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ultural Contents Development Case Study and Using Plan of Participation-based

참여 기반의 문화콘텐츠 개발 사례 분석 및 활성화 방안

  • Received : 2013.10.15
  • Accepted : 2014.01.27
  • Published : 2014.02.28

Abstract

Domestically multicultural society is being demanded a change in recognition today into the direction of harmony from assimilation. This change in paradigm is having a proposition as understanding about mutually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 A role of cultural contents is getting important more than ever as a link of understanding and recognition between heterogeneous groups. These cultural contents can be enhanced its effect when being developed on the basis of cooperation by which the multi-cultural members themselves participate in a project, and can conform even with social signific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 project case of a multicultural contents planning team 'Arto Placo', which produced contents through cooperation between a foreigner group including marriage immigrants and a local group such as illustrator and children's book writer. Each project was indicated to be contents such as public performance, exhibition, ad APP book. The aim was to specifically examine Case Selection and Introduction, Contents's Planning Development, Assessment and Activation plan.

오늘날 국내 다문화 사회는 동화에서 융화의 방향으로 인식의 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패러다임은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에 대한 이해를 전제로 하며, 이질적인 그룹 간 이해와 인정의 연결고리로서 문화콘텐츠의 역할이 어느 때보다 중요해지고 있다. 이러한 문화콘텐츠는 다문화 구성원 스스로가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개발할 때 그 효과가 높아질 수 있으며 사회적 의의에도 부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결혼이민자를 중심으로 한 외국인 그룹과 일러스트레이터, 동화작가 등 내국인 그룹과의 협력을 통해 콘텐츠를 제작한 다문화콘텐츠기획팀 '알토플라코'의 프로젝트 사례를 분석하고자 한다. 각 프로젝트는 공연, 전시, 앱북 등의 콘텐츠로 나타났으며 구체적으로 사례 선정 및 소개, 콘텐츠의 기획 개발, 평가, 활성화 방안 등을 살펴보았다.

Keywords

References

  1. 삼성경제연구소, "다문화정책:동화에서 융화로", CEO Information, 제853호, 2012.
  2. 박범준, "문화콘텐츠의 출현과 구조, 그리고 구현, 글로벌문화콘텐츠", 제3호, pp.267-297, p.276, 2009.
  3. 홍기원, 윤소영, "한국의 다문화콘텐츠 개발 및 활용방향에 대한 연구", 다문화콘텐츠연구, 제10집, pp.341-371, p.365, 2011.
  4. 위태영, 다문화 사회 공존을 위한 문학 교육의 방법 연구, 청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5. 이용관, "문화산업에서 콘텐츠산업으로의 정책변동과 미래전망",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기본연구 2012-12, p.119, 2012.
  6. 김창수, 이성호, 오은해, "디지털콘텐츠의 상호작용요인이 몰입과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9호, 2011.
  7. 유은순, 박승보, 이연호, 조근식, "공모전을 통한 집단지성 기반의 협업적 디지털 스토리텔링",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2호, 2010.
  8. 행정안전부, "2011년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 현황 조사결과", 다문화사회지원팀, 2011.
  9. 조석주, 박지영, "다문화사회 정착을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이주민정책 개선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2-03, 제460권, p.18, 2012.
  10. 고혜원 외, 여성결혼이민자의 취업 지원 방안:언어.문화 자원 활용 분야를 중심으로, 연구보고서, 한국여성정책연구원.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0.
  11. 박승우, 다문화교육과 정책의 이해, 대학공개강의(KOCW), 2011.
  12. 설진배, 어승원, 김연화, "문화예술 다문화프로그램 운영실태 분석과 개선방안 연구", 다문화사회연구, 제6권, 제1호, 2013.
  13. http://artoplaco.tistory.com
  14. C. M. Counihan, 음식과 몸의 인류학, 갈무리, p.28,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