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ir quality modeling guideline for national air policy development and evaluation - Part I General information -

국가 대기정책수립 및 평가를 위한 대기질 모델링 가이드라인 - Part I 일반 사항 -

  • Lee, Dae-Gyun (Atmospheric Engineering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 Lee, Yong-Mi (Atmospheric Engineering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 Lee, Mi-Hyang (Atmospheric Engineering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 Hong, Sung-Chul (Climate Change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 Hong, Ji-Hyung (Atmospheric Engineering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이대균 (국립환경과학원 대기공학연구과) ;
  • 이용미 (국립환경과학원 대기공학연구과) ;
  • 이미향 (국립환경과학원 대기공학연구과) ;
  • 홍성철 (국립환경과학원 기후변화연구과) ;
  • 홍지형 (국립환경과학원 대기공학연구과)
  • Received : 2013.08.20
  • Accepted : 2013.09.13
  • Published : 2013.10.31

Abstract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SMA) photochemical air pollutants, nitrogenic compound and particulate matters have increased substantially due to mobile sources, power plants and so on. Therefore 'Special Act on Seoul Metropolitan Air Quality Improvement' was enacted on 2003 in order to improve air quality in the SMA. According to the Special Act,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have developed the state implementation plan(SIP) to reduce air pollutant emissions from various local sources. One of the key elements of the SIP development is the air quality modeling since modeling results can be used to establish emissions control strategies as well as to demonstrate attainment of air quality goals for ozone, particulate matter, and so on. Air quality modeling, therefore, can be usefully utiliz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overnment's efforts according to control strategies or measures. Using the air quality model, we can determine whether the implementation plan should be revised or not. A number of questions, however, has been raised concerning accuracy, consistency and transparency of modeling results because if we do not trust modeling results, all the measures dependent on modeling becomes in vain. So, without dealing with these questions, we can not guarantee the reliability and utilizability of air quality modeling results. In this study, we tried to establish standard methodology for air quality modeling in order to ensure consistency and transparency of modeling results used in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national air policy. For this purpose, we established air quality modeling guideline to provide or recommend modeling procedures, vertical and horizontal domains, input data of meteorological and air quality modeling and so on.

