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A Machine-to-Machine (M2M)-based Public Restroom Management System

사물지능통신(M2M)을 이용한 공중화장실 관리시스템의 개발

  • Kim, Jun Yeob (Dept. of Friendly Offshore Plant FEED Engineering, Graduate School,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
  • Ahn, Dae Gun (Dep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Mobile Communication Lab.,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
  • Bae, Byoung Wook (Dep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Mobile Communication Lab.,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
  • Choi, Yong Gu (Dep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Mobile Communication Lab.,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
  • Kang, Chang Soon (Dep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Mobile Communication Lab.,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4.08.21
  • Accepted : 2014.11.11
  • Published : 2014.12.30

Abstract

A public restroom is different from a household toilet in terms of location and a large number of sharing users. In addition, public restroom is usually messy and filthy. Recently, public toilet tends to be clearly managed than before, but it still has hygienic and clear problem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achine-to-machine (M2M)-based public restroom management system to solve these problems, in which the system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ends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toilet, such as blockage or trouble detected by a sensor, to the manager of the restroom at a remote location. In particular, we have developed a prototype management system for public restroom taking into account several system requirements, and verified the basic operations and performance of the management system. With the application of the system to public facilities, it will furnish users with more pleasant environments by restroom administrators who can respond effectively to the troubled toilet.

Keywords

1. 서 론

최근 스마트폰의 보급이 대중화함에 따라 모든 기기들이 상호 연결되는 사물지능통신 (Machine-to-Machine : M2M) 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M2M은 사람이 직접 개입하지 않은 상태에 서 장비나 사물 또는 지능화된 기기들이 서로 통신하는 기술을 의미하며, 넓은 의미에서 사물인터넷 (Internet of Things : IoT)으로도 불린다. 이를 위하여 M2M은 크게 기기를 이용하여 정보를 수집하는 센싱 기술, 이러한 수집 정보를 원격지의 관리자에게 전송하기 위한 유무선통신망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 등으로 구성 된다 [1].

특히 이러한 M2M은 주로 네트워크 기반의 자동화 프로그램, 로봇 시스템, 스마트 그리드에 활용되는 스마트 미터링, 차량 텔레메틱스 중 자동 충돌 알림, 건강관리에 유용한 M-Health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특히 유럽의 경우는 스마트 미터기를 시작으로 다양한 연구 개발을 하고 있으며, 미국은 자국의 6대 파괴적 기술 중 하나로 사물인터넷을 선정하고 M2M's Connected World에서 향후 M2M 시장에 약 380억 달러 투자 계획을 발표하였다. 또한 일본은 생활 밀착형 기술개발을 위해 I-Japan 전략을 추진하기 위하여 IoC(Internet of Computer)에서 IoT로 가기 위한 비전을 제시하였으며, 중국은 지능형 도시, 전력망 등의 기초 시설 관리와 공공관제 서비스를 시작으로 여러 영역으로 확대해 나가고 있다. 반면에 한국은 “사물지능통신 기반구축 기본계획” 및 “인터넷 신사업 육성방안”을 발표하고 이동통신사들과 삼성, LG 등의 사업자를 중심으로 M2M/IoT 관련 연구를 하는 등 전 세계적으로 이 분야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2-10].

