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Halophytes and Vegetation of Seocheon Tidal Flat Wetland Conservation Area

서천갯벌 습지보호지역의 염생식물상과 식생

  • Oh, Hyun-Kyung (Ecological Institute of Korean Peninsula) ;
  • Kim, Se-Chon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You, Ju-Han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Dongguk University-Gyeongju)
  • 오현경 (한반도생태연구소) ;
  • 김세천 (전북대학교 조경학과) ;
  • 유주한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조경학과)
  • Received : 2013.08.20
  • Accepted : 2013.09.09
  • Published : 2013.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raw data for management and conservation of tidal flat by objective surveying and analysing the halophytes and vegetation distributed in Seocheon tidal flat wetland conservation area, Ko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numbers of halophytes in this site were summarized as 27 taxa including 13 families, 21 genera, 26 species and 1 variety. In the results of ecologically important species, rare plant was 1 taxa, 10 taxa of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1 taxa of naturalized plant and 1 taxa of the plant with approval for delivering oversea. The life form spectrum consisted of therophytes(44.4%), hemicryptophytes(25.9%), geophytes(14.8%), nanophanerophytes(7.5%), chamaephytes and hydatophytes(each 3.7%). The types of vegetation of Seocheon tidal flat wetland conservation area were classified with 17 communities including Vitex rotundifolia community, Suaeda maritima community, Calystegia soldanella community and so forth. In the halophytes composition, section C and E-1 had the largest character species and companion species. In the results of vegetation amount, section C, D, E-1 and E-2 were the highest score, on the other hand, section A and B were the lowest. The final rating was calculated by adding up values of two factors, and section C and E-1 had the highest rating of II. In future, we will survey the whole flora in Seocheon tidal flat, we will offer the help to establishing the conservation plan of coastal plant ecosystem in West Sea.

