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지리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제49권6호
- /
- Pages.949-969
- /
- 2014
- /
- 1225-6633(pISSN)
초등지리 교육과정에 반영된 세계시민교육 관련 요소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대한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Primary Geography Curriculum of the Republic of Korea: Content Analysis Focusing on the Semantic Structure of 2009 Revised School Curriculum
- 이동민 (전남대학교 지리교육과)
- Lee, Dong-Min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4.09.22
- 심사 : 2014.12.19
- 발행 : 2014.12.31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현행 2009 개정 초등사회과 지리영역 교육과정에 반영된 세계시민교육 관련 요소의 구조적 특성을 분석하는데 있다. 분석대상으로는 세계에 관한 부분을 다룬 5~6학년군 지리영역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선정하였으며, 한글 텍스트의 내용분석을 위한 소프트웨어인 KrKwic 및 의미연결망 분석도구인 UciNet/NetDraw를 활용하여 관련 개념의 출현빈도 및 의미연결망, 연결중심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2009 개정 초등사회과 지리영역 교육과정은 세계시민성 함양 등 세계시민교육의 이상과 요소를 반영하고는 있지만, 교육과정상의 세계에 대한 단원들은 세계나 세계공동체 등 세계시민교육 관련 요소보다는 주로 국가를 중심으로 구성되는 특성을 보이고 있었다. 세계시민교육 관련 요소는 교육과정 성취기준상에서의 출현빈도가 낮았을 뿐만 아니라, 세계와 관련된 주요 개념들과 밀접한 관계를 맺지 못한채 사실상 고립되다시피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이로 인해 환경 및 지속가능개발, 갈등, 협력 등 세계시민교육적으로 접근할 필요성이 높은 개념들 역시 세계시민교육적인 관점과 연결될 수 있는 가능성이 제한될 수 있다는 문제점도 지적된다. 세계화 시대에는 국가도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기존의 국가 경계가 투과적인 형태로 변화하고 국경을 넘어선 세계공동체적 관점이 중요시되는만큼 지리교육 역시 이러한 현실을 감안하여 세계시민교육적 요소를 보다 적극적으로 반영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러한 논의를 향후 교육과정 개정에 반영함으로써, 국가뿐만 아니라 세계공동체 또한 중요시되는 세계화 시대에 보다 높은 적합성을 갖는 교육과정을 구성할 수 있으리라고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hare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2009 Revised Social Studies (geography area) School Curriculum of the Republic of Korea. I selected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geography domain in the fifth and sixth grades as the subjects of analysis. The chosen subjects were examined using content analysis: I used KrKwic, a Korean language content analysis tool, to analyze the content and drew a semantic network of the analysis results using UciNet/NetDraw. I found that the geography domain of the 2009 Revised Primary School Curriculum included the concepts of and factor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Howeve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did not account for a major portion of the curriculum, and the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were noticeably nation-state centere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actors were not closely associated with to other related factors in fact, they even revealed a isolated patter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inclusion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primary geography education is limited, because the connections betwee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related contents, such as the environment, sustainable development, conflict, and cooperation, are probably impeded. Globalization accompanies the transformation of territories, identities, and the relations between nation-states and the world, although nation-states continue to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globalized worlds. Therefor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 educational trend focusing on the global community, is particularly important and is required in the geography curriculum of the global era. I expect that the examination undertaken in this study to contribute to future curriculum revisions regarding globalizatin and global citizensh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