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Narrative and Music of Changgeuk Madame Ong

창극 <변강쇠 점 찍고 옹녀>의 서사와 음악

  • 신사빈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응용예술학과)
  • Received : 2014.09.11
  • Accepted : 2014.10.24
  • Published : 2014.12.28

Abstract

What is noticeable in Changgeuk Madame Ong is that for "narrativization," a main character is replaced with Madame Ong and her mother and a reinvented story as a result thereof is the female liberation from oppression. The director sought for the completeness of the narrative with a plot line created (i) by daringly deleting the latter half (episode relating to Gangsoe's death), which was a persistent problem unsolved both in the original and its derivative contents, (ii) by diluting Gangsoe's patriarchal authority and thereby creating the ending of endless love and the fruition of love, and (iii) by severing the link between Madame Ong's doomed fate of widowhood and Gangsoe's doomed fate of death by the violation of a taboo (the key factors of the original story) and at the same time, thereby inserting the doomed fate of death by Jowang (god of fire), declaring a war against jangseung (Korean traditional totem pole), the aesthetic structure representing "fictionization," and enabling a female character to gain love, fame and life through free will and spirit of resistance. The director achieved a remarkable success in terms of composition by (i) taping into a variety of genres of music, (ii) by maximizing the effect of Madame Ong's solo, (iii) by strengthening the "uniqueness of each part" through chorus, (iv) by creating a dramatic atmosphere for the change of scene, (v) by applying a dual variation of tension (resistance theme) and relaxation (freedom theme), etc.

