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clusion and Inclusion of Deathscape : An Investigation on the Intervention of Institutional Discourses in Modern Korea

죽음경관의 배제와 포섭: 근대 한국의 제도적 담론의 개입에 대한 고찰

  • Seo, Il Woong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Park, Kyonghwan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Department of Geography, San Diego State University)
  • 서일웅 (전남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
  • 박경환 (전남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샌디에이고주립대학 지리학과)
  • Received : 2014.08.25
  • Accepted : 2014.11.15
  • Published : 2014.11.30

Abstract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are two-folds. First, it investigates the ways in which previous geographic studies have approached to human death and its spatial representations through various theoretical frames. It is found that necrogeographies on cemetery have changed into those studies focusing on the social and spatial contexts in which deathscapes are represented. Second, this research analyzes what institutional discourses have intervened in excluding or including modern deathscapes in Korea. Some discourses socio-spatially excluded specific (undesirable) deathscape, and they mostly depended on employing such terms as 'Yeoido' and 'illegal, luxury, or deserted cemeteries'. On the contrary, other discourses employed such terms as 'developed country', 'Unified-Silla Dynasty', and 'NIMBY', and they introduced new (desirable) types of deathscapes such as cremation. This paper conclusively argues that these discourses engendered 'truth effect' so as to introduce and promote specific deathscapes while repressing pre-modern (or conventional) deasthscapes and concealing discursive contradictions.

본 논문은 두 가지 주제를 고찰하였다. 우선, 본 논문은 죽음이라는 현상을 실제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국외 인문 지리학 영역에서 축적되어 온 연구 성과를 고찰하였다. 이 결과 1950년대부터 물질 경관의 외형 변화에 주목하는 죽음의 지리가 1990년대 무렵 경관 이면의 배경과 맥락에 주목하는 죽음경관 연구로 변동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본 논문은 이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근대 이후 한국의 경우 어떠한 제도적 담론이 시민사회의 죽음경관의 배제와 포섭에 개입하였는지를 분석하고자 했다. 그 결과 국가가 기존 죽음경관인 묘지를 억제하기 위해 '여의도', '불법 호화 무연고묘지' 담론 같은 배제 의식을 생산해 왔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화장, 납골, 산골(散骨) 시설 등의 도입을 촉진하기 위해 '통일신라', '선진국', '님비'를 핵심으로 하는 여러 담론을 생산해 왔음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담론의 발현 과정에서 특정한 사실들이 진실로 수용되고 그 이면의 모순들이 은폐되는 현상들을 포착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