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n Geographical Variations of the Prevalence of Hypertension Using Multi-year Data

다년도 자료를 이용한 고혈압 유병률의 지역간 변이 분석

  • Kim, Yoomi (Dept. of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Sanggi University) ;
  • Cho, Daegon (Dept. of Industrial and Management Engineering, POSTECH) ;
  • Hong, Sungok (Dept. of Chronic Disease Management, CDC) ;
  • Kim, Eunju (Dept. of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Inje University) ;
  • Kang, Sunghong (Dept. of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Inje University)
  • 김유미 (상지대학교 의료경영학과) ;
  • 조대곤 (포항공대 산업경영공학과) ;
  • 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만성질환과) ;
  • 김은주 (인제대학교 보건행정학과) ;
  • 강성홍 (인제대학교 보건행정학과)
  • Received : 2014.09.24
  • Accepted : 2014.12.22
  • Published : 2014.12.31

Abstract

As chronic diseases have become more prevalent and problematic, effective cares for major chronic diseases have been a locus of the healthcare policy. In this regard, this study examines how region-specific characteristics affect the prevalence of hypertension in South Korea. To analyze, we combined a unique multi-year data set including key indicators of health conditions and health behaviors at the 237 small administrative districts. The data are collected from the Annual Community Health Survey between 2009 and 2011 by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nd other government organizations.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regional variations, we estimated using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GWR) and decision tree model. Our finding first suggests that using the multi-year data is more legitimate than using the single-year data for the geographical analysis of chronic diseases, because the significant annual differences are observed in most variables. We also find that the prevalence of hypertension is more likely to b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prevalence of diabetes and obesity but to be negatively associated with population density. More importantly, noticeable geographical variations in these factors are observed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the GWR. In line with this result, additional findings from the decision tree model suggest that primary influential factors that affect the hypertension prevalence are indeed heterogeneous across regional groups. Taken as a whole, accounting for geographical variations of health conditions, health behaviors and other socioeconomic factors is very important when the regionally customized healthcare policy is implemented to mitigate the hypertension prevalence. In short, our study sheds light on possible ways to manage the chronic diseases for policy makers in the local government.

고혈압과 같은 만성 질환의 관리는 국가보건정책에서 중요한 사업이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 특성이 고혈압의 유병률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237개 시군구 소지역의 건강상태 및 건강 행태를 포함한 다년간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지표는 2009~2011년 질병관리본부의 지역사회건강조사와 국민건강보험공단 등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지역간 변이 분석을 위해 지리적 가중회귀분석과 의사결정나무 모형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다년간 자료를 이용하는 것이 단년간 자료를 이용하는 것보다 더 적합도가 높았는데 이것은 대부분의 변수에서 연도별 유의한 차이가 있었기 때문이다. 또 고혈압 유병률은 당뇨병 및 비만 유병률과 양의 관련성이 있었으며 인구밀도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특히 이러한 요인들의 지역적 변이는 지리적 가중회귀분석 결과에서 더욱 뚜렷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분석한 의사결정나무 모형에서는 고혈압 유병률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가 지역별로 매우 상이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역주민의 건강상태, 건강행태, 사회경제적 요인의 지역간 차이를 규명하는 것은 고혈압 유병률을 감소시키기 위한 지역별 맞춤형 보건정책을 수립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만성질환 관리를 위한 맞춤형 지역보건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