이러한 IoT 관련 제품의 연구개발을 위하여 아두이노(Arduino), 라즈베리 파이, 비글본 등과 같은 오픈 소스 플랫폼이 사용된다. 그 중 아두이노는 ATMEL 사의 MCU 칩과 여러 종류의 센서를 포함한 주변 장치들을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는 보드로서 여러 기업들에서 이 보드와 호환 가능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출시하고 있다. 특히 아두이노는 Uno, Leonardo, Due 등 다양한 규격의 보드와 Ethernet Shield, WiFi Shield 등 확장 기능한 쉴드를 제공하고 있다. Uno는 튜토리얼 및 예제 소스의 대부분이 Uno 기반으로 되어있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Leonardo는 컴퓨터와의 인터페이스 혹은 주변장치처럼 사용하고자 할 경우 유용하게 사용되며, Due는 Uno 및 Leonardo와 달리 32bit ARM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고성능 시스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한류 문화의 해외 확산과 더불어 해외 관광객의 수가 2009년 약 7,818,000명을 시작으로 매년 약 10%정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발맞춰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관광객 유치를 위하여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지만, 수익창출만 고려하고 장기적인 관리 문제는 덜 고려하고 있으며, 시설 조성으로 인한 환경 파괴, 시민의식 및 인프라 부족 문제 등 여러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관광지의 주요 부대시설 중의 하나인 공중화장실을 효과적이고 청결하게 관리 및 유지하는데 있어 미흡한 실정이다 [11]. 그리고 우리나라 공중화장실의 관리에 있어 일반적인 문제점은 사용자를 배려하지 못한 디자인, 위생 및 청결상태 불량 등을 들수 있다. 특히, 위생 및 청결 상태의 불량은 화장실에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신속한 처리가 되지 않고 방치되어 이용객이 불편함을 느끼게 되는 것도 큰 문제점이다[12].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서울시에서는 공공설비의 표준 모델 및 인증 기준을 마련하고 공공분야에서 필수 항목을 적용, 반영하여 설치를 하고 있다. 충북 금강휴게소는 돌출된 형태의 지붕과 외벽의 개구부 등을 이용하여 자연 환기와 자연 채광효과를 극대화 시켰다. 구포 여성전용 공중화장실은 절수변기, 절전형 조명 설비, 천을 활용한 자연 채광으로 에너지 절약을 하였으며, 문경새재 제1매표소의 공중화장실은 지역의 특징을 잘 살리는 디자인으로 구성 하였다[12,13].

이와 같이 대부분의 공중화장실에 대한 개선방향은 친환경적이면서 주변 환경과 잘 어울리는 디자인 관점에 맞춰져 있다. 그리고 변기 시트 자동 세척 방법이나 대변기 국부 환기, 태양열을 이용한 난방 및 급탕 설비 등 기술적인 측면에서의 개선 사례들도 있다[14,15]. 그러나 이와 같은 사례들은 공중화장실 의 변기에 고장이 발생했을 경우 화장실 이용객이 관리자에게 고장 정보를 제공하지 않으면 신속한 대처에 한계가 따라 화장실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화장실에 설치된 센서를 통하여 변기의 고장 또는 막힘 정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원격지의 관리자에게 신속하게 제공함으로써 쾌적한 화장실을 유지 할 수 있는 M2M/IoT 기반의 공중화장실 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관리시스템은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변기 내부의 수위를 측정하여 고장 또는 막힘 여부를 판단하는 부분과, 인체 감지 센서(PIR 센서)를 이용하여 해당 화장실 칸에 사용자가 있는지 여부를 문 앞에 디스플레이 하고 변기 뚜껑도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으며, 특히 변기의 고장 또는 막힘 발생 시 무선통신장치를 통하여 원격지의 관리자에게 이러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제안 시스템의 타당성 검증을 위하여 시제품을 개발하여 시험한 결과 만족스러운 기능 및 성능을 확인하였다.

2장에서는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공중화장실 관리시스템의 개요 및 설계에 관하여 설명하고, 3장에서는 시스템의 구현결과, 4장에서는 기능 및 성능시험에 대한 결과 고찰, 마지막으로 5장에서 결론을 맺는다.

 

2. 시스템 개요 및 설계

2.1 시스템 개요

제안하는 M2M기반의 공중화장실 관리시스템은 Table 1과 같은 주요 기능과 각 기능별 요구사항을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이를 위해 변기의 이상 상태가 감지 될 경우 관리자에게 신속하게 전달하기 위한 무선 통신환경이 제공되어야 한다.

