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료 및 방법
시료 − 실험재료인 Clitocybin A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화학생물연구센터에서 공급받아 사용하였다. 시료는 dimethyl sulfoxide(DMSO)로 녹여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DMSO의 최종 농도는 0.2%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였다.
모유두 세포의 배양 − 흰쥐 수염에서 분리된 모유두 세포를 불멸화한 세포(Rat vibrissa immortalized dermal papilla cell)26) 는 ㈜아모레퍼시픽 피부과학연구소로부터 제공받았다. 모유두 세포를 100 units/ml penicillin-100 µg/ml streptomycin(Gibco Inc, NY, USA)과 10% heat-inactivated fetal bovine serum(FBS; Gibco Inc, NY, USA)이 함유된 DMEM (Hyclone Inc, UT, USA) 배지를 사용하여 37℃, 5% CO2 항온기에서 배양하였으며, 3일에 한 번씩 계대배양 하였다.
MTT assay − 모유두 세포의 증식은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MTT) assa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27) 모유두 세포(1.0×104 cells/ml)를 1% FBS를 포함한 DMEM 배지에 혼탁하여 96 well plate에 넣고 24시간 배양 후 Clitocybin A(0.001, 0.01, 0.1, 1, 10 및 50 µM)를 처리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 minoxidil(Sigma, MO, USA)을 10 µM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4일 동안 배양한 후 2 mg/ml 농도의 MTT(Sigma, MO, USA) 50 µl씩을 well에 첨가하고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상층액은 제거하고 dimethyl sulfoxide(DMSO) 200 µl을 가하여 침전물을 용해 시킨 후 microplate reader(Amersham Pharmacia Biotech, NY, USA)를 사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각시료군에 대한 평균 흡광도 값을 구하였으며, 대조군의 흡광도 값과 비교하여 증식정도를 조사하였다.
세포주기 분석 − 모유두 세포는 1% FBS를 포함하는 DMEM 배지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에 Clitocybin A (0.001, 0.01, 0.1 µM) 또는 10 µM minoxidil을 처리한 다음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를 수확하고, PBS로 세척한 다음, -20℃에서 30분 동안 70% ethanol로 고정하였다. RNase A(50 µg/ml) 처리하고, propidium iodide(PI)로 염색한 다음 FACScan flow cytometer(Becton-Dickinson, San Jose, CA, USA)로 세포주기를 분석하였다.
Western blot analysis − 모유두 세포를 1% FBS를 포함하는 DMEM 배지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에 Clitocybin A(0.001, 0.01, 0.1 µM) 또는 10 µM minoxidil을 처리한 다음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를 PBS로 2회 세척한 후 200 µl의 lysis buffer [50 mM Tris-HCl(pH 7.5), 150 mM NaCl, 2 mM EDTA, 1 mM EGTA, 1 mM NaVO3, 10 mM NaF, 1 mM dithiothreitol(DTT), 1 mM phenylmethylsulfonylfluoride(PMSF), 25 µg/ml aprotinin, 25 µg/ml leupeptin and 1% NP-40]를 첨가한 다음, 4℃에서 30분 동안 lysis 시켰다. Cell lysate는 15,000 rpm에서 15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얻었고 실험에 사용전까지 -20℃에 보관하였다. 단백질 농도는 bovine serum albumin(BSA)를 표준물질로 사용하여 Bradford method에 의하여 정량하였다.28) 20-30 µg의 lysate를 8-12% Sodium dodecyl sulfate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SDS-PAGE)로 변성 분리한 다음 polyvinylidene fluoride(PVDF) membranes(Bio-Rad, Hercules, CA, USA)으로 200 mA에서 2시간 동안 transfer하였다. 그리고 membrane의 blocking은 5% nonfat dried milk가 함유된 Tween-20-TBS(T-TBS)(50 mM Tris, pH 7.6, 150 mM NaCl, 0.1% Tween-20) 용액에서 2시간 동안 실시하였다. Membrane은 여러 단백질의 발현을 조사하기 위해 Cyclin D1(1:1000), phospho-CDK2(1:1000), CDK2(1:1000), Cyclin E(1:2000), phospho(ser780)-pRB(1:1000), phospho-ERK1/2 (1:1000), phospho(ser552)-β-catenin(1:1000), phospho(ser675)-β-catenin(1:1000), β-catenin(1:2000), phospho(ser9)-GSK3β (1:1000), GSK3β(1:1000) and β-actin(1:5000)에 대한 primary antibody로 4℃에서 overnight 결합시켰다. Secondary antibody는 Horse Radish Peroxidase(HRP)가 결합된 anti-rabbit IgG, anti-mouse IgG를 1:5000으로 희석하여 1시간 동안 상온에서 반응을 진행하였다. 그 다음 T-TBS로 membane을 3회 세척한 후, ECL 기질(Intron, Seoul, Korea)로 1분 동안 반응시킨 다음 X-ray film(AGFA, Mortsel, Belgium)에 감광하였다. Band intensities는 NIH Image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http://rsb.info.nih.gov/ij/).
