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arbon Emission Study of Transplanting Large Trees from Gangwon Province to Seoul

강원지역 대형 조경수 서울 이식에 따른 탄소 배출 연구

  • Choi, Yoo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
  • Ahn, Tong-Mah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Rural Systems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ee, Jae-Wo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최유 (서울대학교 대학원) ;
  • 안동만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
  • 이재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
  • Received : 2013.06.10
  • Accepted : 2013.08.01
  • Published : 2013.08.31

Abstract

Korean housing developers are in a very competitive market and their way of attracting buyers is landscaping better than competing firms do. Thus, transplanting larger pine trees(Pinus densiflora S. et. Z.) is in vogue. A typical case is a pine tree about 30-year old, 35 diameters at breast height, transplanted 223 km afar from the Gangwon Province to Seoul. We estimated and compared carbon emissions during the whole transplanting works, and carbon intake by the tree if it survives 50 more years on site. Findings are; first, a large tree will take up and sequestrate approximately 90 kgC if it survives 50 more years. Second, transplanting works emit approximately 113.69 kgC, which is about 1.26 times of its possible future intake of carbon. Landscaping is a legal requirement for the purposes not only of aesthetics but also of environmental quality. Transplanting larger trees that came from a dam or a road building site may be inevitable and acceptable. However, transplanting larger trees long distance was evaluated to be harmful to the environment. It is strongly recommended to prohibit transplanting large trees. Landscape professionals need to guide clients to have desirable consumer attitude.

국내 건설시장은 경쟁사보다 더 나은 조경 환경을 제공하여 소비자를 유치하려 하고, 그래서 대형 소나무(Pinus densiflora S. et. Z.) 이식이 인기를 얻고 있다. 주로 행해지는 이식 사례로 수령 30년, 흉고직경 35cm인 강원지역 소나무를 223km 떨어진 서울로 이식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본 연구는 해당 사례 이식 과정 탄소배출량과 수목을 생산지에 그대로 둘 경우 일생 탄소저장량(50년 가정)을 추산하고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30년생 강원지역 소나무 1그루를 이식하지 않을 경우, 50년을 살면서 저장할 탄소량은 약 90kgC/그루였다. 둘째, 이식 과정 장비 및 인력 탄소배출량은 약 113.69kgC/그루로, 여생 동안 탄소저장량보다 약 1.26배 많게 나타났다. 댐이나 도로 건설현장 같은 곳 대형목을 인근으로 이식하는 경우는 불가피하다 할 수 있다. 그렇지 않은 대형목 이식은 환경을 저해할 수 있다.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 대형목 이식을 금하는 정책과 규제가 필요하다. 조경 전문가는 긴 안목으로 작은 조경수를 심어 키우는 '시간의 조경'을 주도하고, 소비자 인식을 바른 방향으로 이끌어야 하겠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태진, 김학범(2001) 컨테이너에 의한 조경수 생산방식이 이식 후 활착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경학회지 29(1): 152-160.
  2. 대한건설협회(2013) 2013년 건설공사 표준품셈(토목부문, "제 4장 조경공사"), 서울: 대한건설협회. pp. 118-130.
  3. 박원규(2008) 조경적산학("제 9장 조경시설물 기반공사 적산, 9-4. 기계화시공의 적산"). 파주: 도서출판 조경. pp. 169-172.
  4. 박은진(2009) 도시 수목의 이산화탄소 흡수량 산정 및 흡수효과 증진 방안. 경기개발연구원 보고서.
  5. 박은진, 강규이(2010) 경기도 도시가로수의 탄소저장량과 연간 이산화탄소 흡수량 산정.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4(5): 591-600.
  6. 손영모, 이경학, 김래현, 서정호(2006) 생장모니터링을 통한 임분변화예측 및 탄소흡수, 저장량 평가. 임산에너지 25(2): 42-48.
  7. 임원현, 김용수(2001) 아파트단지 조경수목의 식재하자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9(2): 61-67.
  8. 임재홍, 이재근, 김학범(2002) 대형수목의 이식공법: 천안시 팽나무와 안동시 은행나무 사례. 한국조경학회지 30(4): 92-104.
  9. 조현길(1999) 도시식생의 관리에 의한 에너지소비 및 탄소방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3(2): 101-108.
  10. 조현길, 안태원(2001) 도시 침엽수에 의한 연간 $CO_{2}$ 흡수 및 대기정화: 소나무와 잣나무를 대상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4(3): 175-182.
  11. 조현달(2003) 개발예정지 자생수목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경남과학기술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IPCC(2006) 2006 IPCC Guidelines for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13. Jo, H. K. and E. G. McPherson(1995) Carbon storage and flux in urban residential greenspace.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45: 109-133. https://doi.org/10.1006/jema.1995.0062
  14. Nowak, D. J., J. C. Stevens, S. M. Sisinni and C. J. Luley(2002) Effects of urban tree management and species selection on atmosphere carbon dioxide. Journal of Arboriculture 28(3): 113-122.
  15. Strohbach, M. W., E. Arnold and D. Haase(2012) The carbon footprint of urban green space: A life cycle approach.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04(2): 220-229. https://doi.org/10.1016/j.landurbplan.2011.10.013
  16. http://www.cmpi.co.kr/main/index.asp
  17. http://www.co2zero.kr/
  18. http://www.ecosi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