Table 1.Major functional requirements of the proposed M2M-based public restroom management system (PRMS)

먼저 변기 내부의 수위(수량의 높이)를 변기의 이상상태(막힘 또는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고려하였다. 이때 변기 내부의 수위는 일정한 수준으로 미리 설정 할 수 있다. 그런데 변기에 물을 공급하는 장치에 이상이 있을 경우는 일정한 높이의 수위를 유지하지 못하게 된다. 이때 기준 수위범위 보다 초과하면 변기가 막혔다고 판단하고, 기준 수량 높이보다 낮을 경우에는 고장으로 판단 할 수 있다.

일반적인 배수 상태가 아니라 고장으로 판단되었을 경우 현 상태를 정확히 감지, 화장실 관리자에게 실시간으로 통보하여 신속한 후속조치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구성이 되고, 동시에 화장실 출입문에 알림판을 설치하여 현재 화장실의 사용 여부를 표시함으로써 이용객이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할 필요도 있다.

Fig. 1은 이와 같은 기능 및 시스템 요구사항을 고려한 공중화장실 관리시스템의 전체적인 개념을 나타낸다. 화장실 내부의 변기 뚜껑이나 화장실 천장 등에 변기의 수위 측정 및 현재 화장실 사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센서를 설치한다. 측정한 수위 값은 제어장치 (Micro Control Unit : MCU)에 의해 고장 및 막힘 여부를 판별, 무선통신장치 (WiFi Access Point: AP)와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화장실 관리자의 휴대전화로 전달된다. 관리자는 화장실의 변기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고장 또는 막힘이라 판단하면 후속 조치를 취하여 화장실 이용객이 불편함을 겪지 않도록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또한 화장실 이용객의 사용 여부는 화장실 문 앞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하여 나타낼 수 있다.

Fig. 1.The configuration of the proposed M2M-based PRMS.

2.2 시스템 설계

제안하는 M2M 기반 공중화장실 관리시스템은 고장에 대한 빠른 후속조치를 통해 사용자들의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도록, Table 1과 같은 시스템의 기능별 요구사항을 Table 2와 같이 사용자 및 시스템 측면에서 고려하여 분산하여 설계한다.

Table 2.Main functions of the proposed M2M-based PRMS

Table 2와 같은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하여 Fig. 2와 같이 변기의 수위를 측정하고 화장실 사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감지 기능과, 감지한 정보(값)를 처리하고 고장 또는 막힘 여부를 판별하는 등 정보처리 기능을 위한 MCU, 그리고 감지한 정보를‘고장’ 또는 ‘막힘’으로 판단했을 경우 이러한 정보를 원격지의 화장실 관리자에게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 네트워크 등으로 구성하였다. 특히 MCU는 각종 센서간 호환성과 이식성이 뛰어난 오픈소스 플랫폼인 아두이노를 사용하였다. 아두이노의 주요 특징에 대해서는 3장에서 다시 설명한다.

Fig. 2.The structure of the proposed M2M-based PRMS.

Fig. 2는 제안하는 공중화장실 관리시스템의 세부 구성도를 나타낸다. MCU를 탑재하고 있는 아두이노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기 위한 WiFi Shield, 변기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초음파 센서, 현재 화장실 사용 여부를 판단하는 PIR(Passive infrared sensor) 센서, 그리고 화장실 사용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액정 디스플레이 (Liquid Crystal Display: LCD) 모듈과 전원 공급 장치 등이 접속되어 있다. 한편 초음파 센서에서 측정한 수위 값을 토대로 아두이노에서 판별 후 WiFi Shield를 거쳐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관리자의 단말기로 전송된다.

제안하는 M2M기반의 공중화장실 관리시스템은 Fig. 3과 같이 크게 두 가지 부분으로 구성하여 동작한다. 첫째, 화장실 이용객의 유무를 판별하여 그에 해당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화장실에 설치된 센서가 화장실 사용자의 유무를 인식하고, 화장실 출입문 앞에 현재 사용 여부를 표시하여 일반 사용자 에게 해당 화장실의 사용여부를 알려줄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화장실의 사용여부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지만, 빈번한 문자 수신으로 인하여 오히려 관리자가 불편할 수도 있기 때문에 이 기능은 고려하지 않는다. 둘째, 변기의 수위를 측정하여 고장 또는 막힘 여부를 판단 후 이러한 정보를 문자로 화장실 관리자에게 전송하는 부분이다.

