This study tried to analyze the effects of culture and arts activities as educational method in the classroom. Compared with other activities, the culture and arts activity enables learners to have unique aesthetic experience differentiated from scientific and logical experience.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largely into three aspects (intellectual, emotional, and practical aspects) in case learners have such aesthetic experience in the field of education. Through this, the study will become an opportunity to propose practical data concerning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culture and arts activity, and further to confirm the possibility and necessity of utilizing such activity as an education method.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운종, "미래교육을 위한 교직관의 적합성 검토",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6권, 제4호, pp.79-94, 2009.
  2. 한국교육개발원, "미래형 교사교육체제 구안연구", 연구보고 RR 1012-03, 2012.
  3. 김경철, 김안나, "구성주의적 교사교육이 예비교사에게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 유야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제5권, pp.633-655, 2009.
  4. 김병찬, "교직과목 수업에서 '저널쓰기'의 의미탐색: 교육행정 및 교육경헝 과목 수업사례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6권, 제1호, pp.285-313, 2009.
  5. 주미경, "협력적 탐구와 반성적 실천 맥락에서 예비교사 발문 사례분석", 수학교육연구, 제10권, 제4호, pp.515-535, 2008.
  6. 손지현, "반성적 글쓰기를 통해 보는 미술과 교육 실습", 미술교육학회, 제22권, pp.155-172, 2007.
  7. 최상희, 조현수, "사회과 교육을 위한 신문 스크랩 기술 방안 연구", 교육문화연구, 제13권, 제1호, pp.273-294, 2007.
  8. 이윤식, 김인정, "교직과목 이수중인 대학생이 생각하는 바람직한 교사상의 탐색",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pp.303-323, 2008.
  9. 홍소영, "교사의 수업반성이 토의수업행동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9권, 제2호, pp.293-317, 2009.
  10. D. J. Bing and M. P. Zhou, "In-post teaching practice: Exploration of new mode of teacher ed ucation by contructivism," Journal of Hebei Nor mal University Educational Science Edition,2009. Retrieved January 7, 2011, from: http://en.cnki.com.cn/Article_en/CJFDTOTAL-HSJY200901014. htm
  11. C. Beck and C. M. Kosnik, Innovations in teacher education: A social constructivist approach, NY: SUNY Press, 2006.
  12. H. Abeles, J. M. Burton, and R. Horowitz, "Learning in and through the arts: The question of transfer. Studies in Art Education," Vol.41, No.3, pp228-257, 2000. https://doi.org/10.2307/1320379
  13. J. S. Catterall, "Conversation and silence: Trancefer of learning through the arts," Journal for learning through arts, Vol.1, No.1, pp.1-12, 2006.
  14. M. A. Gibson and M. A. Larson, "Journal for learning through the arts: A reasearch journal on integration in school and communites, visual arts and academic achivement," Vol.3, No.1, pp.1-41, 2008.
  15. E. Fiske, (Ed.), Champions of change: The impact of the arts on learning. Washington, D.C.: Arts Education Partnership and President's Committee on the Arts and Humanities, 1999.
  16. J. P. Prager, Through the eye of art: Uncovering promising practices in art-themed learning in california chapter elementary schools, dissertaion : faculty of the rossier school of education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nia, 2006.
  17. 설연경, "문화예술활동 기반 교육의 의미와 구성주의적 학습 환경과의 관련성 탐구", 문화예술교육연구, 제8권, 제4화, pp.179-200, 2013.
  18. 김성진, 박정유, 연해경, "초.중등학교 교과통합형 문화예술학교 모형개발 연구", 조형교육, 제32권, pp.1-36, 2008.
  19. 황금숙, "도서관에서의 통합형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제39권, 제3호, pp.73-94, 2008.
  20. 장현오, "미술교육에 있어 미적교육에 관한 연구", 미술교육논총, 제6권, pp.33-56, 1997.
  21. 박철홍, "듀이의 하나의 경험에 비추어 본 교육적 경험의 성격 : 수단으로서의 지식과 내재적 가치의 의미", 교육철학, 제13권, pp.81-109, 1995.
  22. 김황기, "몰입 이론으로 본 듀이의 미적 경험", 미술교육논총, 제21권, 제1호, pp.307-326, 2007.
  23. 천정이, 오은혜, "Dewey의 미적 경험이 예술교육에 주는 시사", 교육사상연구, 제16권, pp.99-115, 2005.
  24. 허정임, 예술교육에서 예술과 도덕의 관계에 대한 미학적 탐구 : 듀이와 도이치의 미학적 탐구를 중심으로, 미술교육학회, 제21권, pp.275-294, 2007.
  25. H., Abeles, J. M. Burton, and R. Horowitz, Learning in and through the arts: The question of transfer, Studies in Art Education, Vol.41, No.3, pp.228-257, 2000. https://doi.org/10.2307/1320379
  26. 김남수, "다양한 미적체험을 위한 현대미술활용 방안", 사향미술교육논총, 제10권, pp.119-140, 2003.
  27. 김연희, "예술교육의 관점에서 예술과 지식의 문제: 존 듀이와 넬슨 굿맨을 중심으로", 미학.예술학 연구, 제25권, pp.322-360, 2008.
  28. 김혜숙, "미의식과 미적 체험에 관한 담론 연구", 미술교육논총, 제21권, 제2호, pp.1-28, 2007.
  29. 정은, "통합 교육적 맥락에서 살펴 본 미적교육(F. Schiller)을 통한 인간의 윤리적 성장", 특수교육학연구, 제43권, 제4호, pp.75-94, 2009.
  30. 김혜숙, "미의식과 미적 체험에 관한 담론 연구", 미술교육논총, 제21권, 제2호, pp.1-28. 2007.
  31. J. H. Flavell, P. H. Miller, and S. A. Miller, Cognitive development(4th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2002.
  32. 강인애, 설연경, "전시연계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학습이론으로서 '전시물 기반학습(Object-based learning)'에 대한 사례연구", 조형교육, 제33권, pp.1-38, 2009.
  33. 강인애, 설연경, "온라인 학습환경으로서 가상박물관(Virtual Museum)의 가능성에 대한 탐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4호, pp.458-470,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4.458
  34. 홍기태, "미학의 관점에서 본 (심)미적 태도", 미술교육논총, 제22권, 제3호, pp.49-82, 2008.
  35. Naghshineh, "Formal art observation training improves medical students' visual diagnostic skills," J Gen Intern Med, Vol.23, No.7, pp.991-997, 2008. https://doi.org/10.1007/s11606-008-0667-0
  36. A. Vissera and M. O. Hooga, "Education of creative art therapy to cancer patients: Evaluation and effects," Journal of Cancer Education, Vol.23, pp.80-84, 2008. https://doi.org/10.1080/08858190701821204
  37. 김남수, "다양한 미적체험을 위한 현대미술활용 방안", 사향미술교육논총, 제10권, pp.119-140, 2003.
  38. Montero, "Proprioception as an aesthetic sense," The Journal of Aesthetics and Art Criticism, Vol.64, No.2, pp.231-242, 2006. https://doi.org/10.1111/j.0021-8529.2006.00244.x
  39. 설연경, 강인애, "문화예술활동 기반 교육에서 미적경험이 주는 교육적 효과분석을 위한 루브릭 개발", 조형교육학회, 제46권, pp.165-197,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