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Regeneration Policies of an Old Industrial Area in Metropolis : A Case of Sasang Industrial Area

대도시지역 노후공업지역 재생정책 방향에 관한 연구 : 사상공업지역을 중심으로

  • Kim, Gyeong-Su (Urban Infrastructure Division, Busan Development Institute)
  • 김경수 (부산발전연구원 도시기반연구실)
  • Received : 2014.10.04
  • Accepted : 2014.12.23
  • Published : 2014.12.31

Abstract

The industrial areas including large industrial complexes formed by the process of the growth-oriented industrialization in the past have been attributed to worsening the urban competitiveness of cities due to their infrastructure shortages and aging. Government-led regeneration projects for old industrial complexes have been implemented on a trial basis, but there is a problem with applying a uniform regeneration planning to all the regional industrial complexes with different circumstances and physical environments. In this context, this study diagnosed the social conditions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asang industrial area in the city of Busan formed by private-led projects in the past and then tried to suggest its regeneration directions. The study area was characterized as its weakening industrial function, infrastructure shortage, and increasing development pressure. Based on these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regeneration directions were suggested. In the planning phase, pubic-led infrastructure expansion is first needed and urban renewal needs to be applied to some areas designated as priority maintenance areas. In the implementation phase, stepwise projects are required in the medium to long term and it is important to build upon the consensus with private companies through establishing collaborative governance.

과거 성장 중심의 산업화 과정에서 형성된 대규모 산업단지를 비롯한 공업지역이 기반시설 부족과 노후화로 인해 지방도시의 도시경쟁력을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인식하에 최근들어 정부주도의 노후산업단지 재생사업이 시범적으로 추진되고 있으나 지역마다의 산업단지의 형성여건과 물리적 환경이 상이하여 획일화된 재생계획의 우려가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거 민간주도로 조성된 부산 사상공업지역을 사례로 지역의 사회적 여건과 물리적 현황을 바탕으로 지역특성을 진단하고 재생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사례지역은 사회적 측면에서 시역확장에 따른 입지적 도시기능 변화와 김해, 양산 등 주변도시의 급격한 성장에 따른 기업유출로 공업기능의 잠식, 물리적 여건측면에서는 기반시설 미흡 및 개발압력 가중으로 요약된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수립할 재생정책의 방향으로서 계획수립단계에서는 공공주도의 기반시설 확충에 우선하고 시범적으로 일부지역에 대한 우선정비구역 지정을 통한 전면철거방식 적용이 필요하다. 실행단계에서는 중장기적 관점에서 단계적 사업이 필요하며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을 통한 재생사업 추진과정에서 기업과의 공감대 형성이 중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Keywords

References

  1. Bae, Y.G., J.D. Jeong, G. Yeb and N.J. Jang. 2009. City of New York Zoning Handbook. Department of City Planning. Seoul Institute (배웅규, 정종대, 지엽, 장남종. 2009. 뉴욕시 조닝 핸드북.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 Busan Development Institute. 2003. A study on the management of urban facilities transferred-site in Busan (부산발전연구원. 2003. 부산시 도시계획시설이적지 효율적 관리방안 연구).
  3. Busan Metropolitan City. 2005. Busan metropolitan city housing environment master plan. (부산시. 2005. 2010 부산광역시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 기본계획).
  4. Busan Metropolitan City Sa-Sang District. 2005. 2005 Sasang district master plan (부산광역시 사상구. 2005. 2005 사상구 장기발전계획).
  5. Cho, H.J. 2009. A study on regeneration plan by type for old industrial complex in the metropolitan area. Master Thesis, University of Seoul, Seoul, Korea. 78pp (조현주. 2009. 수도권 노후산업단지의 유형별 재생방안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8쪽).
  6. Eum, K.C. and K.T. Jung. 2009. The study on assessment of space recycling contents strategy of urban style industrial complex -centered on Seoul digital industrial complex and Busan Sasang manufacturing area-. Journal of Korea Real Estate Society 27(1):89-116 (엄길청, 정광태. 2009. 도시형 산업단지의 공간재생 컨텐츠전략 평가에 관한 연구 : 서울 디지털산업단지와 부산 사상공업지역을 중심으로. 대한부동산학회지 27(1):89-116).
  7. Kim, H.K. and G.C. Kang. 2008. A study on the regional regeneration analysis for urban regeneration in Busa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1(1): 167-177 (김흥관, 강기철. 2008. 도시재생을 위한 부산시의 재생지역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1(1):167-177).
  8. Kim, H.K. and S.J. Yeo. 2008. City center regeneration on city center function type in Busa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1(3):174-182 (김흥관, 여성준. 2008.부산시 도심기능의 유형별 도심재생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1(3):174-182).
  9. Korea Industrial Complex Co.. 2012. Status of Industrial Clusters (한국산업단지공단. 2012. 산업단지현황).
  10. Nam, K.W., I.H. Kwon and J.H. Park. 2014. Establishment and application of GIS- based DongNam kwon industry information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7(1):71-80 (남광우, 권일화, 박준호. 2014. GIS기반 동남 광역권 산업체 정보시스템 구축 및 활용.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7(1):71-80). https://doi.org/10.11108/kagis.2014.17.1.070
  11. Park, J.K. 2003. A study on the regeneration strategies of urban renewal in Busan : focused on the application of the linkage program. The Korean Association for Local Goverment Studies 7(2):89-111 (박정관. 2003. 부산시 도심재개발의 활성화 방안 지방정부연구 7(2):89- 111).
  12. Ryu, Y.H. and Y.H. Kim. 2003.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s and improvement of urban renewal project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Cheongjin district Seoul-.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9(5):123-130. (류연훈, 김영하. 2003. 도심재개발사업 실태와 개선방안 - 서울시 청진구역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19(5):123-130).
  13. Shin, C.H. 2007. Strengthening competitiveness of industry in light industrial area. The Seoul Institute (신창호. 2007. 준공업지역 의 산업경쟁력 강화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4. Shin, C.H. and H.Y. Jung. 1996. Improvement policy guidelines of the industrial areas for the vitalization of manufacturing industry in Seoul. The Seoul Institute (신창호, 정희윤. 1996. 서울형 산업 활성화를 위한 공업지역 정비방안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5. KICOX. www.kicox.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