Fig. 3.Operation of the proposed M2M-based PRMS.

이와 같이 고장 또는 막힘 여부의 판단 및 관련 정보를 관리자의 휴대전화로 전송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변기내의 수위를 측정한 결과 정상 수위 범위가 아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한다. 즉, 측정수위가 기 설정(pre-defined) 수위보다 훨씬 높을 경우(예, overflow)는 막힘, 낮을 경우 (변기 내 물 부족)는 고장으로 판단하여 각각‘막힘’또는 ‘고장‘에 해당하는 문자 정보를 화장실 관리자에게 전송한다. 여기서 연속적으로 수위를 측정할 때 발생 할 수 있는 오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수위 측정은 일정한 주기(예, 30초)로 측정할 수 있다.

 

3. 시스템 구현 및 주요 결과

제안하는 공중화장실 관리시스템의 기능 및 성능 검증을 위하여 최근 사물인터넷(IoT) 관련 산업의 성장과 함께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아두이노를 플랫폼으로 하는 프로토타입(시제품)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변기 내부의 수위 측정용인 초음파 센서는 최소 2cm에서 최대 3m까지 측정이 가능한 모델을 사용하였고, 원격지의 관리자에게 변기의 이상 상태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802.11b/g를 지원하는 WiFi Shield와 2.4GHz 및 5GHz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 가능한 WiFi 공유기(AP)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기능들을 제어하기 위하여 ATmega328 MCU를 탑재하고 있는 아두이노와 구현된 기능들의 동작상태 표시하기 위하여 LCD를 각각 사용하였다. 아두이노의 여러 종류 중에서 Leonardo의 경우 직렬 통신 중 프로그램 에러가 발생하거나 이러한 직렬 통신포트가 변경되는 등 초보자가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적지 않다. 반면에 Due 의 경우 3.3V를 사용하기 때문에 기존에 사용되는 쉴드 중 5V에 동작하는 쉴드를 사용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M2M 기반의 공중화장실 관리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하여 개발자 그룹 및 관련 정보가 많은 Uno 보드와 WiFI Shield 등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시스템 개발을 위하여 C언어 기반의 아두이노 스케치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제안하는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사용한 Uno 보드와 WiFI Shield의 주요 특징은 Table 3과 같다.

Table 3.Main features of Arduino and WiFi Shield

이와 같은 시스템 개발환경을 토대로 M2M 기반의 공중화장실 관리시스템의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Fig. 4). 개발 시스템은 무선통신을 위한 WiFi AP (네트워크)와 WiFi 쉴드, 상단에 전원부 및 MCU, 그리고 수위를 측정하는 초음파 센서가 위치해 있으며 좌측과 우측 측면, 전면 상단에 측정되는 값과 현재 변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LCD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Fig. 4.The developed prototype of the proposed M2M-based PRMS.

초기 설계 단계에서는 초음파 센서를 변기 뚜껑안쪽과 천장 두 곳에 설치하여 변기의 수위를 측정하고, 변기 뚜껑의 자동 개폐기능도 설계하여 구현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변기 뚜껑의 자동개폐 기능은 현시점에서 구현이 용이하지 않아 화장실 변기뚜껑이 열려있는 경우를 고려하여 화장실 모형의 천장 부분에 수위 측정용 초음파 센서를 설치하여 수위를 측정하도록 구현하였다(Fig. 4). 특히 수위 측정값 확인이 용이하고 원활한 성능 시험을 위하여 초음파 센서를 제어하는 부분과 변기의 막힘 또는 고장 여부에 관한 문자전송을 위한 기능을 개발하였다. 특히 이러한 문자 전송 기능은 휴대전화 (스마트폰) 사용자들이 널리 이용하는 SNS(Social Network Service) 또는 SMS(Short Message Service)로 용이하게 개발할 수 있다. 그런데 SMS로 문자를 송신하기 위해서는 이동통신사의 기지국을 통하여 전송하거나, 아두이노에 연결되어 있는 WiFi를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WiFi를 이용할 경우에는 컴퓨터를 아두이노와 추가적으로 연결하거나 또는 SMS 전송 서비스 업체에 추가 비용을 지불하여야 전송이 가능하다. 그러나 SNS로 문자를 전송할 경우 WiFi를 이용하더라도 컴퓨터를 아두이노에 추가적으로 연결할 필요가 없어(시스템 설치가 용이) SNS를 이용하여 문자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개발하였다.

