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Yi Mae-Bang's Salpurichum Costume

이매방 살풀이춤[중요무형문화재 제 97호] 복식 연구

  • 정예희 (난사전통복식문화재연구소)
  • Received : 2013.05.13
  • Accepted : 2013.09.25
  • Published : 2013.11.30

Abstract

It goes without saying that Yi Mae-Bang, as the sole owner of two of the intangible cultural assets including No. 27 Seungmu in 1987 and No. 97 Salpuri Chum, is a top-notch Korean traditional dancer. Moreover, in regards to traditional clothing, he is also known as the only traditional dancer who directly performs on stage as well as analyzes traditional clothing in order to apply them into his own dance performances by designing and producing them to meet his artistic spirit. In order to examine how Yi Mae-Bang's unique and creative stage clothing was developed, and what kind of process it went through to possess its unique style, which draws the attentions of people with its harmony of beauty and dance, this research first examined the change of the composition through the yearly picture data. Before 1984, the composition of the Salpuri Chum clothes changed by putting on 'Jeogori' on the 'Mudong-Bok' without the 'Kweia' (sleeveless), and in 1999 'Mudong-Bok' became widened with the decoration of embroidered hem making it more attractively colorful. after 2000 it became more splendidly adorned by embroidering hem on widened Mudong-Bok and tucking 'Kweja' in the layers which created silhouette like a dress that is seemingly wider and luxuriant than a skirt. One of notable features of Yi Mae-Bang's Salpuri is that its cloth and cuff ribbons are lightly colored in different colors enclosing the tip part. As for the ribbons, it was also changed as time went by from direct-cutting of the cloth just like the A-line of Mudong-Bok to drawing a diagonal line less than 5cm above the ribbon and 8cm below the ribbon so that it takes the form of getting widened as it gets to the lower part, and its length was also elongated in proportion to that of the bottom of Mudong-Bok.

Keywords

References

  1. 김경희, 이순홍 (1999), 무용 예술 의상에 관한 연구, 무용, 47, p. 126.
  2. 김지원 (2008), 이매방류 민속춤에 표현된 복식의 조형성,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송수남 (1989), 한국무용사, 서울: 금광, p. 291.
  4. 국립문화재연구소 (1998), 중요무형문화재 제97호 살풀이춤, 서울: 신유문화사, pp. 46-47.
  5. 김영희 (2006), 2005년도 한국 근현대예술사 구술채록연구 시리즈67 이매방, 서울: 한국문화예술위원회, pp. 235-236.
  6. 김문애 (1996), 3인의 살풀이춤 탐구, 서울: 홍경, p. 23.
  7. 이미영 (2007), 한국 춤 연구, 서울: 민속원, p. 226.
  8. 김영희 (2006), 2005년도 한국 근현대예술사 구술채록연구 시리즈67 이매방, 서울: 한국문화예술위원회, pp. 142-143.
  9. 김영희 (2006), 2005년도 한국 근현대예술사 구술채록연구 시리즈67 이매방, 서울: 한국문화예술위원회, p. 263.
  10. 정승희 (2007), 한성준 - 한영숙류 전통춤: 살풀이춤, 서울: 민속원, 부록.
  11. 양길순 (2006), 구술로 본 김숙자 연구,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2.
  12. 곽은경 (2004), 김숙자 도살풀이춤의 무대화 전이과정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3. 오혜경 (2006), 조선시대 무동복식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8.
  14.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편(2005), 명선 하, p. 124.
  15.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편(2005), 명선 하, p. 121.
  16. 경기도박물관 편 (2007), 김확 합장묘 출토복식, p. 17.
  17. 김영희 (2006), 2005년도 한국 근현대예술사 구술채록연구 시리즈67 이매방, 서울: 한국문화예술위원회, p. 143.
  18. 금기숙 (1994), 조선복식미술, 서울: 열화당, p. 60.
  19. 조효순 (1989), 한국복식풍속사 연구, 서울: 일지사, pp. 349-350.
  20. "조선왕조실록: 영조 39년 3월 8일" 자료검색일: 2012년 12월 5일, http://sillok.history.go.kr/inspection/inspection.jsp?mTree=0&id=kua
  21. "조선왕조실록: 영조 43년 6월 27일" 자료검색일: 2012년 12월 5일, http://sillok.history.go.kr/inspection/inspection.jsp?mTree=0&id=kua
  22. 박경자 (1983), 한국복식논고, 서울: 신구문화사, p. 164.
  23. 박성실 (1996), 조선조 치마 재고-16세기 출토 복식을 중심으로, 복식, 30, p. 295.
  24. 박성실 (2006), 출토복식을 통해보는 조선시대 여성복식의 시대별 특징, 한국의 복식 문화사, 서울: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p. 139.
  25. 고부자, 우리나라 혼례복의 민속학적 연구 남한을 중심으로. 한국복식, 7, p. 102.
  26. 박경자 (1983), 한국복식논고, 서울: 신구문화사, p. 151.
  27. 국립민속박물관 (2009), 엽서속의 기생읽기, p. 151.
  28. 국립민속박물관 (2009), 엽서속의 기생읽기, p. 149.
  29. 권혁희 (2005), 조선에서 온 사진엽서. 서울: 민음사, p. 245.
  30. 박수영 (1995), 한영숙류 살풀이춤과 이매방류 살풀이춤의 비교 연구, 조선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05), 명선 하, p. 40.
  32.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05), 명선 하, p. 41.
  33. 홍나영 (2006), 조선시대 복식에 나타난 여성성,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제13집, p. 87.
  34. 장인숙 (1994), 무용의상의 역사적 변천과 특이성에 관한 연구 : 한국 무용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5.
  35. 이은영 (1986), 복식 의장학, 서울: 교문각, p. 162.
  36. 단국대 석주선기념박물관 (2006), 다시 태어난 우리옷 환생, p. 13.
  37. 박경자 (1983), 한국복식논고, 서울: 신구문화사, pp. 37-38.
  38. 금기숙 (1994), 조선복식미술, 서울: 열화당, p. 1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