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Type of Cho(椒) and The Meaning of Gocho(고쵸)

초(椒)의 종류와 고쵸의 의미

  • Received : 2014.11.05
  • Accepted : 2014.11.17
  • Published : 2014.12.28

Abstract

In this article, another literatures that original Korean own red pepper (Gochu) was cultivated from ancient years and there were many other varieties of Gocho in Korea were shown. The first book where Gochu was appeared as written in Hangul (Korean own character invented by King Sejong in 1433) was Hunmongjahoe (訓蒙字會) written by Choi Sejin in 1527. However, many books where cho(椒) indicating Korean red pepper (Gochu) was described before Hunmongjahoe. This is consistent with Hongjaejonso(弘齋全書, 1799). King Jungjo asked Kim Dalsun about the type of Cho(椒) in Hongjaejonso, Kim Dalsun answered to King Jungjo that there are many types of Cho such as Chokcho(蜀椒), Jincho(秦椒), Dancho(丹椒), Daecho(大椒) and Hocho(胡椒). When common characteristics in Chokcho, Jincho, Dancho, Daecho and Hocho in Hongjaejonso were studied, it was found that these Chos had one word in common "Gocho(고쵸)" in the Korean translation. Also several Chos such as Buncho(蕃椒), Nammancho(南蠻椒), Mancho(蔓椒) were characterized as Gocho in ancient books. In conclusion there were several Chos such as Chokcho, Jincho, Dancho, Daecho, Hocho, Buncho, Nammancho, Mancho, etc indicating the various types of Cho, and these were all written as Gocho(고쵸) in the Korean character. An original Korean Gocho should be cultivated in Korean peninsula. Several different types of Cho were imported during the course of trade with foreign countries, and these foreign Chos called as Buncho(蕃椒), Nammancho(南蠻椒), Mancho(蔓椒) by discriminating original Korean Gocho(고쵸). The original name of Gochu(고추) is Gocho. Later the Chinese character for Gocho(苦椒) invented in response to the Korean character of "Gocho(고쵸)" by necessity.

본 연구는 한국 고추의 전래 역사와 어원에 대한 고찰의 일부이다. 한글명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훈몽자회(訓蒙字會)"로서 한자어 椒와 함께 '고쵸'로 언해되어있다. 이에 따라 '고쵸'로 기록된 초(椒)의 기록을 찾아 분석하여 본 결과 "훈몽자회" 그 이전에도 우리나라에 다양한 종류의 고추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홍재전서(弘齋全書)"(1799)에는 정조가 김달순에게 초(椒)의 종류에 대해 물었으며, 김달순은 초의 종류가 매우 많다고 하면서 촉초(蜀椒), 진초(秦椒), 단초(丹椒), 대초(大椒), 호초(胡椒) 같은 것들이 있다고 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촉초, 진초, 단초, 대초, 호초가 이름은 같으면서 약재의 품종과 고추의 품종이 있는 공통점을 발견하여 이를 초(椒)의 특징으로 보았고, 이 초(椒)는 "훈몽자회" 등의 고문헌에서 한글로 '고쵸'로 언해되어있음을 발견하고 '고쵸'로 기록된 초(椒)의 종류를 찾아본 결과 김달순이 말한 촉초, 진초, 단초, 대초, 호초 이외에 고초(苦椒), 번초(蕃椒), 남만초(南蠻椒), 만초(蔓椒)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들은 모두 고쵸로 언해되어있으며, 이 고쵸는 고추를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촉초, 진초, 단초, 대초, 호초, 번초, 남만초, 만초를 모두 고쵸라고 부른 점으로 보아 국내에 이미 고쵸(고추)가 있었고, 외국(촉나라, 진나라, 호나라, 번우, 남만 등)과의 교류를 통하여 다양한 품종의 고추가 국내에 유입되었고, 고쵸의 한자 조어(造語)의 필요성에 따라 苦椒라는 한자가 만들어졌음을 알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이기문, 후추와 고추, 새국어생활, 국립국어연구원, pp.193-201, 1998.
  2. 김종덕, "'고쵸'에 대한 논쟁", 한국농업사학회, 제8권, 제1호, pp.106-125, 2009(6).
  3. 서호수, "해동농서(海東農書)(고전서국역총서 13)", 농촌진흥청, pp.20-121, 2008(1).
  4. 물명고(物名攷), p.28.
  5. 한글학회, 우리말큰사전, 제4권, 1991.
  6. 南廣祐, 敎學古語辭典, 1997.
  7. 허경진, 藫庭金鑢詩選 (한국의 한시 33), 평민사, pp.134-135, 1997,
  8.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주요농산물 수출국(중국) 현지 실태조사를 위한 해외출장 결과 보고서, 2000.11.21.
  9. 조석연, "고구려 호(胡)문화 기원에 관한 고찰", 한국음악연구, 제42권, p.294, 2007.
  10. 권대영, 정경란, 양혜정, 장대자, 고추이야기, 효일, 2011.
  11. 정경란, "호초(胡椒)의 두가지 의미, 고추와 후추",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2호, p.35, 2012,
  12. 식품과학기술대사전, 광일문화사(고춧가루항목), 2008.
  13. 한국18세기학회, 18세기의 맛,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