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the Possibility of Generational Conflicts Related to Family Care-giving Functions

가족돌봄기능과 관련된 세대갈등 가능성에 대한 고찰

  • Cha, Sung Lan (Department of Child Education and Counseling, Daejeon Univ.)
  • 차성란 (대전대학교 아동교육상담학과)
  • Received : 2014.01.01
  • Accepted : 2014.11.03
  • Published : 2014.1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generational conflicts around adult children's taking care of elderly parents and grandparents' caring for grand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hild care responsibility of the parents' generation is much more intense than that of the parent care responsibility of the children's generation. Second, the norm of parent care has changed from being the responsibility of the eldest son to being the responsibility of all of the children, which had led to an increased probability of conflicts between the two generations due to the differences in expectation and reward. Third, the bilateralization of the kinship increases the responsibility of women in taking care of their families, which leads to an increase in conflict among women of different generations. Finally, the generational conflicts related to family care appear across different social classes.

Keywords

References

  1. 강유진(2011). 손자녀 돌봄과 조부모의 심리적 복지: 돌봄 상황, 양육지각, 자원의 상호관련성을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34(1), 73-97.
  2. 강유진.한경혜(2002). 한국여성노인의 생애사 분석을 통한 노년기 삶의 이해:인생전환점, 삶의 맥락, 적응전략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7(3), 99-126.
  3. 강희성(2002). 중고령자의 은퇴준비 교육프로그램 욕구에 관한 연구. 한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고보선.허준수(2005). 노인의 학대 대처행동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6(1), 125-141.
  5. 고선주(2012). 저출산 대응 :가족내 자녀양육 지원강화.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8(1), 53-77.
  6. 구자숙.한준.김명인(1999). 세대 격차와 갈등의 사회심리적 구조. 심리과학, 8(1), 123-139.
  7. 권인수(2001). 손자녀를 돌보는 조부모의 부담감과 사회적 지지. 아동간호학회지, 6(2), 212-223.
  8. 권중돈(1994). 한국치매노인 가족의 부양부담 사정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김경미(2011). 노인부양형태에 따른 노인부양의식 차이에 관한 연구. 호서대학교 문화복지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기태.류기형.박병현.박봉길.장창호(2000). 중년기 여성의 노인부양에 관한 조사 연구. 부산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사회복지연구, 10(1), 25-51.
  11. 김미영(2001). 손자녀를 양육하는 조모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취업모를 자녀로 둔 조모를 대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미혜.김혜선(2004). 조손가족 손자녀의 정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조부모 관련 요인. 한국노년학회 추계학술대회, 한국노년학, 96-219.
  13. 김미혜.성기옥.팽경희.최희진.최소영(2011). 손자녀 양육 조부모와 자녀와의 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조부모의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31(4), 905-923.
  14. 김선주(2013). 신혼기 부부교육 프로그램 운영실태에 관한 연구-건강가정지원센터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김송애.조병은(1991). 가족주의 가치관의 노부모 부양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9(2), 303-322.
  16. 김순미.박미려(2008). 중,고령자 가구의 경제적 자원 교류유형 및 교류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5), 1-14.
  17. 김승권.김유경.조애저.김혜련.임성은(2009).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8. 김승용, 정미경(2006). 손자녀 돌봄에 대한 조모 및 취업모의 인식 조사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1(5), 67-96.
  19. 김양이(2004). 노인 부양자의 부양부담감에 관한 연구. 임상사회사업연구, 1(2), 21-35.
  20. 김영란.황정임(2011). 맞벌이 가구 자녀돌봄 지원을 위한 지역사회돌봄네트워크모델 개발-초등자녀를 중심으로. 젠더리뷰, 23, 62-64.
  21. 김윤정.최유호(2007). 성인자녀의 부모부양 동기에 관한 연구: 성별 및 부양자-노부모 관계간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2(3), 313-334.
  22. 김윤주, 방미란(2011). 손자녀를 돌보는 할머니의 경험: 내러티브 탐구. 질적 연구, 12(1), 59-72.
