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Ontological Understandings of Young Children in the Picture Books for the Early Childhood

유아 그림책 속의 어린이에 대한 존재론적 이해

  • 전가일 (장안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4.10.15
  • Accepted : 2014.12.21
  • Published : 2014.12.31

Abstract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young children ontologically by examining features of young children in the picture books for the early childhood. For the purpose, under the consultation with a picture book specialist and three level process of selection, 4 picture books were chosen as analytic objects. The study questions is as follows. What is ontological understandings on young children throughout picture books for the early childhood? Under this purpose the books chosen were John Burningham's , David Wiesner's , Hina Back's , Peter Sis's . The books went through dramaturgical coding and were thematised based on the theories of ontological phenomenology. Study results show that young child-being appearing in the picture-books are thematised as 'multi layered being with Ntwurf and Geworfenheit(Aldo)', 'responsible being risen above greed(Plotsam)', 'reflective being on face of others(Fairy of Jangsutang)', 'being who encourages educational response of adults.(Madlenka's Dog)' These results revealed that young child-being have features not different from (multi layered aspect of being), unique from(encouraging educational response), and beyond adult-being(responsibility and response towards others). Despite several limitations, this study helped understand the young children ontologically by revealing that they, not only as developmental beings with imperfection, dependence, and immaturity but as multi layered and requesting, responsible being, having the same features as adults and, at times, rise above adult-being.