통계분석 − 모든 측정결과는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내었으며, 통계학적 유의성 검정은 student's t-test으로 검정하였으며, p-value가 0.05 이하일 경우 유의성을 인정하였다. 통계 처리는 Sigma Stat software(Jandel Scientific Software, USA)를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및 고찰
Clitocybin A가 모유두 세포의 성장증식 효능이 있는지 불멸화된 모유두 세포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모유두 세포는 모낭의 기저에 위치하는 중배엽 유래 세포로써, 모기질 세포(matrix cells)와의 상호작용, hair germ을 통한 stem cell 활성화 및 모발의 재생에 중요한 작용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12,16,29,30) Clitocybin A을 0.001, 0.01, 0.1, 1, 10 및 50 μM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대조군(100.0±7.1)%에 비하여 각각 116.7±11.3%(p<0.001), 115.3±11.7%(p<0.001), 112.6±11.5%(p<0.01), 110.5±7.9%(p<0.01), 100.3±6.5% 및 80.2 ±6.0% 정도 모유두 세포의 증식이 증가하였다. Clitocybin A(0.001 and 0.01 μM)의 모유두 세포의 증식 효과는 양성 대조물질로 사용한 10 μM minoxidil의 115.7±9.9%(p< 0.001)와 비슷한 증식 증가 효과를 나타내었다(Fig. 1). 반면 50 μM 이상의 농도에서 Clitocybin A는 세포성장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Fig. 1). 이전 연구에서 Clitocybin A는 5 μM 이상의 농도에서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PDGF) 에의해 유도된 혈관평활근 세포의 증식을 억제함이 밝혀졌다25). 즉, Clitocybin A는 세포성장을 억제하지 않는 낮은 농도에서 minoxidil 보다 높은 세포증식 효능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Fig. 1).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Clitocybin A가 모유두 세포의 증식을 통해 육모 효능을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G0/G1, S및 G2/M phase로의 cell cycle의 진행과정은 포유류 세포 증식의 주요과정이며,18-20) Clitocybin A가 cell cycle의 진행을 유도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DNA에 결합하는 형광물질인 PI를 처리하여 유세포분석기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Clitocybin A 처리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sub G1 phase 세포가 감소하였고 G1 phase 세포 및 G2/M phase 세포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Fig. 2). Cell cycle의 진행은 cyclin E/CDK2 complex의 활성화, cyclin D1 증가 및 pRB의 인산화 증가등의 단백질 발현을 동반함이 알려져 있다.18-20) 이러한 cell cycle 진행과 관련된 단백질의 발현이 Fig. 2의 결과와 일치하게 변화화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cyclin D1, cyclin E, phospho-CDK2, CDK2, phospho (ser780)-pRB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Fig.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유두 세포에 24시간 동안 Clitocybin A(0.001, 0.01 및 0.1 μM)를 처리하였을 때, cyclin D1, phospho-CDK2 및 phospho(ser780)-pRB의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함을 확인할수 있었다. 그러나 Clitocybin A 처리는 Cyclin E 및 CDK2 의 발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Minoxidil를 처리하였을 때도 역시 Clitocybin A와 비슷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Fig. 3). Clitocybin A가 모유두세포의 성장 증식을 유도하는 분자적 기전을 밝히기 위해 Wnt/β-catenin 신호 전달 경로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Wnt/β-catenin 신호전달 경로는 모발성장, 세포증식 조절등의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6,10,31) PKA, Akt 및 GSK3β 등의 다양한 인자에 의해 조절됨이 알려져 있다. Akt의 활성화는 β-catenin의 인산화(ser552) 및 GSK3β의 인산화(ser9)를 유도하며, PKA는 β-catenin의 인산화(ser552 및 ser675)를 유도하여 세포질 내에서 β-catenin의 분해를 저해하고 안정화를 증가시킨다.13,15,32) 그로 인해 β-catenin세포핵으로의 이동이 촉진되고 타겟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한다.13,15,32) 24시간 동안Clitocybin A를 처리한 경우, phospho(ser552)-β-catenin, phospho(ser675)-β-catenin, phospho(ser9)-GSK3β의 레벨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런 결과로 Clitocybin A가 β-catenin 신호전달 경로를 활성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Fig. 4). 