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olicy Decision Making on Relocation of Public Institutions and Citizen Participation

공공기관 이전결정과 주민참여

  • 이향수 (건국대학교 공공인재대학 행정학전공) ;
  • 안형기 (건국대학교 공공인재대학 행정학전공) ;
  • 김덕준 (충북발전연구원)
  • Received : 2013.10.29
  • Accepted : 2013.11.29
  • Published : 2014.02.28

Abstract

As a participant in the policy process, the role of the people is very large. Especially for the implementation of democracy, citizen participation has been recogniz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device. As local government institutions have lifted in the stabilization phase as compared to the past, several municipalities and the central government's initiatives very interested in the policy-making process has increased. So in actual real policy decisions and the active participation of local people do? In this study, regional imbalances, particularly with regard to how to relieve the public agency that is recognized as one of the previous decision with regard to the involvement of local residents and physicians meaningful results were measured. Lesson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for management leadership are presented.

정책과정에의 참여자로서 주민들의 역할은 매우 크며, 특히 민주주의의 구현을 위한 중요한 장치의 하나로써 인식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지방자치제도가 안정화 단계에 들어서면서 예전에 비해 여러 가지 지자체의 시책이나 중앙정부의 정책결정과정에 관심이 매우 높아졌다. 그렇다면 실제 정책결정과정에서 지역주민들의 참여가 활발할까? 하는 질문으로 본 연구는 출발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지역불균형 문제와 관련하여 해소 방법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는 공공기관 이전결정과 관련하여 해당지역주민들의 참여의사를 측정하고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주민의 정책결정에의 참여에 있어서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H. Lasswell, A Pre-view of Policy Sciences, New York: American Elsevier Publishing Company, Inc, 1971.
  2. H. Lasswell and A. Kaplan, Power and Society,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1950.
  3. J. E. Anderson, Public Policy-Making, New York: Praeger, 1975.
  4. C. Jones,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Public Policy, North Scituate Mass.: Duzbury Press, 1977.
  5. OECD, Citizen as Partners: Information, consultation & public participation in policy-making, 2001.
  6. 이회경, 박종관, "사회자본이 지역축제의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2호, pp.192-200,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12.192
  7. 최호택, 정석환, "지방의회 발전방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7호, pp.194-202,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7.194
  8. 백승기, 정책학원론, 서울: 대영문화사, 2009.
  9. 정정길, 정책학원론, 서울: 대명출판사, 2000.
  10. M. Howlett and M. Ramesh, Studying Public Policy: Policy Cycles and Policy Subsystem,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5.
  11. 박천오, "한국.미국환경전담행정기관의 비교연구: 외적정치권력 기반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제29권, 제1호, pp.509-536, 1995.
  12. 정정길, 정책학원론(개정판), 서울: 대명출판사, 2008.
  13. Pretty, Participatory Learning and Action, A trainers' Guide, 1995.
  14. E. B. Sharp, Urban politics and Administration: From Service Delivery to Economic Development, New York: Longman, 1990.
  15. 김상묵, "중앙정부 정책과정과 민간참여 유형", 한국행정학회 국제학술대회 및 추계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2004.
  16. 김명숙, "로컬 거버넌스와 주민의 정치참여",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16권, 제3호, pp.138-157, 2004.
  17. 김익식, 장연수, "지역사회의 정치문화 및 주민 참여에대한 경험적 연구", 한국지방자치학회보, 제16권, 제4호, pp.123-145, 2004.
  18. 라휘문, "지방분권시대에 부응하는 주민참여 방안", 자치공론 논단집, 제4호, pp.19-32,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