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유진(2011). 손자녀 돌봄과 조부모의 심리적 복지: 돌봄 상황, 양육지각, 자원의 상호관련성을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34(1), 73-97.
- 강유진.한경혜(2002). 한국여성노인의 생애사 분석을 통한 노년기 삶의 이해:인생전환점, 삶의 맥락, 적응전략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7(3), 99-126.
- 강희성(2002). 중고령자의 은퇴준비 교육프로그램 욕구에 관한 연구. 한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고보선.허준수(2005). 노인의 학대 대처행동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6(1), 125-141.
- 고선주(2012). 저출산 대응 :가족내 자녀양육 지원강화.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8(1), 53-77.
- 구자숙.한준.김명인(1999). 세대 격차와 갈등의 사회심리적 구조. 심리과학, 8(1), 123-139.
- 권인수(2001). 손자녀를 돌보는 조부모의 부담감과 사회적 지지. 아동간호학회지, 6(2), 212-223.
- 권중돈(1994). 한국치매노인 가족의 부양부담 사정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경미(2011). 노인부양형태에 따른 노인부양의식 차이에 관한 연구. 호서대학교 문화복지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기태.류기형.박병현.박봉길.장창호(2000). 중년기 여성의 노인부양에 관한 조사 연구. 부산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사회복지연구, 10(1), 25-51.
- 김미영(2001). 손자녀를 양육하는 조모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취업모를 자녀로 둔 조모를 대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미혜.김혜선(2004). 조손가족 손자녀의 정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조부모 관련 요인. 한국노년학회 추계학술대회, 한국노년학, 96-219.
- 김미혜.성기옥.팽경희.최희진.최소영(2011). 손자녀 양육 조부모와 자녀와의 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조부모의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31(4), 905-923.
- 김선주(2013). 신혼기 부부교육 프로그램 운영실태에 관한 연구-건강가정지원센터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송애.조병은(1991). 가족주의 가치관의 노부모 부양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9(2), 303-322.
- 김순미.박미려(2008). 중,고령자 가구의 경제적 자원 교류유형 및 교류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5), 1-14.
- 김승권.김유경.조애저.김혜련.임성은(2009).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김승용, 정미경(2006). 손자녀 돌봄에 대한 조모 및 취업모의 인식 조사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1(5), 67-96.
- 김양이(2004). 노인 부양자의 부양부담감에 관한 연구. 임상사회사업연구, 1(2), 21-35.
- 김영란.황정임(2011). 맞벌이 가구 자녀돌봄 지원을 위한 지역사회돌봄네트워크모델 개발-초등자녀를 중심으로. 젠더리뷰, 23, 62-64.
- 김윤정.최유호(2007). 성인자녀의 부모부양 동기에 관한 연구: 성별 및 부양자-노부모 관계간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2(3), 313-334.
- 김윤주, 방미란(2011). 손자녀를 돌보는 할머니의 경험: 내러티브 탐구. 질적 연구, 12(1), 59-72.
- 김은정.정순둘(2011). 손자녀 대리양육 조모의 적응 경험에 관한 연구-취업모 가정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31(3), 177-213.
- 김은주.서영희(2007).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 실제에 관한 질적 연구. 아동학회지, 28(2), 175-192.
- 김은희(2005). 취업모의 유아기 자녀를 돌보는 조모 역할에 관한 연구. 군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자원(1993). 재미한국교포자녀의 노약부모를 위한 부양활동. 한국노년학, 13(1), 63-74.
- 김정은(2002). 손자녀를 양육하는 빈곤지역 조부모의 심리,정서적 안녕과 영향 미치는 요인.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종숙(2002). 현대사회의 가족변화와 조부모 역할. 수원대학교 논문집, 20, 1-11.
- 김주수(2009). 가족법 반세기의 회고와 과제. 가족법연구, 23(1), 1-26.
- 김주희(2009). 결혼초기 여성의 친족관계: 외동딸에 대한 사례연구. 가족과 문화, 21(4), 95-118.
- 김태훈(2012). '효' 덕목의 윤리적 의의에 관한 규범적 연구. 도덕윤리과교육, 57, 279-301.
- 김활란(2002). 뇌졸중 환자에 대한 보호자 간호 부담감과 관련된 요인. 조선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남궁 명희(2009). 가족돌봄관계 연구경향 분석 및 제언: 기혼 성인자녀와 노부모간 관계를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사회과학연구, 20(3), 49-79.