Fig. 5는 개발한 M2M 기반의 공중화장실 관리시스템의 주요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개발 시스템은 하나의 MCU에서 모든 것을 처리하지 않고 초음파 센서를 제어하는 기능(MCU 2)과 관리자에게 변기의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MCU 1), 화장실 사용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MCU 3) 등을 위하여 세 개의 MCU를 사용하였다. MCU를 한 개를 사용하여 시스템을 개발 할 수도 있으나 아두이노 우노 버전의 경우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 핀의 개수가 충분하지 않다. 그리고 Flash Memory의 용량도 32K로 제한적이다. 마지막으로 센서 값과 타이머 등의 값을 용이하게 확인하거나 원활한 성능 시험을 위하여 세개의 MCU를 사용하였다.

Fig. 5.The picture of the developed M2M-based PRMS.

초음파 센서가 접속된 MCU 2는 수위 측정값을 MCU 1로 전달하고, 전달된 값을 이용하여 MCU 1에서 변기의 상태를 판단하게 된다. 이때 LCD 1에서는 측정된 수위 값과 타이머 및 현재 시간을 보여준다. 여기서, 타이머는 측정하는 수위 값이 연속으로 측정되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시간 간격을 나타낸다. 그리고 센서가 수위를 감지할 때 그 값이 일정 수준 이상이 되지 않으면 고장여부를 판단하지 않는다. 즉, 사용자가 화장실을 이용할 경우 천장에 설치된 센서는 일정 거리 이상은 측정하지 못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수위 측정을 하지 않는다.

MCU 1에서 입력 받은 센싱 값으로 변기의 상태가 고장이라고 판단 할 경우 LCD 2에는 변기의 상태정보가 표시 되고, 기 설정된 관리자 단말에 SNS(Social Network Service) 메시지를 전송하여 관리자의 단말기에서는 Fig. 6과 같은 푸시 알림 형태로 실시간으로 메시지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메시지를 확인한 관리자는 화장실의 변기에 이상이 있는 것을 확인, 신속한 대처를 통해 이용객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관리자에게 전송되는 문자정보는 한글로 제공하는 것이 타당하지만 본 논문에서 사용한 아두이노 스케치 프로그램에서는 한글을 지원하지 않아 Fig. 6과 같이 영어로 구현하였다. 그러나 아두이노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본 개발 시스템 에서 한글로 문자를 관리자에게 전송하기 위해서는, 먼저 아두이노와 컴퓨터를 추가적으로 연결하고 SMS 대행업체를 이용할 경우에 가능하다.

Fig. 6.Toilet status messages received at the administrator's mobile phone

마지막으로 MCU 3은 인체감지센서(PIR)를 이용하여 현재 변기 사용자의 유무에 대하여 판별하여 LCD 3에 표시한다.

Fig. 7은 앞에서 설명한 각 MCU간 메시지 전달과정 및 동작에 대한 메시지 시퀀스 차트(message passing sequence chart)를 나타낸다. MCU1에서는 수위 값 설정을 하고 MCU2에서 측정한 수위 값을 받아 변기의 고장 여부에 대한 상태를 판단한다. 판단된 상태 정보는 MCU2로 재전송하여 관리자에게 문자로 전송한다. MCU3는 다른 MCU와 정보교환 없이 사용자 유무를 인지하는 기능만 수행한다.

Fig. 7.Message passing sequence chart among MCUs.