Keywords

References

  1. 국립환경과학원, 2010, 대기질 모델링 가이드라인(안) 마련 연구.
  2. 국립환경과학원, 2012, 대기질모델링 정보자료 제공을 위한 자료공개 시스템 구축2.
  3. 강윤희, 김유근, 오인보, 황미경, 강재은, 2008, 상세 토지피복도 입력에 따른 수도권 대기질 모델링 개선, 한국대기환경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557-558.
  4. 김순태, 2011, 2007년 6월 수도권 오존모사 V - 배출량 변화에 따른 오존농도 예측 시 민감도 기법 적용,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7(6), 772-790.
  5. 김순태.이종범, 2011, 대기질 모사를 통한 인접지역 배출량이 광양만 오존농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2010년 6월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7(5), 504-522.
  6. 김운수, 2002, 수도권 대기오염의 공간분포 특성을 고려한 지속가능한 개발방향과 과제, 경기논단, 70-73.
  7. 김희강, 강충민, 조기철, 최민규, 이종억, 지동영, 이혁수, 이향림, 동종인, 박세옥, 서성석, 박창규, 남은실, 선우영, 박영재, 김광진, 여현구, 1999, 도시지역 광화학반응과 2차오염 물질 생성에 관한 연구, 국립환경과학원.
  8. 문난경, 김순태, 서지현, 2011, PBL Scheme에 대한 WRF-CMAQ 민감도 분석,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7(6), 791-804.
  9. 문윤섭.구윤서, 2006, 수도권지역에서 수치 토지 피복지도 작성을 통한 대기환경부문 활용사례 연구 - MM5내 기온 및 바람장의 민감도 분석과 식생분포에 기인한 VOC 배출량 및 CO2 플럭스의 실시간 산정을 중심으로-,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2(5), 661-678.
  10. 배창한, 김순태, 우정헌, 김철희, 장임석, 김종춘, 2012, 동북아시아 배출량 목록 불확실성에 따른 오존 민감도 변화 고찰, 한국대기환경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117.
  11. 유 철, 이대균, 이용미, 이미향, 홍지형, 이석조, 2011, 수도권 지역의 대기환경관리 시행계획 추진 결과 평가를 위한 대기질 모델링 적용 방법, 한국환경과학회지, 20(12), 1647-1661.
  12. 이용미, 이현주, 유 철, 송정희, 김지영, 홍지형, 2009, 수도권 지역에서 대기질 측정망 자료를 이용한 광화학 모델의 이동오염원 배출량 검증,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5(5), 369-381.
  13. 이종범, 이미혜, 조석연, 손장호, 이강웅, 김유근, 오인보, 이화운, 전의찬, 구윤서, 조용성, 최기주, 문태훈, 노기환, 문윤섭, 2005, 대도시 대기질 관리방안 조사연구(광화학 대기 오염 생성과정 규명과 저감대책 수립), 국립환경과학원.
  14. 이종범, 김재철, 천태훈, 2009, 위성자료를 이용한 MM5 4차원자료동화가 광화학모델의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 고찰,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5(4), 264-274. https://doi.org/10.5572/KOSAE.2009.25.4.264
  15. 이종범, 김재철, 장윤정, 2012, 관측과 기상모델을 이용한 추천지역의 도시열섬현상 연구,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8(2), 119-130.
  16. 이화운, 최현정, 이강열, 2005, 상세한 하부 경계 조건과 관측값 객관분석이 복잡지형의 대기 흐름장 수치모의에 미치는 효과, 한국기상학회지, 41(1), 73-87.
  17. 정주희, 김유근, 문윤섭, 황미경, 2007, 수도권지역 대기질 예측을 위한 기상장 모델의 바람장과 온도장 비교 연구,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3(6), 640-652. https://doi.org/10.5572/KOSAE.2007.23.6.640
  18. 홍성철, 이재범, 최진영, 문경정, 이현주, 홍유덕, 이석조, 송창근, 2012, 동아시아지역의 CMAQ 대류권 오존 모의에 화학적 측면 경계조건이 미치는 효과,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8(5), 581-594. https://doi.org/10.5572/KOSAE.2012.28.5.581
  19. 홍유덕, 한진석, 공부주, 이상욱, 신선아, 김영미, 이석조, 2003, 고농도 오존발생과 광화학오염 현상 규명을 위한 연구(III), 국립환경과학원.
  20. 홍지형, 이상보, 이대균, 유 철, 이용미, 이미향, 2011, 국가 대기정책 수립 및 평가를 위한 대기질 모델링 가이드라인, 국립환경과학원.
  21. 황미경, 오인보, 김유근, 2011, 도시형 중규모 기상 모델을 이용한 연안도시 해풍전선 발달 분석,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7(4), 416-425.
  22. 환경부, 2010, 수도권 대기환경개선에 관한 특별법, 1-4.
  23. Byun, D. W., Kim, S. T. and Kim, S. B., 2007, Evaluation of CMAQ Results for the Simulation of a High Ozone Episode in the Houston-Galveston-Brazoria Metropolitan Airshed, Atmospheric Environmental, 41, 837-853. https://doi.org/10.1016/j.atmosenv.2006.08.038
  24. Dolwick, P. D., 2002, USEPA/OAQPS Meteorological Modeling Analyses, the 2002 Ad Hoc Meteorological Modeling Meeting.
  25. ENVIRON International Corporation, 2004, Annual PM Modeling and Analysis of Episode Aggregation Uncertainties for Annual Average PM2.5 and Visibility Modeling, ENVIRON.
  26. ENVIRON International Corporation, 2006, CAMx User's Guide version 4.40.
  27. Grell, G., Dudhia, J. and Stauffer, D., 1994, A description of the Fifth-Generation Penn State/NCAR Mesoscale Model(MM5), NCAR Technical Note, NCAR/TN.
  28. Hogrefe, C., Rao, S. T., Zurbenko, I. G. and Porter, P. S., 2000, Interpreting the information in time series of ozone observations and model predictions relevant to regulatory policies in the eastern United States, Bull. Amer. Met. Soc., 81, 2083-2106. https://doi.org/10.1175/1520-0477(2000)081<2083:ITIIOO>2.3.CO;2
  29. Pielke, R. A., Cotton, W. R., Walko, R. L., Tremback, C. J., Lyons, W. A., Grasso, L. D., Nicholls, M. E., Moran M. D. , Wesley, D. A., Lee, T. J. and Copeland, J. H., 1992, A Comprehensive Meteorological Modeling System RAMS, Department of Atmospheric Science, Colorado State University.
  30. Skamrock, W. C., Klemp, J. B., Dudhia, J., Gill, D. O. and Barker D. M., Wang, W. and Powers, J. G., 2005, A description of the Advanced Research WRF version 2., NCAR.
  31. System Application International, 1996, User's Guide to the Variable-Grid Urban Airshed Model(UAM-V), SYSAPP-95/027, San Rafael.
  32.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07, Guidance on the Use of Models and Other Analyses for Demonstrating Attainment of Air Quality Goals for Ozone, PM2.5, and Regional Haze, 1-253.
  33.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1998, Models-3 volume 9b: User Manual, Draft EPA report,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34. 기상청, http://web.kma.go.kr/aboutkma/biz/forecast04.jsp

Cited by

  1.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Air Quality Model to Establish Efficient Air Policies: Focusing on the Improvement Effect of PM2.5 in Chungcheongnam-do due to Coal-fired Power Plants Shutdown vol.34, pp.5, 2018, https://doi.org/10.5572/KOSAE.2018.34.5.6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