- 모선희.이지영(2002). 노인의 스트레스와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2(1), 65-80.
- 박경숙(2003). 세대관계의 다양성과 구조. 한국사회학, 37(2), 61-94.
- 박명화 외 14인(2009). 2008년도 노인실태조사. 보건복지가족부.
- 박인아.엄기욱(2007). 노부모의 의존성이 성인자녀와 노부모간 갈등에 미치는 영향-아동기 피학대경험과 부모부양의식의 상호작용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29(1), 179-194.
- 박재흥(2001). 세대연구의 이론적, 방법론적 쟁점. 한국인구학. 24(2), 47-78.
- 박재흥(2008). 세대 계승과 사회문화적 변동. 한국사회학회 심포지움 논문집. 79-98.
- 배지희.노상경.권경숙(2008). 조부모의 영유아기 손자녀 양육 현황 및 양육 지원에 대한 요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 379-410.
- 백경숙.김영란(2006). 손자녀 양육노인의 심리적 복지감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1(4), 109-128.
- 백경흔(2009). 손자녀 돌봄 경험이 여성 건강에 미치는 영향-신체 및 정신 건강을 중심으로. 여성건강, 10(2), 87-109.
- 백용운.이태숙(2010). 노인 부양스트레스가 가족관계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5(4), 115-136.
- 보건복지부(2011). 2011 노인실태조사. 보건복지부.
- 보건복지부(2013). 2012 보육실태조사. 보건복지부.
- 보건복지부(2014). 2014년 노인돌봄서비스 사업안내. 보건복지부.
- 성미애.옥선화(1997). 효 규범에 대한 사적인 고찰-호혜성 및 공정성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5(3), 245-257.
- 손용진(2008). 노부모-자녀간의 사적 경제교류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42, 225-248.
- 송다영.김미경(2003). 여성의 취업실태별 노인부양부담과 역할갈등. 한국여성학, 19(2), 145-174.
- 송유진(2011). 한국인의 일상생활 시간변화: 부모의 교육수준에 따른 자녀양육 시간. 한국인구학, 34(2), 45-64.
- 여성가족부(2005). 2005년 가족실태조사.
- 유수정(2004). 뇌졸중 노인을 돌보는 주간호 제공자의 부담감과 예측요인. 노인간호학회지, 6(1), 7-18.
- 이상원(2006). 지역사회 돌봄 제공에 대한 인식 제공 방안 연구. 임상사회사업연구, 3(2), 113-129.
- 이수연.최인희.김인순(2010). 남녀 노인의 세대갈등 현황과 통합방안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이여봉(2011). 부양지원과 세대갈등: 딸과 친정부모 그리고 며느리와 시부모. 가족과문화, 23(1), 41-76.
- 이영숙(2010). 조모의 손자녀 돌봄만족과 관련변인의 영향력에 관한 연구-취업모가정의 동거조모와 비동거조모의 비교. 한국생활과학회지, 19(1), 15-26.
- 이영숙(2011). 조모의 손자녀 돌봄 의도에 미치는 돌봄 경험의 영향 : 동거여부에 따른 비교. 한국생활과학회지, 20(1), 91-100.
- 이영숙.박화윤(2000). 유아기 손자녀가 기대하는 조부모의 역할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0(3), 211-232.
- 이윤경(2010). 노인장기요양보험의 가족요양 급여체계 개선방안. 보건복지포럼. 165, 96-104.
- 이은영(2006). 취업모의 대리양육 경험분석 : 조모의 손자녀 양육을 중심으로. 조선대학교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재경(1999). 여성의 경험을 통해 본 한국가족의 근대적 변형. 한국여성학, 15(2), 55-86.
- 이창주(2010). 노인장기요양보험 서비스전달 체계가 부양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성결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혜자(2005). 치매노인의 주간보호시설 이용에 따른 주부양자의 부양부담 변화.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장경섭(2001). 압축적 근대성과 노인문제의 재인식: 신세대로서 노인. 가족과 문화, 13(1). 1-29.
- 장선주.서병숙(1990). 노부모와 기혼자녀간의 생활감정연구. 한국생활과학연구, 9, 135-161.
- 장수정(2012). 여성주의 관점에서 본 지역 돌봄 공동체 사례 연구: 마포 두레생협 돌봄두레 '어깨동무'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28(2), 1-31.
- 정경희.오영희.석재은.도세록.김찬우.이윤경.김희경(2005). 2004년도 전국 노인실태 및 복지요구 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정미경(2006). 손자녀 돌봄노동에 대한 취업모와 조모의 경제적 지원인식과 향후 출산의사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 265-292.