  23. 김은정.정순둘(2011). 손자녀 대리양육 조모의 적응 경험에 관한 연구-취업모 가정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31(3), 177-213.
  24. 김은주.서영희(2007).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 실제에 관한 질적 연구. 아동학회지, 28(2), 175-192.
  25. 김은희(2005). 취업모의 유아기 자녀를 돌보는 조모 역할에 관한 연구. 군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김자원(1993). 재미한국교포자녀의 노약부모를 위한 부양활동. 한국노년학, 13(1), 63-74.
  27. 김정은(2002). 손자녀를 양육하는 빈곤지역 조부모의 심리,정서적 안녕과 영향 미치는 요인.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김종숙(2002). 현대사회의 가족변화와 조부모 역할. 수원대학교 논문집, 20, 1-11.
  29. 김주수(2009). 가족법 반세기의 회고와 과제. 가족법연구, 23(1), 1-26.
  30. 김주희(2009). 결혼초기 여성의 친족관계: 외동딸에 대한 사례연구. 가족과 문화, 21(4), 95-118.
  31. 김태훈(2012). '효' 덕목의 윤리적 의의에 관한 규범적 연구. 도덕윤리과교육, 57, 279-301.
  32. 김활란(2002). 뇌졸중 환자에 대한 보호자 간호 부담감과 관련된 요인. 조선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남궁 명희(2009). 가족돌봄관계 연구경향 분석 및 제언: 기혼 성인자녀와 노부모간 관계를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사회과학연구, 20(3), 49-79.
  34. 모선희.이지영(2002). 노인의 스트레스와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2(1), 65-80.
  35. 박경숙(2003). 세대관계의 다양성과 구조. 한국사회학, 37(2), 61-94.
  36. 박명화 외 14인(2009). 2008년도 노인실태조사. 보건복지가족부.
  37. 박인아.엄기욱(2007). 노부모의 의존성이 성인자녀와 노부모간 갈등에 미치는 영향-아동기 피학대경험과 부모부양의식의 상호작용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29(1), 179-194.
  38. 박재흥(2001). 세대연구의 이론적, 방법론적 쟁점. 한국인구학. 24(2), 47-78.
  39. 박재흥(2008). 세대 계승과 사회문화적 변동. 한국사회학회 심포지움 논문집. 79-98.
  40. 배지희.노상경.권경숙(2008). 조부모의 영유아기 손자녀 양육 현황 및 양육 지원에 대한 요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 379-410.
  41. 백경숙.김영란(2006). 손자녀 양육노인의 심리적 복지감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1(4), 109-128.
  42. 백경흔(2009). 손자녀 돌봄 경험이 여성 건강에 미치는 영향-신체 및 정신 건강을 중심으로. 여성건강, 10(2), 87-109.
  43. 백용운.이태숙(2010). 노인 부양스트레스가 가족관계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5(4), 115-136.
  44. 보건복지부(2011). 2011 노인실태조사. 보건복지부.
  45. 보건복지부(2013). 2012 보육실태조사. 보건복지부.
  46. 보건복지부(2014). 2014년 노인돌봄서비스 사업안내. 보건복지부.
  47. 성미애.옥선화(1997). 효 규범에 대한 사적인 고찰-호혜성 및 공정성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5(3), 245-257.
  48. 손용진(2008). 노부모-자녀간의 사적 경제교류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42, 225-248.
  49. 송다영.김미경(2003). 여성의 취업실태별 노인부양부담과 역할갈등. 한국여성학, 19(2), 145-174.
  50. 송유진(2011). 한국인의 일상생활 시간변화: 부모의 교육수준에 따른 자녀양육 시간. 한국인구학, 34(2), 45-64.
  51. 여성가족부(2005). 2005년 가족실태조사.
  52. 유수정(2004). 뇌졸중 노인을 돌보는 주간호 제공자의 부담감과 예측요인. 노인간호학회지, 6(1), 7-18.
  53. 이상원(2006). 지역사회 돌봄 제공에 대한 인식 제공 방안 연구. 임상사회사업연구, 3(2), 113-129.
  54. 이수연.최인희.김인순(2010). 남녀 노인의 세대갈등 현황과 통합방안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55. 이여봉(2011). 부양지원과 세대갈등: 딸과 친정부모 그리고 며느리와 시부모. 가족과문화, 23(1), 41-76.
  56. 이영숙(2010). 조모의 손자녀 돌봄만족과 관련변인의 영향력에 관한 연구-취업모가정의 동거조모와 비동거조모의 비교. 한국생활과학회지, 19(1), 15-26.
  57. 이영숙(2011). 조모의 손자녀 돌봄 의도에 미치는 돌봄 경험의 영향 : 동거여부에 따른 비교. 한국생활과학회지, 20(1), 91-100.
  58. 이영숙.박화윤(2000). 유아기 손자녀가 기대하는 조부모의 역할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0(3), 211-232.
  59. 이윤경(2010). 노인장기요양보험의 가족요양 급여체계 개선방안. 보건복지포럼. 165, 96-104.
  60. 이은영(2006). 취업모의 대리양육 경험분석 : 조모의 손자녀 양육을 중심으로. 조선대학교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1. 이재경(1999). 여성의 경험을 통해 본 한국가족의 근대적 변형. 한국여성학, 15(2), 55-86.
  62. 이창주(2010). 노인장기요양보험 서비스전달 체계가 부양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성결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3. 이혜자(2005). 치매노인의 주간보호시설 이용에 따른 주부양자의 부양부담 변화.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4. 장경섭(2001). 압축적 근대성과 노인문제의 재인식: 신세대로서 노인. 가족과 문화, 13(1). 1-29.
  65. 장선주.서병숙(1990). 노부모와 기혼자녀간의 생활감정연구. 한국생활과학연구, 9, 135-161.
  66. 장수정(2012). 여성주의 관점에서 본 지역 돌봄 공동체 사례 연구: 마포 두레생협 돌봄두레 '어깨동무'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28(2), 1-31.
