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Needs Analysis of Distance Education Students for Using e-Textbooks on Smartpads

원격대학 학습자의 연령 및 성별에 따른 스마트패드용 전자교재에 대한 인식의 차이

  • Received : 2013.07.15
  • Accepted : 2013.08.21
  • Published : 2013.10.28

Abstract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needs of open university students for e-textbooks by conducting focus group interviews (FGIs) and surveys in order to develop an e-textbook that is suited to their needs. The FGIs revealed that readability and portability of e-textbooks were the most important features for students. The surveys showed that of the 276 respon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only a small number owned smartpads; however, a sizeable number of students intended on purchasing the device in the future. In addition, students' smartpad utilization, time spent reading e-books, and time allotted for studying as opposed to leisure and commercial use of social network services on the smartpad were examined. Students attached importance to the portability, weight, and price of the e-textbook; moreover, they considered the device's ability to support interaction in a variety of ways and rich multimedia resources to be an advantage. Finally, students also felt that e-textbooks should be less expensive than print textbooks; however, they were willing to pay a higher price, depending on the quality of the content.

이 연구는 원격대학 학습자의 연령 및 성별에 따라서 스마트패드용 전자교재 사용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분석한 것이다. 원격대학의 성인학습자들은 다양한 연령대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연령에 의한 변수를 고려해서 전자교재를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연구에서는 원격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스마트패드를 사용한 전자교재 개발에 대하여 초점집단 면담을 실시했다. 또한 스마트패드 사용경험이 있는 재학생 762명을 대상으로 전자교재의 사용의도 및 이용실태에 대한 내용을 분석했다. 이 중에서 남학생=343명(45%), 여학생=419명(55%)이었다. 또한 연령대는 20대=150명(19.7%), 30대=271명(35.6%), 40대=224명(29.4%), 50대 이상=117명(15.4%)이었다. 우선 학습자의 실제적인 요구를 파악하기 위하여 초점집단면담을 실시했으며, 전자교재를 설계할 때는 전자교재의 휴대성과 가독성이 가장 중요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스마트패드에 대한 이용실태를 보면, 20대와 30대에서 여가목적으로 스마트패드를 사용하는 경우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학습을 위한 용도로 사용한 것에 대해서는 연령이나 성별에 의한 차이가 없었다. 전자책 읽기를 위해서 스마트패드를 사용하는 실태를 조사했는데, 주로 20대와 30대의 이용시간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Simba Information, "E-textbooks in higher education 2010-2011," Rockville, MD: Author, 2010.
  2. 한국콘텐츠진흥원, "디지털교과서의 진화, 최근 동향과 전망", 문화기술심층리포트, 2012(3).
  3. M. C. Murray and J. Perez, "E-Textbooks are comingL are we ready?," Issue in Informing Science and Information Technology, Vol.8, 2011.
  4. 변호승, 류지헌, 송연옥, "디지털교과서 연구동향 분석", 교육연구논총, 제32권, 제1호, pp.121-142, 2011
  5. http://oald8.oxfordlearnersdictionaries.com/
  6. E. C. Elias, D. C. Phillips, and M. E. Luechtefeld, "E-books in the classroom: A survey of students and faculty at a school of pharmacy," Currents in Pharmacy Teaching and Learning, Vol.4, No.4, pp.262-266, 2012. https://doi.org/10.1016/j.cptl.2012.05.009
  7. 성대훈, 전자책 환상과 오해. Kmobile 전자책 대폭발: 2012 성공모델을 찾아라, 2012.
  8. E. W. Walton, Why undergraduate students chose to use e-book, Journal of Lirarianship and Information Science. in press.
  9. A. M. Embong, A. M. Noor, H. M. Hashim, R. M. Ali, and Z. H. Shaari, "E-Books as textbooks in the classroom,"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Vol.47, pp.1802-1809.
  10. 나일주, 최경애, 이성철, 박경선, 최효선, "원격대학 매체 도입 및 선정 모형 개발", 원격교육연구소 정책과제 10-04, 2011.
  11. 권진희, 윤정기, "방송대 워크북 효과 분석", 원격교육연구소 정책과제 09-10.,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