Keywords

References

  1. 국립수목원, 2009, 한국 희귀식물 목록집, 산림청 국립수목원.
  2. 국립수목원, 한국식물분류학회, 2007, 국가표준식물목록, 국립수목원, 한국식물분류학회.
  3. 국립환경과학원, 2007,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지침, 국립환경과학원.
  4. 국토해양부, 2009, 서천갯벌 습지보전계획 수립 연구, 국토해양부.
  5. 군산지방해양항만청, 2009, 해양보호구역 시민모니터링 용역, 군산지방해양항만청.
  6. 기상청, 2012, 기상연보, 기상청.
  7. 김종구, 유선재, 2000, 갯벌의 수직적 환경 특성, 한국환경과학회지, 9(2), 125-129.
  8. 김창환, 명현, 2008, 주암호 복내천 인공습지 조성 후 4년간의 식물상 변화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1(5), 25-37.
  9. 김창환, 이경보, 김재덕, 조태동, 김문숙, 2005, 전북 동진강 하구역 일대의 염습지 식물상 및 식생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14(9), 817-825. https://doi.org/10.5322/JES.2005.14.9.817
  10. 김창환, 이경보, 조두성, 명현, 2006a, 전북 만경강하구역 일대의 염습지 식물상 및 식생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3), 289-298.
  11. 김창환, 조두성, 이경보, 최송열, 2006b, 만경강 하구역에 분포하는 염생식물의 개체군 형성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3), 299-310.
  12. 김철수, 임병선, 1988, 한국 서남해안 간석지 식생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11(4), 175-192.
  13. 김철환, 2000, 자연환경 평가- I. 식물군의 선정-, 환경생물, 18(1), 163-198.
  14. 김하송, 이점숙, 2009, 한국 서.남해안 염습지 복원을 위한 자원식물 분포 특성, 한국도서연구, 21(1), 79-91.
  15. 김하송, 임병선, 이점숙, 박송희, 2003, 가사도 폐염전의 식생 현황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7(2), 123-132.
  16. 김하송, 정준희, 2010, 순천만 염생식물 서식지의 토양환경 특성, 한국도서연구, 22(2), 131-141.
  17. 농촌진흥청, 2010, 한국의 간척지 염생식물,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18. 대산지방해양항만청, 2010, 해양보호구역 시민모니터링 용역보고서(서천 갯벌 습지보호지역), 대산지방해양항만청.
  19. 민병미, 1998, 한국 서해안의 해안식생에 대하여, Ocean Research, 20, 167-178.
  20. 박경훈, 유주한, 송봉근, 2010, 경상남도 남해안 연안습지의 생태적 가치평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4(4), 395-405.
  21. 박종민, 박을수, 2001, 해안사구 녹화식물 개발을 위한 순비기나무의 생장특성 및 번식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5(1), 57-68.
  22. 심현보, 조원범, 최병희, 2009, 한반도 해안염습지와 사구 염생식물 분포, 한국식물분류학회지, 39(4), 264-276.
  23. 안영희, 2003, 신두리 해안 사구지 식생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6(6), 29-40.
  24. 안영희, 신경미, 2006, 제부도 갯벌식생과 소산 식물상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1), 52-69.
  25. 양효식, 1999, 전남 해안 지역에 분포하는 폐염전 염생식물의 군락분류학적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22(5), 265-270.
  26. 유주한, 2010, 형산강의 경주 도심구간에 분포하는 식물상과 특성, 경주연구, 19(2), 79-93.
  27. 유주한, 박경훈, 윤영철, 송봉근, 2009, 경상남도 연안습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 한국습지학회지, 11(2), 29-38.
  28. 이병구, 2004, 갯벌 생태와 환경, 일진사, 124-141.
  29. 이영노, 2006, 새로운 한국식물도감(I, II), 교학사.
  30. 이우철, 1996, 원색 한국기준식물도감, 아카데미서적.
  31. 이창복, 2003, 원색 대한식물도감(상, 하), 향문사.
  32. 임양재, 박기현, 심재국, 1982. 한국에서의 Raunkiaer 생활형의 지리적 분포, 기술과학연구소논문집, 9, 5-20.
  33. 정용규, 김원, 2001, 해당화군목의 군락분류학적 재고, 한국생태학회지, 24(5), 267-271.
  34. 조계중, 2010, 보호구역으로서의 연안습지의 현황 평가 및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태안해안국립공원 및 순천만 지역의 주민의식을 기초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4(2), 130-138.
  35. 한영훈, 이용호, 김종봉, 조광진, 2013, 동해안 해안사구의 식생특성,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6(1), 55-69. https://doi.org/10.13087/kosert.2013.16.1.055
  36. 홍선기, 김재은, 오강호, 임현식, 2013, 전남 섬갯벌의 생태적 가치와 도립공원 지정의 타당성, 한국하천호수학회지, 46(1), 41-52. https://doi.org/10.11614/KSL.2013.46.1.041
  37. 환경부, 2008,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장원 선정을 위한 연구-3차년도-, 환경부.
  38. 해양환경관리공단, 2011, 연안습지조사 조사지침서, 해양환경관리공단.
  39. 해양수산부, 2005, 갯벌 생태계조사 및 지속 가능한 이용방안 연구, 해양수산부.
  40.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lolgie 3rd ed, Springer, Wien.
  41. http:.//www.seochoen.go.kr
  42. http://map.naver.com
  43. http://www.meis.go.kr
  44. Melchior, H., 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Gebruder Borntraeger, Berlin.
  45. Raunkiaer, C., 1934, The Life Forms of Plants and Statistical Plant Geography, Oxford Univ. Press, London.
  46. Westhoff, V., E. van der Maarel, 1973, The Braun-Blanquet Approach, The Hague, Boston.

Cited by

  1. Mapping of Vegetation Using Multi-Temporal Downscaled Satellite Images of a Reclaimed Area in Saemangeum, Republic of Korea vol.9, pp.3, 2017, https://doi.org/10.3390/rs9030272
  2. Study on Flora Distributed of Nearby Island and Yubu-do in Seocheon, Chungnam vol.19, pp.3, 2016, https://doi.org/10.13087/kosert.2016.19.3.11
  3. The Satellite Observation for Spatial Changes of Vegetation in Saemangum Tidal Flat vol.23, pp.2, 2014, https://doi.org/10.14249/eia.2014.23.2.150
  4. Studies on Coastal Landforms by analyzing superficial sediments from the mouth of Gum River to Yubu Island, Janghang Coastal area vol.27, pp.1, 2013, https://doi.org/10.35149/jakpg.2017.27.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