 

4. 성능 시험 및 결과 고찰

개발한 M2M 기반 공중화장실 관리시스템의 기능 및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기본 기능과 변기 내에 공급된 물결의 일렁임에 의한 고장 또는 막힘 여부에 대한 오차 성능을 각각 측정하였다. 개발한 프로토타입 시스템에서는 경우 천장에 설치된 초음파 센서에 의해 변기 내 수면까지의 거리 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값으로 변기의 동작이 정상, 막힘, 또는 고장 등으로 판단하도록 설정하여 시험하였다. 이때 초음파 센서와 변기내부 수면까지의 거리는 변기 내에 물이 없을 경우 480mm, 변기 내에 물이 가득 찼을 경우 420mm가 되었다. 또한 445mm에서 455mm 사이의 값이 측정될 경우 정상으로 인식하고, 445mm 보다 작은 값 (수위가 높을 때)은 막힘, 455mm보다 큰 값(수위가 낮을 때)은 고장으로 판단하도록 설정하였다. 이러한 수위 값을 기준으로 수위 측정 및 메시지 전송, 물결의 일렁임, 네트워크 연결 후 첫 측정 시 발생하는 오차에 대한 성능 시험을 실시하였다.

한편 일반적으로 PIR 센서는 사람의 몸에서 나오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사람의 유무를 인지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따라서 개발한 시스템에서 사용한 PIR 센서를 좁은 화장실 내부에 설치하여 사용할 경우 감지 오차는 크게 발생하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하여 관련 성능 시험은 실시하지 않았다. 그러나 PIR 센서를 이용하여 변기 커버 온 오프 기능 또는 화장실 점등 기능 및 다른 MCU와 연동된 추가 기능을 구현하고 감지센서를 활용한다면 향후 관련 기능에 대한 성능시험이 필요할 수도 있을 것이다.

4.1 수위 측정 및 메시지 전송 시 발생하는 오차

먼저 개발한 관리시스템은 센서의 수위 측정 및 관리자 단말에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이 전체 시스템 흐름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여기서, 개발한 프로토타입에서 변기의 정상, 고장, 막힘 상태를 판별하기 위해 변기 내 수위를 다르게 설정하여 총 15회에 걸쳐 성능 시험을 실시, 수위 인식 및 그에 따른 상태정보(메시지)의 전송이 정확하게 되는지를 검증하였다. Table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총 15회 실시한 시험 중에서 측정값이 오차를 나타내는 것은 2회, 변기의 상태정보 전송하는데 있어서 3회 가량 오류가 각각 발생하였다.

Table 4.Error performance of water level measurement and message transmission (Tx)

그런데 개발한 시스템은 수위를 측정하는 30초 동안 수위의 변화를 확인하면서 마지막 30초가 되는 지점에서의 수위가 어떤지를 보고 정상 여부를 판별한다. 오차가 발생했을 때는 초음파 센서의 측정값이 30초 동안 큰 변동을 보이며 정확한 수치를 측정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오차는 초음파 센서가 수위 감지 시 센서 자체의 민감성으로 인하여 반사되어 올라오는 것까지 감지하는 것과, 변기 수면의 일렁거림에 의해 나타나는 오차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 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 전송 시 발생하는 오류 부분은 상태 정보의 문자가 관리자의 단말기에 정확하게 수신되지 못하거나, 몇 분 후 메시지가 연속적으로 전송되는 경우, twitter 계정 내에서 같은 메시지가 연속으로 전송될 경우 twitter 자체에서 문자를 받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와 같은 오류는 개발한 프로토타입 시스템이 WiFi 및 이동통신망을 통한 SNS 계정으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으로 개발이 되어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와 같은 오류는 비면허대역 주파수를 사용하는 WiFi 대신 면허대역 주파수를 사용하는 셀룰러 이동통신망을 사용할 경우 개선되어 보다 안정적이고 신뢰도 있는 정보전송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4.2 물결의 일렁임에 따른 오차

측정값의 오차가 변기 내 물의 수면에서 일렁임이 있을 경우 어떻게 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정상수위를 맞춰 놓은 상태에서 인위적으로 수면에 일렁임을 만들어 어느 정도 오차가 발생하는지에 대한 성능 시험을 실시하였다. Table 5와 같이 실시 전 변기 내 물결의 일렁임이 얼마나 지속되는지부터 확인 하였는데, 짧게는 30초, 길게는 1분 이상 나타났다. 이 시간은 개발한 관리시스템의 초음파 센서가 수위를 측정하는데 할당한 시간인 30초에 충분이 영향을 미칠 수 있다.