또한 양성대조 물질인 minoxidil도 Kwack 등의 연구결과와 비슷하게 phospho(ser552)-β-catenin, phospho (ser675)-β-catenin, phospho(ser9)-GSK3β의 레벨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β-catenin 신호전달 경로를 활성화함을 확인하였다.8) 한편, MAPK 경로 중 하나인 ERK는 성장인자들에 의해 활성화되어 세포 생존 및 성장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33), ERK의 활성화는 세포주기 단백질 중 하나인 cyclin D1의 발현을 증가시킴이 보고되었다.34) 특히, minoxidil에 의한 ERK의 활성화는 모유두세포의 apoptosis 저해와 관련됨이 알려져 있다.9) Fig. 5에서 보이는 결과와 같이 모유두세포에 Clitocybin A를 처리하였을 때 phosphoERK1/2의 레벨이 증가하는 것으로 ERK1/2의 신호전달을 활성화 시킴을 확인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로부터 Clitocybin A가 cyclin D1, phospho-CDK2, phospho-pRB 같은 세포주기 조절 단백질의 레벨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Wnt/β-catenin 신호전달 경로 및 ERK 신호전달 경로의 활성화를 유도하여 모유두 세포의 증식증가 효능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Fig. 1.The effect of Clitocybin A on the proliferation of DPCs. Immortalized DPCs (1.0×104 cells/ml) were plated in 96 well plates. Immortalized DPCs were treated with Clitocybin A (0.001, 0.01, 0.1, 1, 10 and 50 µM). Stimulation with minoxidil served as a positive control. Cell proliferation was measured using a MTT assay for 4 days. All experiments were performed in triplicate. Data are presented as the mean±the S.D. *p<0.05, **p<0.01, ***p<0.001 vs. vehicle treated control.
Fig. 2.The effect of Clitocybin A on cell cycle progression in DPCs. Immortalized DPCs were stained with PI after 24 h exposure of Clitocybin A (0.001, 0.01 and 0.1 µM) or minoxidil (10 µM). The cell cycle was analyzed by flow cytometry. The percentages of cells in each phase (subG1, G1, S and G2/M) were quantified by CellQuest software.
Fig. 3.The effect of Clitocybin A on the level of cell cycle associated proteins in DPCs. Immortalized DPCs were treated with Clitocybin A (0.001, 0.01 and 0.1 µM) or minoxidil (10 µM) for 24 h. The effects of Clitocybin A on the levels of cyclin D1, cyclin E, phospho-CDK2, CDK2 and phospho-pRB were analyzed by immunoblotting.
Fig. 4.The effects of Clitocybin A on the level of Wnt/β-catenin signaling proteins in DPCs. Immortalized DPCs were treated with Clitocybin A (0.001, 0.01 and 0.1 µM) and minoxidil (10 µM) for 24 h. The effects of Clitocybin A on the levels of phospho(ser552)-β-catenin, phospho(ser675)-β-catenin, β-catenin, phospho(ser9)-GSK3β, GSK3β were analyzed by immunoblotting.
Fig. 5.The effect of Clitocybin A on the level of phosphoERK1/2 in DPCs. Immortalized DPCs were treated with Clitocybin A (0.001, 0.01 and 0.1 µM) and minoxidil (10 µM) for 24 h. The expression of phospho-ERK1/2 were measured by Western blotting.
결 론
본 연구에서는 Clitocybin A이 모발의 성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모유두 세포에서 cell cycle proteins, Wnt/β-catenin 및 ERK 신호전달 경로의 활성화를 유도하여 모유두세포의 성장증식을 촉진함을 밝혔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Clitocybin A가 탈모치료 및 탈모예방에 이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는 근거를 제시하는 것이다.
References
- Price, V. H. (1999) Treatment of hair loss. N. Engl. J. Med. 341: 964-973. https://doi.org/10.1056/NEJM199909233411307
- Ellis, J. A., Sinclair, R. and Harrap, S. B. (2002) Androgenetic alopecia: pathogenesis and potential for therapy. Expert. Rev. Mol. Med. 4: 1-11.
