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 가축 생산성 변화 분석

  • Published : 2013.03.01

Abstract

Keywords

10년간 가축 생산성 어떻게 변했나

- 한국가축사양표준 활용으로 선진축산, 수출축산 초석 다져 -

농촌진흥청(청장 박현출)은 지난 10년간(2000∼2010) 우리나라 가축의 체중과 산란능력 등이 선진국 수준으로 빠르게 향상됐다고 밝혔다. 육계의 6주째 체중은 2.3kg에서 2.6kg으로 13%, 산란계의 산란율은 82%에서 89%로 7% 향상됐다(국내 산란계 산란율 : 64.5%(’70)→73.9%(’80)→77.3(’90)). 지난 10년간 가축 생산성이 이렇게 향상된 것은 체계적인 가축개량과 과학적 사양관리에 따른 것으로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은 다변화하고 있는 축산물의 맛과 품질에 대한 소비자 요구를 충족시키고 시대별 가축이 필요로 하는 영양소 요구량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들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가축 사료급여 관리 기술의 선진화 척도는 가축이 하루에 필요로 하는 각 영양소의 양을 제시하는 국가 사양표준의 보유 유무와 그 정확도로 평가하고 있는데 미국 등 선진축산국은 40∼60년대부터 사양표준을 제정해 이용하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2002년 한우, 젖소, 돼지, 가금사양표준을 제정했으며, 2007년과 2012년 2차 개정을 통해 가축의 영양소요구량 정확도를 높였다. 축산농가에서 가축사양표준의 영양소 요구량에 기초해 사료급여량을 결정하면 과거처럼 생산 안전성을 염려하여 10%를 추가 급여했던 사료량을 줄일 수 있어 연간 약 8,500억 원의 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사료 10% 절약시 사료비 절감 추정액(국내 사료 생산량 기준 산출): 산란계 890억, 육계 1,180억). 또한 환경규제 관련 국제기구가 분뇨 및 메탄과 같은 배출량 산출을 위해 요구하는 가축의 영양소 섭취량 국가 통계 자료로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장원경 원장은 “지난 10년간 농업 중 축산업 비중이 24%에서 40%로 상승한 것은 체계적인 가축 개량노력과 과학적인 가축의 영양관리 기술 개발이 크게 기여한 결과”라며, “앞으로 꾸준한 연구를 통해 소비자가 원하는 축산물 생산과 친환경 축산 경영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