Table 5.Error performance of internal wave of toilets

총 15회 수위 측정 시험 중에서 오차를 보인 경우는 3회 정도 발생하였으며, 이러한 오류 발생은 각각 고장, 정상, 막힘 상황에서 일어나는 물결의 일렁임이 센서의 정확한 수위 측정에 충분히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개발 시스템에서 수위를 측정하는데 사용한 초음파 센서의 경우 불규칙한 표면으로 되어있는 물체를 측정 시에 반향파의 방향이 분산되기 때문에 수신 강도가 떨어 질 수 있다. 특히 물결의 일렁임이 일어났을 경우는 실제 거리와는 다른 값으로 인식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센서의 위치를 다른 곳에 설치(예를 들어, 변기 커버 밑 또는 변기 뚜껑) 또는 측정하는 센서를 하나가 아닌 두 개를 두어 정확한 값을 측정한다면 더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4.3 네트워크 연결 후 초기 측정 시 발생하는 오차

개발한 M2M 기반의 화장실 관리시스템이 초기 작동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오차 성능을 측정하였다. 개발한 시스템은 초기 동작 시 네트워크 연결을 위하여 약 30초 정도의 시간을 요구한다. 30초 경과 후 센서가 측정한 값을 바탕으로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이때 네트워크 연결 및 그에 따른 메시지 전송이 얼마나 정확하게 이루어지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Table 6과 같이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시간이 지난 후 처음 수위를 측정 했을 때 메시지 전송의 오차를 측정하였다.

Table 6.Error performance of the first measurement after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on

총 20회 시험 중에서 오차가 나타난 횟수는 3회로 이러한 오차가 발생하는 원인은 다음과 같이 추정할 수 있다. 개발한 시스템의 경우 Wi-Fi Shield에서 공유기를 찾아 네트워크 연결 후 수위 측정, 그에 따른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그러나 오차가 발생했던 경우에는 네트워크 연결 확인 및 수위 측정값이 해당 LCD에 정확하게 표시가 되지만 메시지는 전송이 되지 않았다. 즉, 완벽한 연결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동작하여 해당 메시지가 전송이 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 문제는 Wi-Fi Shield에서 무선 공유기를 통한 인터넷 연결을 완벽하게 할 수 있도록 지연시간을 충분히 허용한다면 해결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앞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면허대역 주파수(예: 셀룰러 이동통신)를 이용한다면 이러한 오류를 보다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5. 결 론

우리나라를 방문하는 외국인 관광객들뿐만 아니라 내국인들에게도 보다 청결한 공중화장실을 제공하기 위해 관련 기관에서는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공공화장실 외관에 보다 많은 투자를 기울이고 있는 실정이며 여러 사람들이 사용하는 화장실 내부와 변기의 청결 및 정상 상태 관리는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변기가 막히거나 고장이 났을 경우에는 화장실 이용객이 불편을 겪을 뿐 담당 관리자가 고장유무를 신속하게 확인하고 대처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M2M/IoT 기반의 공중화장실 관리시스템을 제안하고, 제안시스템의 타당성 검증을 위하여 시험 시제품(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특히 제안하는 관리시스템은 변기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비정상 상태(막힘 또는 고장) 발생 시, 원격지의 화장실 관리자에게 문자를 전송하고 동시에 화장실 출입문에 설치된 알림판에 상태정보 등을 표시 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개발 시스템의 기능 및 성능 시험 결과 수위 측정 능력과 변기상태의 정보전송 기능 등 전반적인 시스템 요구사항들을 만족시킴을 확인하였다.

