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erception and Reporting intention to Elder Abuse among Elderly Women

여성노인의 노인학대 인식과 신고의향

  • Received : 2013.11.15
  • Accepted : 2013.12.30
  • Published : 2014.0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perception on elder abuse and intention to reporting in elderly women,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160 elderly Women aged 60 and over visiting 2 senior centers, 2 Buddhist University, 2 sports centers and 1 senior welfare center located in the D city.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May 13th to June 6th of 2013.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participants' perception of elder abuse was 2.89 points and, sexual abuse(4.26 points) was the highest score among the abuse sub-items, 38.2% of the intention to report on elder abuse, sexual abuse (79.4%) was the highest as well. Second, from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the level of perception on elder abuse, but intention to reporting elder abus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education, marital status, the number of children, cohabitation, the perception of abuse-related Senior Citizens' Welfare Act and the information accessibility form. Third,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lder abuse perception and intention to reporting. therefore, it is meaningful that the study results will be provided for promoting the notification intention of elderly women who are more vulnerable to abuse and more active coping when Abusive situations arise.

본 연구는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하여 노인학대 인식과 신고의향을 파악하고 그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자료수집은 D시에 거주하는 2개의 경로당, 2개의 성당, 2개의 불교대학, 2개의 스포츠 센터와 1개의 노인복지관에서 만 60세 이상의 여성 노인 160명을 대상으로 2013년 5월 13일부터 6월 6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대상자의 노인학대 인식정도는 2.89점으로 성적 학대(4.26점)가 가장 높았고, 노인학대 신고의향은 38.2%로 성적 학대(79.4%)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노인학대 인식정도는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노인학대 신고의향은 교육수준, 결혼상태, 자녀수, 동거형태, 학대 관련 노인복지법 인식, 노인학대 관련 정보접촉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노인학대 인식과 신고의향의 상관관계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를 기초로 하여 학대에 취약한 여성노인의 학대인식과 신고의향을 고취시키고, 학대상황 발생 시 보다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학대예방연구에 단초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kosis.kr/wnsearch/totalSearch.jsp
  2.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년도 노인실태조사,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3. 조애저, "노인학대실태와 정책방안", 복지포럼, 제143권, pp.16-29, 2008.
  4. 고정미, "여성노인에서 학대 시 신고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16권, 제3호, pp.245-254, 2010. https://doi.org/10.4069/kjwhn.2010.16.3.245
  5. 보건복지부, 중앙노인보호전문기관, 2011노인학대현황보고서, 보건복지부, 중앙노인보호전문기관, 2012.
  6. 이연호, 노인학대 위험요인과 피해, 한국학술정보, 2005.
  7. 이현경, 손민성, 최만규, "우리나라 노인의 정신건강 관련 요인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2호, pp.672-682,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12.672
  8. 한은주, 김태현, "노인학대의 원인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한국노년학, 제20권, 제2호, pp.71-89, 2000.
  9. R. Wolf, Risk Assessment Instruments, National Center on Elder Abuse Newsletter, 2000(9).
  10. 김형수, 권이경, "한국 노인자살률과 사회.경제적 요인의 관련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6호, pp.236-245,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6.236
  11. 고정미, "노인학대에 대한 인식과 신고의향: 간호사와 노인의 비교연구", 한국보건간호학회지, 제24권, 제2호, pp.270-284, 2010.
  12. A. Moon and D. Benton, "Tolerance of elder abuse and attitudes toward third-party intervention among African American, and Korean American, and White elderly," Journal of Multicultural Social Work, Vol.8, No.3, pp.283-303, 2000. https://doi.org/10.1300/J285v08n03_05
  13. 국가인권위원회, 지역사회에서의 노인학대 실태조사, 국가인권위원회, 2002.
  14. 한동희, "여성노인학대에 대한 이해", 노인복지연구, 제13권, pp.193-208, 2001.
  15. 서소혜, 박화옥, "장기요양시설의 직무환경이 요양보호사의 노인학대 인식에 미치는 영향: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제32권, 제1호, pp.237-256, 2012.
  16. 정선경, 노인학대신고의무자들의 노인학대에 대한 인식수준과 대응행동에 관한 연구, 신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7. 김정순, 대학생의 노인학대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18. 임병우, 주경희, 조성은, "재가복지서비스 이용노인과 일반노인의 노인학대 인식에 관한 비교연구", 노인복지연구, 제43권, pp.353-379, 2009.
  19. 박명화, 노인간호학(3판), 정담미디어, 2013.
  20. http://stdweb2.korean.go.kr/search/List_dic.jsp
  21. A. Moon and O. Williams, "Perceptions of elder abuse and help-seeking patterns among African-American, Caucasian American, and Korean-American elderly women," The Gerontologist, Vol.33, No.3, pp.386-395, 1993. https://doi.org/10.1093/geront/33.3.386
  22. S. H. Yoo and C. S. Kim, "Perception discrepancy in elder abuse among the elderly, adults, and social workers in Korea,"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Vol.13, pp.103-119, 2005.
  23. 방희명, "노인학대 인식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노인학대 신고의무자를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제13권, 제1호, pp.211-234, 2009.
  24. 김신영, "학대경험이 노인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노인복지연구, 제29권, pp.175-202, 2005.
  25. K. Pillemer, The Dangers of Dependency: New Findings on Domestic Violence Against the Elderly,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Sociological Association, 1985.
  26. 이기학, 재가 노인 학대에 관한 연구, 한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27. 이연호, "노인학대 위험요인 및 특성이 학대로 인한 피해영역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제23권, 제2호, pp.105-123, 2003.
  28. 배석연, "노인 학대의 예방에 관한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제6권, 제4호, pp.328-338, 2012.
  29. 박미은, "국민기초생활보장 노인과 일반노인의 노인학대 관련요인 비교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56권, 제2호, pp.93-119, 2004.
  30. 나용선, 노인학대 개입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노인학대 가해 및 피해상황 관련요인 분석,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31. 서윤, "노인학대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인지와 목격실태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7권, pp.27-72, 2000.
  32. J. Feng and M. Levin, "Factors associated with nurse' intention to report child abuse: Anational survey of Taiwanese nurse," Child Abuse & Neglect, Vol.29, pp.783-795, 2005. https://doi.org/10.1016/j.chiabu.2004.11.006
  33. G. King, R. Reece, and V. Patel, "The effects of sociodemographic variables, training and attitutees on the lifetime reporting practices of mandated reporters," Child Maltreat, Vol.3, No.3, pp.276-283, 1998. https://doi.org/10.1177/1077559598003003007
  34. H. Y. Lee, Social and Cultural Construction of Elder Mistreatment: Definition, Perception, and Help-Seeking Behavior Among Elderly Korean Immigrants. Ph.D. Dissertation. School of Pulblic Affair, University of Califonia, Los Angeles, 2006.
  35. 최해경, "수발상황의 노인학대에 관한 인식과 원조요청태도: 재미한인 노인세대와 자녀세대의 비교", 한국인구학, 제27권, 제1호, pp.31-55, 2004.
  36. R. Kelly, J. J. Wood, L. S. Gonzalez, V. MacDonald, and J. Waterman, "Effects ofmother-son incestand positive perceptions of sexual abuse experiences on the psychosocial adjustment of clinic-referred men," Journal of Child abuse and Neglect, Vol.26, No.4, pp.425-442, 2002. https://doi.org/10.1016/S0145-2134(02)00317-4
  37. M. A. Allan, "Elder abuse: A challenge for home care nurses," Home Health Care Nurse, Vol.20, No.5, pp.323-330, 2002. https://doi.org/10.1097/00004045-200205000-00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