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Symbol Making for Mapping Landform of Elements

지형요소 지도화를 위한 기호제작에 관한 연구

  • Kim, Nam Shin (Ecological Assesment and Research Unit,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
  • Cho, Yong Chan (Plant Conservation Division, Korea National Arboretum) ;
  • Oh, Seung Hwan (Plant Conservation Division, Korea National Arboretum) ;
  • Kwon, Hye Jin (Plant Conservation Division, Korea National Arboretum)
  • 김남신 (국립생태원 생태평가연구부) ;
  • 조용찬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 오승환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 권혜진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Received : 2014.07.26
  • Accepted : 2014.08.20
  • Published : 2014.08.31

Abstract

There is limitation to represent forms and internal process of topography if using simple symbols for geomorphic landscape in the cartography. One of the alternative method to find a solution to these problems is to use association symbol to imagine real landscapes through map reading. This study suggested making method of association symbols to describe geomorphic landscapes effectively. Landforms are not static objects but dynamic pedogenesis and morphogenesis one. It should be consider form, process, and material to make landform mapping, and also, make landform symbols by considering scalable changeability for point-polygon, line-polygon, point-line by scale. As a results, this study expected to help applications for geomorphology as well as environments, ecology, archaeology, and civil engineering etc.

지형경관을 단순한 기호로 사용하여 지도화하면 지형의 형태와 내재된 형성과정에 대한 표현에 한계가 있다. 지형경관 지도화에 대한 문제해결을 위한 대안 중에 하나가 지도를 통해 실제 경관을 상상할 수 있도록 연상기호를 제작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는 지형경관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지형 연상기호 제작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지형은 정태적인 경관이 아니고 토양형성 작용과 지형형성 작용으로 변화하는 대상이다. 지형을 지도화하기 위해 형태, 변화, 그리고 물질이 표현될 수 있도록 기호가 설계가 되어야 하며, 축척에 따라 점/면, 선/면, 점/선의 축척 가변성을 고려하여 지형기호를 제작해야 한다. 본 연구는 지형학적 연구뿐만 아니라 환경, 생태학, 고고학, 토목 분야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