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賈思勰 著. 구자옥, 홍기용, 김영진 역주. (역주) 제민요술. 수원. 농촌진흥청. 2006. pp.470-472.
- 康命吉. 濟衆新編. 韓國醫學大系18. 서울. 驪江出版社. 1992. p.183.
- 權採. 鄕藥集成方. 韓國醫學大系7. 서울. 驪江出版社. 1992. p.545.
- 金禮蒙 外. 原文醫方類聚16. 서울. 驪江出版社. 1994. p.2.
- 金綏. 需雲雜方(영인본). 安東. 1988.
- 曇無讖, 加提婆 譯. 大般涅槃經.增一阿含經. 서울. 景仁文化社. 1986. p.343.
- 唐慎微 編. 張存惠 重刊. 重修政和經史證類備用本草.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82. pp.316-317.
- 刘秀惠, 程永德, 程广德. 北京民間食療. 北京. 北京燕山出版社. 1991. p.66.
- 物集高見 編. 新註 皇學叢書 第四卷 新撰姓氏錄. 東京. 廣文庫刊行會. 1928. p.200.
- 박원길, 김기선, 최형원. 몽골비사의 종합적 연구. 서울. 민속원. 2006. pp.154-157.
- 三木 榮. 朝鮮醫學史及疾病史. 서울. 法仁文化史. 1988. pp.26-27.
- 徐有榘. 仁濟志. 韓國醫學大系48. 서울. 驪江出版社. 1992. p.357.
- 서울大學校 奎章閣韓國學硏究院 編. 蒙語類解.捷解蒙語. 서울. 서울大學校 奎章閣韓國學硏究院. 2006. p.98.
- 續修四庫全書編纂委員會 編. 居家必用事類全集. 續修四庫全書1184. 上海. 上海古籍出版社. 2000. pp.589-590.
- 吳謙 外 編. 醫宗金鑒. 北京. 中國中醫葯出版社. 1995. p.309, 313.
- 王威 主編. 藥粥藥湯藥酒藥飮. 北京. 中國書店. 1992. pp.11-12.
- 이성우. 고대한국식생활사연구. 서울. 향문사. 1994. pp.334-335.
- 李時珍. 本草綱目. (影印)文淵閣四庫全書774. 臺北. 臺灣商務印書館. 1985. pp.452-453.
- 張介賓 著. 李南九 懸吐註釋. 景岳全書. 서울. 法仁文化社. 2007. p.217.
- 張子和. 儒門事親. (影印)文淵閣四庫全書745. 臺北. 臺灣商務印書館. 1985. p.101.
- 著者未詳. 本草精華. 韓國醫學大系41. 서울. 驪江出版社. 1992. p.238.
- 全循義 著. 金種德 譯. 食療纂要. 수원. 농촌진흥청. 2004. p.116.
- 帝瑪尔, 丹增彭措. 晶珠本草. 上海. 上海科学技术文献. 2012. pp.216-217.
- 朱權. 活人心法. 국립중앙도서관 마이크로필름자료. 서울. 2005.
- 許浚. 東醫寶鑑. 서울. 南山堂. 2004. p.81, 146, 153, 290, 511, 693.
- 忽思慧. 飮膳正要. 北京. 中國醫藥科技出版社. 2011.
- 홍만선 著. 민족문화추진회 옮김. 국역 산림경제. 파주. 한국학술정보(주). 2007. p.318, pp.337-338.
- 黃道淵. 本草附方便覽. 韓國醫學大系24. 서울. 驪江出版社. 1992. p.459.
- Bold Sharav. History and Development of Traditional Mongolian Medicine. Ulaanbaatar. 2009. pp.78-79, 119-124.
- Редактор С. Бадамхатан. Бнмау-ын Угс аатны зүй 1. Улаанбаатар. Улаанбаатар. 1987. pp.176-177.
- 김나영. 타락죽의 조리과학적 특성(I): 재료배합비에 따른 특성. 자연과학연구논문집. 1999. 8(1). p.2.
- 김일우. 고려시대 耽羅 지역의 牛馬飼育. 사학연구. 2005. 78. pp.96-98.
- 김재효, 김성철, 정헌영, 김용, 권오상, 김경식, 손인철. 知聰의 實存과 古代 韓國 醫學交流에 대한 役割. 대한한의학회지. 2007. 28(3). pp.74-75.
- 김지영, 김주봉, 이영현. 팽화미분 첨가에 따른 타락죽의 pH, 수분, 고형분, 총당, amylose, 점도, 퍼짐성 및 색도 변화.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009. 13(2). p.159.
- 안종성, 공석길, 조성현. 현미를 첨가한 타락죽에 관한 품질특성. 한국식품영양학회지. 2013. 26(3). p.509. https://doi.org/10.9799/ksfan.2013.26.3.508
- 이귀주, 김정은, 김윤선. 아밀로즈 함량별 타락죽의 효소저항전분 함량, 물리적 및 관능적 특성.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006. 21(2). p.172-173.
- 이영덕, 유혜림, 황지연, 한복경, 최혁준, 박종현. 김치와 타락에서 분리한 젖산균의 Helicobacter pylori에 대한 항균 효과. 한국식품영양학회지. 2010. 23(4). pp.665-666.
- 임구상, 이경수, 장혜진, 정진경, 임지영, 전태훈, 한영숙, 오세욱. 우리나라 전통 발효유타락의 미생물 균총 분석.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013. 42(7). pp. 1110-1111.
- 정진경. 전통발효유 타락의 일부 발효특성과 미생물분석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p.7.
- 조미숙. 근대 이후 죽의 조리과정 변화 연구-팥죽, 잣죽, 타락죽을 중심으로. 한국식품영양학회지. 2011. 24(4). pp.598-599. https://doi.org/10.9799/ksfan.2011.24.4.589
- 한인준, 송범석, 이주운, 김재훈, 최갑성, 박정로, 전순실. 방사선 조사 온도가 타락죽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011. 40(9). p.1308.
-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db.history.go.kr/
- 승정원일기 http://sjw.history.go.kr/
-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y.go.kr/
-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고전명저총서 http://jisik.kiom.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