- Cotsarelis, G. and Millar, S. E. (2001) Towards a molecular understanding of hair loss and its treatment. Trends Mol. Med. 7: 293-301. https://doi.org/10.1016/S1471-4914(01)02027-5
- Kaufman, K. D. and Dawber, R. P. (1999) Finasteride, a Type 2 5alpha-reductase inhibitor, in the treatment of men with androgenetic alopecia. Expert. Opin. Investig. Drugs. 8: 403-415. https://doi.org/10.1517/13543784.8.4.403
- Kaufman, K. D. (2002) Androgens and alopecia. Mol. Cell Endocrinol. 198: 89-95. https://doi.org/10.1016/S0303-7207(02)00372-6
- Kwack, M. H., Kang, B. M., Kim, M. K., Kim, J. C. and Sung, Y. K. (2011) Minoxidil activates beta-catenin pathway in human dermal papilla cells: A possible explanation for its anagen prolongation effect. J. Dermatol. Sci. 62: 154-159. https://doi.org/10.1016/j.jdermsci.2011.01.013
-
Hamaoka, H., Minakuchi, K., Miyoshi, H., Arase, S., Chen, C. H. and Nakaya, Y. (1997) Effect of
$K^+$ channel openers on$K^+$ channel in cultured human dermal papilla cells. J. Med. Invest. 44: 73-77. - Shorter, K., Farjo, N. P., Picksley, S. M. and Randall, V. A. (2008) Human hair follicles contain two forms of ATP-sensitive potassium channels, only one of which is sensitive to minoxidil. FASEB J. 22: 1725-1736. https://doi.org/10.1096/fj.07-099424
- Han, J. H., Kwon, O. S., Chung, J. H., Cho, K. H., Eun, H. C. and Kim, K. H. (2004) Effect of minoxodil on proliferation and apoptosis in dermal papilla cells of human hair follicle. J. Dermatol. Sci. 34: 91-98. https://doi.org/10.1016/j.jdermsci.2004.01.002
- Ouji, Y., Yoshikawa, M., Moriya, K. and Ishizaka, S. (2007) Effects of Wnt-10b on hair shaft growth in hair follicle cultures. Biochem. Biophys. Res. Commun. 359: 516-522. https://doi.org/10.1016/j.bbrc.2007.05.135
- Ito, M., Yang, Z., Andl, T., Cui, C., Kim, N., Millar, S. E. and Cotsarelis, G. (2007) Wnt-dependent de novo hair follicle regeneration in adult mouse skin after wounding. Nature 447: 316-320. https://doi.org/10.1038/nature05766
- Greco, V., Chen, T., Rendl, M., Schober, M., Pasolli, H. A., Stokes, N., Dela Cruz-Racelis, J. and Fuchs, E. (2009) A two-step mechanism for stem cell activation during hair regeneration. Cell Stem Cell 4: 155-169. https://doi.org/10.1016/j.stem.2008.12.009
- Hedgepeth, C. M., Conrad, L. J., Zhang, J., Huang, H. C., Lee, V. M. and Klein, P. S. (1997) Activation of the Wnt signaling pathway: a molecular mechanism for lithium action. Dev. Biol. 185: 82-91. https://doi.org/10.1006/dbio.1997.8552
- Hino, S., Tanji, C., Nakayama, K. I., and Kikuchi, A. (2005) Phosphorylation of beta-catenin by cyclic AMP-dependent protein kinase stabilizes beta-catenin through inhibition of its ubiquitination. Mol. Cell. Biol. 25: 9063-9072. https://doi.org/10.1128/MCB.25.20.9063-9072.2005
- Monick, M. M., Carter, A. B., Robeff, P. K., Flaherty, D. M., Peterson, M. W. and Hunninghake, G. W. (2001) Lipopolysaccharide activates Akt in human alveolar macrophages resulting in nuclear accumulation and transcriptional activity of beta-catenin. J. Immunol. 166: 4713-4720. https://doi.org/10.4049/jimmunol.166.7.4713
- Stenn, K. S. and Paus, R. (2001) Controls of hair follicle cycling. Physiol. Rev. 81: 449-494.