제안하는 M2M 기반의 공중화장실 관리시스템을 관리자가 상시 근무하지 않는 공중화장실들에 적용하여 중앙관리방식으로 운용할 경우 공중화장실의 설비 고장 시 관리자가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어 화장실 사용자들에게 보다 쾌적한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공중화장실 문화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논문에서 개발한 프로토타입 시스템을 실제 화장실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으로 보완해야할 점이 있다. 먼저 개발 프로토타입 시스템의 성능 시험을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변기 내 수위 측정 범위를 고정 값으로 구현하였다. 그러나 실제 화장실 환경은 구조가 매우 다양하기 있기 때문에 변기 내 수위측정 범위(threshold)를 자동으로 조정하거나 시스템을 설치할 때 이 범위 값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관련 기능 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화장실의 청결 정도를 센서로 감지하여 화장실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추가할 경우 제안하는 시스템을 이용하는 화장실 사용자의 만족도를 크게 개선할 수 있을 기대된다.

References

  1. D. Lee, Internet of Things Connecting Everything, DIGIECO report Issue & Trend.
  2. G. Wu, S. Talwar, K. Johnsson, N. Himayat, and K.D. Johnson, "M2M: From Mobile to Embedded Internet," IEEE Communication Magazine, Vol. 49, Issue. 4, pp, 36-38, 2011.
  3. Y. Zhang, R. Yu, S. Xie, W. Yao, Y. Xiao, and M. Guizani, "Home M2M Networks: Architectures, Standards, and QoS Improvement," IEEE Communication Magazine, Vol. 49, Issue. 4, pp. 44-52, 2011.
  4. G. Lee, "M2M/IoT, Competency and Limits of New Platform," ICP SPOT Issue, pp. 27-34, 2013.
  5. C.S. Kang, H.S. Cho, and B.H. Kim, "A Machine-to-machine based Intelligent Walking Assistance System for Visually Impaired Person," Journal of Korea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ociety, Vol. 36, No. 3, pp. 287-296, 2011.
  6. C.S. Kang, S. Kim, E.Y. Ko, "Automatic Meter Reading and Tariff Notification System using CDMA Mobile Communications,"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Vol. 11, No. 4, pp. 977-985, 2008.
  7. D. Kim, S.H. Lee, H.S. Cho, and C.S. Kang, "Mobile Blackbox using CDMA Communication CDMA," Proceedings of the Korean Istitute of Commi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pp. 1024-1027, July 2010.
  8. T. Seol, S. Yoon, and C.S. Kang,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Protection System for the Mentally Handicapped using a GPS Receiver and Mobile Communications,"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T Services, Vol. 9, No. 4, pp. 207-217, 2010.
  9. C.S. Kang and N.T. Dung, "An M2M-based Ship Collision Avoidance and Recognition System with Dynamic Alarm Distance Threshold and Guard Time," Telecommunications Review, Vol. 21, No. 7, pp. 87-102, 2011.
  10. Statistics Korea, Foreign tourist number, 1st-4th quarter, E-index(www.index.go.kr), 2012.
  11. J.H. Park and U.H. Ku, "Proposal of Public Restroom Design using the Sunlight Technology,"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0, No. 2, pp. 218-220, 2010.
  12. H.S. Park, S.H. Lim, and J.Y. Lee, "A Study on the Ecological Construction of Public Restroom in the Park Planning,"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27, No. 1, pp.51-53, 2011.
  13. M.K. Lee, S.H Park, S.H Ban, J.B Byun, and M.J Jung, "Study on Automatic Cleaning Method of Toilet Bowl for Clean Public Toilet," Proceedings of the Institute of Control, Robotics and Systems (28th ICROS), pp. 508-509, May 2013.
  14. K. Seo and D.H. Lee, "Infrastructure of Environment-friendly Public Restroom," Proceedings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pp. 286-293, July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