- 정재기(2007). 한국의 가족 및 친족간의 접촉 빈도와 사회적 지원의 양상:국제간 비교의 맥락에서. 한국인구학, 30(3), 157-178.
- 조병은(1990). 노부모와 성인자녀간의 결속도와 노부모의 인생만족도. 한국노년학, 10(1), 105-124.
- 조성남(2006). 노인부모부양에 관한 기혼자녀 세대의 인식:초점집단토론 자료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29(3), 139-157.
- 조성남.박숙미(2002). 한국의 세대관련 연구에 나타난 세대개념의 구분과 세대갈등을 이해하는 방법에 관한 일 고찰. 사회과학 연구논총, 9, 39-68.
- 조성남.최유정(2002). 가치관과 행위양식의 세대간 차이 : 가족내 세대문제와 통합. 한국사회학회 특별 심포지엄.
- 조윤주.이숙현(2004). 대학생 자녀가 지각한 부모와의 정서적 관계와 부모부양 의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3), 63-74.
- 차성란(2010). 가족친화마을만들기를 위한 모델 및 핵심 요소.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2), 63-76.
- 최보아(2003). 은퇴자의 생활설계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 최샛별.이명진.김재온(2003). 한국의 가족관련 사회정체성 연구: 감정조절이론(ACT)의 수정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37(5), 1-31.
- 최성재.장인협(2002). 노인복지학. 서울대학교출판부.
- 최인희.김영란.염지혜(2012). 100세 시대대비 여성노인의 가족돌봄과 지원방안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최정혜(1992). 가족주의 가치관과 효 및 부모부양의식의 세대별 비교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7(9), 85-101.
- 최해경(2002). 저소득층 조손가정 여성노인의 우울감과 관련 요인 연구. 한국노년학, 22(3), 207-222.
- 통계청(2011). (2011년) 사회조사 결과: 복지.사회참여.문화와 여가.소득과 소비.노동. 통계청.
- 한경혜.윤성은(2004). 한국 성인 남녀의 부양지원 제공 실태와 특성.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1), 65-72.
- 한국사회학회(1990). 한국사회의 세대문제. 나남출판사.
- 한국여성정책연구원(2006). 가족내 돌봄노동 실태조사. 2006-2 연구조사보고서.
- 허준수.유수현(2002).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 사회사업, 13, 7-35.
- 황슬기(2013). 노인부양주체에 관한 의식 변화 연구. 한성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Chenoweth, B. & Spencer(1986). Demmentia: the experience of caregivers. The Gerontologist, 26, 267-272. https://doi.org/10.1093/geront/26.3.267
- Homans, G. C.(1961). Social behavior: Its elementary forms. New York: Harcourt Brace Jovanovich.
- Jendrek, M. P.(1993). Grandparents who parent their grandchildren:effects on lifestyl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5(3), 609-621. https://doi.org/10.2307/353342
- Kertzer, D. I.(1983). Generation as a sociological problem. N.Y.: Free Press.
- Lee, J. & Bauer, J. W.(2009). Profile of grandmothers providing child care to their grandchildren in South Korea. Journal of Comparative Family Study, 8(2), 455-475.
- Litwak, Eugene(1985). Helping the elderly: the complementary roles of informal networks and formal systems. New York : Guilford Press.
- Novak, M. & C. Guest(1989). Application of multidimensional caregiver burden inventory. The Gerontologist, 29(6), 171-182.
- Rankin, E. D. et al.(1992). Clinical assessment of family caregivers in dementia. The Gerontolo gist, 32.
- 문화일보(2007년 5월 9일자). 기혼자녀와 함께 사는 65세 이상 노인 30% 뿐.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070509010306270460040
- 보건복지부 홈페이지 http://www.mw.go.kr/
- 이투데이(2013년 3월 15일자). "손주 돌보며 돈도 받아요" 서초구 아이돌보미 '눈길'.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704047.
- 여성가족부 아이돌봄지원사업 http://idolbom.mogef.go.kr/EgovPageLink.do
- 조선닷컴(2013년 3월 20일자). 주민 건의로 '손주 돌보미 수당' 전국 첫 도입해보니.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3/03/20/2013032000155.html.
- 조선비즈(2014년 10월 9일자). 50대 정규직 임금근로자, 20대 첫 추월...'세대간 일자리 갈등'.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4/10/09/2014100901630.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