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other's Personal Variables in Multicultural Family on Home Environment

다문화가족 자녀 어머니의 개인변인에 따른 가정환경

  • Received : 2013.08.01
  • Accepted : 2013.10.17
  • Published : 2013.1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language receptiv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multicultural families in according to living areas. The subjects were 132 mother with children for living multicultural families 3 to 6 years ol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s of home environment on nationality, all variables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emotional atmosphere, experience's variety, and play data in statistically. Second, the differences of home environment on age all variables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permission, independent's upbringing emotional atmosphere, experience's variety and physical environment in statistically. Third, the differences of home environment on educational background, all variables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predictable environments, developmental stimulation, quality of language environments, permission, independent's upbringing emotional atmosphere, experience's variety, physical environment and play data in statistically. Fourth, the differences of home environment on communication method in home, all variables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atistically as communication(general korean) they use in home. Fifth, the differences of home environment on occupation existence, all variables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atistically.

본 연구는 만 3세에서 6세 다문화가족 자녀 어머니의 개인변인에 따라 가정에서 자녀에게 제시하는 가정환경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국적에 따른 가정환경의 차이를 살펴보면 정서적 분위기, 경험의 다양성, 놀이 자료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령에 따른 가정환경의 차이에서는 허용성, 독립성의 육성, 정서적 분위기, 경험의 다양성, 물리적 환경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력에 따른 가정환경의 차이에서는 안정된 환경, 발달을 돕는 자극, 언어적 환경의 질, 독립성의 육성, 정서적 분위기, 경험의 다양성, 물리적 환경, 놀이 자료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정 내 의사소통방법에 따른 가정환경의 차이에서는 모든 변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직업유무에 따른 가정환경의 차이에서는 모든 변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령, "다문화 가족 아동의 한국어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한국어 교육, 제23권, 제2호, pp.1-37, 2012.
  2. 김미옥, "한국어 학습자의 단계별 언어권별 어휘 오류의 통계적 분석", 한국어교육, 제14호, 제3권, pp.26-43, 2003.
  3. 김영옥, 임진숙, 정상녀,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개인변인에 따른 양육태도 비교", 열린유아교육 연구, 제13권, 제3호, pp.143-164, 2009.
  4. 김혜경, 조성연, "가족형태에 따른 가정환경 (HOME)과 유아의 사회.정서적발달", 한국가족 복지학, 제7권, 제2호, pp.3-16, 2002.
  5. 노미향, 결혼이민자가정의 자녀양육에 관한연구,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6. 박현선, "다문화 가정의 이중언어; 이중문화적양육 환경이 자녀 발달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 양육 참여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제 43권, 제1호, pp.365-388, 2012.
  7. 보건복지부, "국제결혼 이주 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복지 지원 정책 방안", 2005.
  8. 보건복지부, "여성결혼이민자 가족 사회통합 지원대책 : 보건복지부 주관 과제별 추진실적 및 계획", 국정감사요구자료, 2006 .
  9. 보건복지부, "다문화가족 생애주기별 맞춤형 지원 강화대책", 브리핑 자료, 2008.
  10. 서현, 이승은, "농촌지역의 국제결혼 가정자녀가 경험하는 어려움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4호, pp.25-47, 2007.
  11. 설동훈, "이주노동자의 사회통합: 다문화주의 모형의 적용 가능성 탐색",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비판 사회학대회, 2005.
  12. 안은미, 농어촌 국제결혼가정 자녀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13. 오성배, 코시안 아동의 성장과 환경에 관한 사례 연구, 서울 : 한국교육개발원, 2005.
  14. 오성배, "국제결혼가정의 교육환경과 문제, 교육 비평", 제22권, pp.86-213, 2007.
  15. 오성숙, "다문화가정 어머니 개인변인과 가정환경자극이 유아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제12권, 제2호, pp.522-531, 2013.
  16. 이경희, 아동발달과 부모교육, 서울: 교문사, 2000.
  17. 이은해, 장영애, "가정환경자극검사(HOME)의 타당화 연구", 교육학연구, 제10권, 제1호, pp.49-63, 1982.
  18. 장영애, "가정환경자극, 사회인구론적 변인과 아동의 언어능력간의 인과모형분석", 대한가정학회지, 제33권, 제4호, pp.173-188, 1995.
  19. 정은희, "농촌 지역 국제 결혼 가정 아동의 언어 발달과 언어환경", 언어치료연구, 제13권, 제3호, pp.33-52, 2004.
  20. 정현경,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아시아 여성과 한국남성의 이중문화 가정자녀를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논문, 2006.
  21. 정환순, "지각된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정서지능과의 관계 연구", 인간교육연구, 제8권, 제2 호, pp.31-76, 2001.
  22. 조영달, "다문화가정 교육 지원을 위한 자fy 개발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연구 용역 과제 최종보고서, 정책연구과제 2006-이슈-3, 2006.
  23. 중앙건강지원센터, 2008년 결혼이민자가족 다문화가족 방문교육사업 운영매뉴얼, 2009.
  24. 홍달아기, 채옥희, "사례로 본 여성결혼이민자의 가정생활 실태와 갈등", 한국재활과학회지, 제15권, 제5호, pp.729-741, 2006
  25. B. A. Bernstein, Social class and linguistic development: a theory of social learning. In A. H. Halsey, J. Floud, & C. A. Anderson (Eds.), Education, economy and society, New York: The Free Press, 1961.
  26. B. Hart and T. R. Risley, American parenting of language-learning children : parsisting differences in family-child interactions observed in natural home environments. Developmental Psycholog,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