  67. 정경희.오영희.석재은.도세록.김찬우.이윤경.김희경(2005). 2004년도 전국 노인실태 및 복지요구 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68. 정미경(2006). 손자녀 돌봄노동에 대한 취업모와 조모의 경제적 지원인식과 향후 출산의사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 265-292.
  69. 정재기(2007). 한국의 가족 및 친족간의 접촉 빈도와 사회적 지원의 양상:국제간 비교의 맥락에서. 한국인구학, 30(3), 157-178.
  70. 조병은(1990). 노부모와 성인자녀간의 결속도와 노부모의 인생만족도. 한국노년학, 10(1), 105-124.
  71. 조성남(2006). 노인부모부양에 관한 기혼자녀 세대의 인식:초점집단토론 자료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29(3), 139-157.
  72. 조성남.박숙미(2002). 한국의 세대관련 연구에 나타난 세대개념의 구분과 세대갈등을 이해하는 방법에 관한 일 고찰. 사회과학 연구논총, 9, 39-68.
  73. 조성남.최유정(2002). 가치관과 행위양식의 세대간 차이 : 가족내 세대문제와 통합. 한국사회학회 특별 심포지엄.
  74. 조윤주.이숙현(2004). 대학생 자녀가 지각한 부모와의 정서적 관계와 부모부양 의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3), 63-74.
  75. 차성란(2010). 가족친화마을만들기를 위한 모델 및 핵심 요소.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2), 63-76.
  76. 최보아(2003). 은퇴자의 생활설계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77. 최샛별.이명진.김재온(2003). 한국의 가족관련 사회정체성 연구: 감정조절이론(ACT)의 수정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37(5), 1-31.
  78. 최성재.장인협(2002). 노인복지학. 서울대학교출판부.
  79. 최인희.김영란.염지혜(2012). 100세 시대대비 여성노인의 가족돌봄과 지원방안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80. 최정혜(1992). 가족주의 가치관과 효 및 부모부양의식의 세대별 비교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7(9), 85-101.
  81. 최해경(2002). 저소득층 조손가정 여성노인의 우울감과 관련 요인 연구. 한국노년학, 22(3), 207-222.
  82. 통계청(2011). (2011년) 사회조사 결과: 복지.사회참여.문화와 여가.소득과 소비.노동. 통계청.
  83. 한경혜.윤성은(2004). 한국 성인 남녀의 부양지원 제공 실태와 특성.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1), 65-72.
  84. 한국사회학회(1990). 한국사회의 세대문제. 나남출판사.
  85. 한국여성정책연구원(2006). 가족내 돌봄노동 실태조사. 2006-2 연구조사보고서.
  86. 허준수.유수현(2002).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 사회사업, 13, 7-35.
  87. 황슬기(2013). 노인부양주체에 관한 의식 변화 연구. 한성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8. Chenoweth, B. & Spencer(1986). Demmentia: the experience of caregivers. The Gerontologist, 26, 267-272. https://doi.org/10.1093/geront/26.3.267
  89. Homans, G. C.(1961). Social behavior: Its elementary forms. New York: Harcourt Brace Jovanovich.
  90. Jendrek, M. P.(1993). Grandparents who parent their grandchildren:effects on lifestyl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5(3), 609-621. https://doi.org/10.2307/353342
  91. Kertzer, D. I.(1983). Generation as a sociological problem. N.Y.: Free Press.
  92. Lee, J. & Bauer, J. W.(2009). Profile of grandmothers providing child care to their grandchildren in South Korea. Journal of Comparative Family Study, 8(2), 455-475.
  93. Litwak, Eugene(1985). Helping the elderly: the complementary roles of informal networks and formal systems. New York : Guilford Press.
  94. Novak, M. & C. Guest(1989). Application of multidimensional caregiver burden inventory. The Gerontologist, 29(6), 171-182.
  95. Rankin, E. D. et al.(1992). Clinical assessment of family caregivers in dementia. The Gerontolo gist, 32.
  96. 문화일보(2007년 5월 9일자). 기혼자녀와 함께 사는 65세 이상 노인 30% 뿐.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070509010306270460040
  97. 보건복지부 홈페이지 http://www.mw.go.kr/
  98. 이투데이(2013년 3월 15일자). "손주 돌보며 돈도 받아요" 서초구 아이돌보미 '눈길'.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704047.
  99. 여성가족부 아이돌봄지원사업 http://idolbom.mogef.go.kr/EgovPageLink.do
  100. 조선닷컴(2013년 3월 20일자). 주민 건의로 '손주 돌보미 수당' 전국 첫 도입해보니.
  101.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3/03/20/2013032000155.html.
  102. 조선비즈(2014년 10월 9일자). 50대 정규직 임금근로자, 20대 첫 추월...'세대간 일자리 갈등'.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4/10/09/2014100901630.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