- Johnson, D. G. and Walker, C. L. (1999) Cyclins and cell cycle checkpoints. Annu. Rev. Pharmacol. Toxicol. 39: 295-312. https://doi.org/10.1146/annurev.pharmtox.39.1.295
- Sherr, C. J. (1996) Cancer cell cycles. Science 274: 1672-1677. https://doi.org/10.1126/science.274.5293.1672
- Sherr, C. J. and Roberts, J. M. (1999) CDK inhibitors: Positive and negative regulators of G1-phase progression. Genes Dev. 13: 1501-1512. https://doi.org/10.1101/gad.13.12.1501
- Prall, O. W., Sarcevic, B., Musgrove, E. A., Watts, C. K. and Sutherland, R. L. (1997) Estrogen-induced activation of Cdk4 and Cdk2 during G1-S phase progression is accompanied by increased cyclin D1 expression and decreased cyclin-dependent kinase inhibitor association with cyclin E-Cdk2. J. Biol. Chem. 272: 10882-10894. https://doi.org/10.1074/jbc.272.16.10882
- Tetsu, O. and McCormick, F. (1999) Beta-catenin regulates expression of cyclin D1 in colon carcinoma cells. Nature 398: 422-426. https://doi.org/10.1038/18884
- Han, S. K., Cho, J. W., Cho, H. J., Kim, H. J. and Lee, Y. M. (2013) A field guide to mushrooms. 2th Ed. Korea national arboretum, Hwang TS, pp. 386-393. Geobook, Seoul
- Kim, Y. H., Cho, S. M., Hyun, J. W., Ryoo, I. J., Choo, S. J., Lee, S., Seok, S. J, Hwang, J. S., Sohn, E. D., Yun, B. S., Bae, K. H. and Yoo, I. D. (2008) A new oxidant, clitocybin A, from the culture broth of Clitocybe aurantiaca. J. Antibiot. 61: 573-576. https://doi.org/10.1038/ja.2008.77
- Moon, E. Y., Kim, Y. H., Ryoo, I. J. and Yoo, I. D. (2009) Clitocybins, novel isoindolinone free radical scavengers, from mushroom Clitocybe aurantiaca inhibit apoptotic cell death and cellular senescence. Biol. Pharm. Bull. 32: 1689-1694. https://doi.org/10.1248/bpb.32.1689
- Park, E. S., Yoo, K. D., Kang, S. I., Yoo, S. H., Won, H. H., Kim, Y. H., Yoo, I. D., Yoo, H. S., Hong, J. T. and Yun, Y. P. (2012) Clitocybin A, a novel isoindolinone, from mushroom Clitocybe aurantiaca, inhibits cell proliferation through G1 phase arrest by regulating PI3K/Akt cascade in vescular smooth muscle cells. J. Pharmacological Sci. 118: 171-177. https://doi.org/10.1254/jphs.11159FP
- Filsell, W., Little, J. C., Stones, A. J., Granger, S. P. and Bayley, S. A. (1994) Transfection of rat dermal papilla cells with a gene encoding a temperature-sensitive polyomavirus large T antigen generates cell lines a differentiated phenotype. J. Cell Sci. 107: 1761-1772.
- Carmichael, J., DeGraff, W. G., Gazdar, A. F., Minna, J. D. and Mitchell, J. B. (1987) Evaluation of a tetrazolium-based semiautomated colorimetric assay: assessment of chemosensitivity testing. Cancer Res. 47: 936-942.
- Bradford, M. M. (1976) A rapid and sensitive method for the quantitation of microgram quantities of protein utilizing the principle of protein-dye binding. Anal. Biochem. 72: 248-254. https://doi.org/10.1016/0003-2697(76)90527-3
- Jahoda, C. A., Horne, K. A. and Oliver, R. F. (1984) Induction of hair growth by implantation of cultured dermal papilla cells. Nature 311: 560-562. https://doi.org/10.1038/311560a0
- Horne, K. A., Jahoda, C. A. and Oliver, R. F. (1986) Whisker growth induced by implantation of cultured vibrissa dermal papilla cells in the adult rat. J. Embryol. Exp. Morphol. 97: 111-124.
- Wangefjord, S., Brandstedt, J., Ericson Lindquist, K., Nodin, B., Jirstrom, K. and Eberhard, J. (2013) Associations of beta-catenin alterations and MSI screening status with expression of key cell cycle regulating proteins and survival from colorectal cancer. Diagn. Pathol. 8: 10. https://doi.org/10.1186/1746-1596-8-10
-
Brudvik, K. W., Paulsen, J. E., Aandahl, E. M., Roald, B. and Tasken, K. (2011) Protein kinase A antagonist inhibits
${\beta}$ -catenin nuclear translocation, c-Myc and COX-2 expression and tumor promotion in Apc(Min/+) mice. Mol. Cancer. 10: 149. https://doi.org/10.1186/1476-4598-10-149 - Chuang, S. M., Wang, I. C. and Yang, J. L. (2000) Roles of JNK, p38 and ERK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in the growth inhibition and apoptosis induced by cadmium. Carcinogenesis 21: 1423-1432. https://doi.org/10.1093/carcin/21.7.1423
- Lavoie, J. N., L'Allemain, G., Brunet, A., Muller, R. and Pouyssegur, J. (1996) Cyclin D1 expression is regulated positively by the p42/p44MAPK and negatively by the p38/HOGMAPK pathway. J. Biol. Chem. 271, 20608-20616. https://doi.org/10.1074/jbc.271.34.20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