창극 <변강쇠 점 찍고 옹녀>는 '서사화'의 중심인물인 옹녀와 옹녀모에 의해 생성된 이야기가 억압받는 성 여성으로부터의 해방이라는 것이 주목을 끈다. 원형 및 파생 콘텐츠에서 풀리지 않던 매듭인 작품 후반부(강쇠의 치상 삽화들)를 삭제하고, 완강한 가부장제의 권위를 희석시켜 불멸의 사랑과 사랑의 결실을 도출하며, 사건의 '핵'인 옹녀의 상부살과 강쇠의 장승동티살의 연결 고리를 끊음과 동시에 사건의 '촉매'인 조왕살을 등장시켜 가부장제의 권위에 도전함으로써 '허구화'의 미적 구조물인 장승과의 전쟁을 구축하고, 여성의 자유 의지와 저항 정신으로 사랑도 명예도 생명도 얻는 플롯 라인을 형성하여 전형 서사로서 완결성을 지니게 되었다. 이 창극의 작창 작곡은 다양한 음악의 자유분방한 활용, 주인공 옹녀의 독창 극대화, 합창에 의한 '부분의 독자성' 강화, 장면전환에서의 극적 분위기 조성, 긴장(저항)과 이완(자유)의 이중 변주 등에서 괄목할 성과를 얻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일송, "'18금 딱지' 붙었지만 음탕하진 않다!", 월간 미르, 제293호, p.21, 2014.
  2. 강진옥, 판소리학회 엮음, "변강쇠가", 판소리의 세계, 문학지성사, p.283, 2001.
  3. 강진옥, 판소리학회 엮음, "변강쇠가", 판소리의 세계, 문학지성사, p.284, 2001.
  4. 김태희, "진화하는 창극 <변강쇠 점 찍고 옹녀>", 연극평론, 제74호, p.53, 2014.
  5. 현경채, "국립창극단의 세 가지 시도 <서편제> <메디아> <내 이름은 오동구>", 연극평론, 제70호, p.45, 2013.
  6. 김학민, 김정호, "뮈르제 소설 <보헤미안의 생활정경>과 푸치니 오페라 <라보엠>의 비교를 통한 오페라 담론의 창작 원리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9호, p.72,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9.072
  7. 김종완, "서사학적 관점으로 분석한 영화<오발탄>의 서사구조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1호, p.111,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11.111
  8. 서재길, "<창극 서편제>와 창극의 새로운 가능성", 공연문화연구, 제28집, p.449, 2014.
  9. 방현석, 이야기를 완성하는 서사패튼 959, 아시아, pp.14-22, 2013.
  10. 김태희, "진화하는 창극 <변강쇠 점 찍고 옹녀>",연극평론, 제74호, p.54, 2014.
  11. Hogan P. Colm, The mind and its story Narrative Universals and Human Emoti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205, 2003.
  12. 방현석, 이야기를 완성하는 서사패튼 959, 아시아, p.22, 2013.
  13. Hogan P. Colm, The mind and its storyNarrative Universals and Human Emotion,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91, 2003.
  14. Hogan P. Colm, The mind and its story Narrative Universals and Human Emotion,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83, 2003.
  15. 김호, "<환타지아>와 <환타지아 2000>에서 나타나는 음악적 요소와 내러티브 상관관계의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9호, p.118,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9.118
  16. 정하영, "<변강쇠가> 성담론의 기능과 의미", 고소설연구, 제19집, p.173, 2005.
  17. Dudley Andrew, Concepts in Film Theory,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pp.98-104, 1984.
  18. 김주연, "사랑 많은 두 남자, 옹녀 명예회복 프로젝트", 월간 미르, 제292호, p.12, 2014.
  19. 허규, 민족극과 전통예술, 문학세계사, p.102, 1991.
  20. 허규, 민족극과 전통예술, 문학세계사, p.101, 1991.
  21. 윤분희, "<변강쇠전>에 나타난 여성인식", 판소리연구, 제9집, p.330, 1998.
  22. 정하영, "<변강쇠가> 성담론의 기능과 의미", 고소설연구, 제19집, p.168, 2005.
  23. 정천구, "<변강쇠가>의 갈등 양상과 의미 재해석", 어문학, 제76집, p.475, 2002.
  24. 정하영, "<변강쇠가> 성담론의 기능과 의미", 고소설연구, 제19집, p.168, 2005.
  25. 조한혜정, 한국문화인류학회 엮음, "여성성과 남성성", 처음 만나는 문화인류학, 일조각, p.76, 2008.
  26. H. Porter Abbout, 우찬제, 이소연, 박상익, 공성수 옮김, 서사학 강의(The Cambride Introduction to Narrative), 문학과 지성사, p.55, 2013.
  27. Roland Barthes, "Introduction to the Structural Analysis of Narratives," Susan Sontag(ed.), A Barthes Reader, New York: Hill and Wang, p.267, 1982.
  28. H. Porter Abbout, 우찬제, 이소연, 박상익, 공성수 옮김, 서사학 강의(The Cambride Introduction to Narrative), 문학과 지성사, pp.35-54, 2013.
  29. 김정은, "'옹녀'의 상부살풀이 과정으로 본 <변강쇠가> 연구", 겨레어문학, 제44집, p.87, 2010.
  30. 강진옥, 판소리학회 엮음, "변강쇠가", 판소리의 세계, 문학지성사, p.292, 2001.
  31. 신경남, "<변강쇠가>의 구조와 애정 양상",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제18집, p.226, 2009.
  32. 방현석, 이야기를 완성하는 서사패튼 959, 아시아, pp.22-23, 2013.
  33. 김은실, 한국문화인류학회 엮음, "몸을 통해 문화를 본다", 처음 만나는 문화인류학, 일조각, p.200, 2008.
  34. 한승석, 국립창극단 엮음, 창극 <변강쇠 점 찍고 옹녀>의 공연 프로그램, p.5, 2014.
  35. 허규, 민족극과 전통예술, 문학세계사, pp.102-104, 1991.
  36. 허규, 국립창극단 엮음, 창극 <가로지기>의 공연대본, pp.24-25, 1979.
  37. 김주연, "사랑 많은 두 남자, 옹녀 명예회복 프로젝트", 월간 미르, 제292호, p.13, 2014.
  38. Alan P. Merriam, 이기우 옮김, 음악인류학(The Anthropology of Music), 한국문화사, p.315, 2001.
  39. 박미경, "세계음악의 이해", 음악과 민족, 제8호, p.46, 1994.
  40. 김희선, "월드뮤직에서 상상된 민족의 정치학", 공연문화연구, 제22집, p.223, 2011.
  41. 한상일, "창극 음악의 활성화", 세계화 시대의 창극, 연극과 인간, pp.198-199, 2002.
  42. 김대행, 우리 시대의 판소리 문화, 역락, pp.66-67, 2011.
  43. 정병헌, 판소리학회 엮음, "판소리의 미학적 성격", 판소리의 세계, 문학지성사, p.63-64, 2001.
  44. 고선웅, 국립창극단 엮음, 창극 <변강쇠 점 찍고 옹녀>의 공연 프로그램, p.4,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