이 연구는 좋은 유아 그림책 속에 나타난 어린이의 존재 특징을 고찰함으로써 어린이에 대한 존재론적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 연구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좋은 그림책의 선정 기준에 대해 그림책 전문가에게 자문을 구하였으며 총 3단계에 걸쳐 최종적으로 존 버닝햄의 <알도>, 데이비드 위즈너의 <시간상자>, 백희나의 <장수탕 선녀님>, 피터시스의 <마들렌카의 개> 4권의 그림책이 분석대상으로 결정되었다. 분석을 위해 그림책 내용에 대한 극화코딩을 실시하였으며 이 극화코딩 자료들을 존재론적 현상학의 이론들을 통해 주제화하였다. 연구결과 유아 그림책에 나타난 어린이의 존재성은 각각 '피투이며 동시에 기투하는 중층적 존재'(알도), '욕심을 버리고 관계의 얽힘에 책임지는 존재'(시간상자), '타인의 얼굴에 반응하는 존재'(장수탕 선녀님), '성인의 교육적 반응을 촉구하는 존재'(마들렌카의 개)로 주제화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각각 어린이 존재성이 성인의 존재 특성과 다르지 않음(존재의 중층적 성격), 성인의 존재 특성과 다른 독특함(교육적 반응의 촉구), 성인의 존재성을 초월함(타인에 대한 책임과 반응)의 특징이 있음을 드러낸다. 이 연구는 몇몇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어린이가 발달적 존재로서의 의존성과 미숙함을 지닌 존재일 뿐 아니라 중층적 존재이며 반응을 요청하고 책임을 지는 존재임을 발견하였다. 또한 어린이가 성인과 같은 존재 특성을 가질 뿐 아니라 때로는 그것을 넘어선다는 점을 드러냄으로써 어린이에 대한 존재론적 이해를 돕는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영안 (2005). 타인의 얼굴: 레비나스의 철학. 서울: 문학과 지성사.
  2. 그림책 박물관 누리집 (2014). http://www.picturebook-museum.com, 출력일 2014년 8월 15일.
  3. 김영연, 최남정 (2009). 그림책 <지각대장 존>에 나타난 교사 이미지: 권력자. 어린이미디어연구, 8(2), 23-41.
  4. 김영욱 (2012). 포스트모던 그림책의 미장아빔: <나의 빨강책>과 <시간 상자>를 중심으로. 동화와 번역, 23, 91-120.
  5. 김정선 (2013). 그림책 언어로서의 프레임: 데이비드 위즈너의 그림책 텍스트를 중심으로. 조형미디어학, 16(2), 61-67.
  6. 김현경, 현은자 (2006). 그림책에 나타난 곰의 이미지 연구.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7(1), 1-39.
  7. 나선희, 현은자 (2008). 윌리엄 스타이그의 그림책에 나타난 상호텍스성 I. 유아교육연구, 28(4), 353-377.
  8. 백승화, 강기수 (2012). 어린이 그림책의 교육인간학적 의의. 어린이문학과교육연구, 13(3), 135-155.
  9. 비룡소 누리집 (2014). http://bir.co.kr, 출력일 2014년 8월 15일.
  10. 서덕희 (2012). 사회적 소수자 연구 윤리로서의 '초월': 국제 결혼이주 여성과 그 자녀들을 직면해야 하는 한 연구자의 성찰일지. 교육인류학연구, 15(1), 93-120.
  11. 서정숙, 김정화, 유은석 (2009). 메타픽션 그림책의 기법 분석과 그에 대한 유아의 이해: "그림책 속 그림책" 구조를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29(2), 211-237.
  12. 송미선, 서정숙 (2012). 국내 학술지에 나타난 그림책 관련 논문의 경향 분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3(1), 1-17.
  13. 신미숙 (2013). 데이비드 위즈너 그림책 읽기에 나타나 유아의 그림에 대한 반응.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유혜령 (1997). 현대 해석학의 관점에서 본 아동 이해의 문제. 아동교육, 6(1), 96-110.
  15. 유혜령 (2012). 해석학적 텍스트로서의 레지오 기록의 의미: 교육적 불안과 희망의 양면성. 유아교육연구, 32(5), 415-433.
  16. 유혜령 (2013). 현상학적 질적 연구에 대한 오해와 이해: 연구 논리와 연구 기법 사이에서 길찾기. 현상.해석학적 교육연구, 10(1), 5-31.
  17. 이남인 (2014). 현상학과 질적연구. 서울: 한길사.
  18. 이수경( 2013). 존 버닝햄의 그림책에 나타난 판타지 공간의 의미. 동화와 번역, 26, 223-240.
  19. 이유림 (2013). 무성영화 요소를 통해 데이비드 위즈너의 시각 표현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이지은 (2012). 한국판타지 아동문학에 나타난 타자성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이진경 (2007). 모더니티의 지층들. 서울: 그린비.
  22. 장성단, 이주리 (2013). 그림책 <누가 내 머리에 똥 쌌어?>의 심층의미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2), 263-283.
  23. 전가일 (2013). 자유놀이에서 유아의 관계맺기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4. 전가일 (2014). 분절사회 속에서 책임지는 존재로 살아가기. 교육인류학소식, 20(2), 6-9.
  25. 전나리 (2007). 어린이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의 유형 분석 및 특징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6. 정선혜 (2008). 한국 아동소설에 나타난 아동상 탐색. 한국아동문학연구, 14, 135-171.
  27. 조문현, 박현주 (2005). TV 광고에 나타난 어린이의 이미지 분석. 어린이미디어연구, 4, 21-39.
  28. 조용환 (1999). 질적 연구: 방법과 사례. 서울: 교육과학사.
  29. 조용환 (2011). 본격적인 일차 코딩. 기오재 공동학습 자료 미간행.
  30. 조용환 (2012). 교육인류학과 질적연구. 교육인류학연구, 15(2), 1-21.
  31. 정은주 (2010). 유아의 상상력 교육을 위한 초현실주의적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2. 최은규, 정대련 (2002). 존 버닝햄의 그림책에 나타난 반편견적 사고 및 교육적 의미. 아동권리연구, 6(2), 341-364.
  33. 최혜림 (2012). 백희나 그림동화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4. 피터시스 개인 누리집 (2014). http://www.petersis.com, 출력일 2014년 8월 15.
  35. Berg, B. L. (2001).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or the social sciences (4th ed.). Boston: Allyn and Bacon.
  36. Bollnow, O. F. (1990). Pedagogik in anthropologischer sicht. 교육의 인간학(오인탁, 전혜영 옮김). 서울: 문음사(원판 1971).
  37. Cannella, G. S. (2002). Deconstruct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유아교육이론 해체하기: 비판적접근(유혜령 옮김). 서울: 창지사(원판 1995).
  38. Danby, S., Ewing, l., & Thorpe, K. (2011). The Novice researcher. Interviewing Young Children. Qualitative Inquiry, 17(1), 74-84. https://doi.org/10.1177/1077800410389754
  39. Danby, S., Thompson, C., Theobald, M., & Thrope, K. (2012). Children's strategies for making friends when starting school. Australi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37(2), 63-71.
  40. Gadamer, H. G. (2000). Wahrheit und methode. 진리와 방법I(이길우 옮김). 서울: 문학동네(원판 1960).
  41. Heidegger, M. (1998). Sein und zeit. 존재와 시간(전양범 옮김). 서울: 동서문화사(원판 1927).
  42. Leavitt, R. L. (1997). Civilizing bodies children in day care. Making a place for pleasur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p. 39-75). CT: Yale College.
  43. Levinas, E. (1996). Le temps et l'autre. 시간과 타자(강영안 옮김). 서울: 문예출판사(원판 1979).
  44.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ral Inquiry. CA: Sage.
  45. Saldana, J. (2005). Theatre of the oppressed with children: A field experiment. Youth Theatre Journal, 19, 117-133. https://doi.org/10.1080/08929092.2005.10012580
  46. Saldana, J. (2009). Coding manual for qualitative researchers. London: Sage.
  47. Schorsh, A. (1996). Images of childhood. NY: The Main Street Press.
  48. Schostak, J. (2008). Interviewing and representation in qualitative research. NY: Opren University Press.
  49. Smith, D. (1983). The meaning of children: A hermeneutic study.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Alberta, Canada.
  50. Suransky, V. P. (1992). The Erosion of childhood. 아동기의 실종(윤종화, 이재연 옮김). 서울: 교보문고.
  51. van Manen, M. (1994). Researching lived experience. 체험연구(신경림 옮김). 서울: 동녘(원판 1990).
  52. van Manen, M. (2012a). The tone of teaching. 가르친다는 것의 의미(정관순, 김선영 옮김). 서울: 학지사(원판 1986).
  53. van Manen, M. (2012b). The call of pedagogy as the call of contact. Phenomenology & Practice, 6(2), 8-34.
  54. Yin, Y. (2013). Contact with my teacher's eyes. Phenomenology & Practice, 7(1), 69-81.

Cited by

  1.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features and meanings of local playground vol.35, pp.3, 2014, https://doi.org/10.18023/kjece.2015.35.3.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