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Marketing Strategy for Unsold Apartments using Conjoint Analysis of Customer Preference

수요자 선호도 분석을 통한 미분양 아파트 마케팅 전략

  • Received : 2013.09.02
  • Accepted : 2013.10.18
  • Published : 2013.10.28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considering further marketing strategy to resolve unsold housing matters in private sectors through an analysis of preference factors for those housing customers. This study used one of the most widely-used research methods in marketing to figure out the preference factors for those customers and then it was categorized which factors are more or less important by conjoint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 the home buyers for the unsold apartments were more paying attention some social and financial benefits for instance, a decline of housing price and a guarantee of housing securities rather than geographical conditions and residential environment before they make the decision to purchase a home. Secondly, they concerned some factors such as the most importance in location and geographical condition which were easy access to the transportation. Furthermore, a standard of eco-friendly apartment buildings was essential matter in residential environment. The third, those properties were on the stocks of unsold homes so they more tended to buy their houses with lower price than the terms and conditions of housing payment. Finally, it was explored that the most efficient way to promoting them through housing exhibitions or presentations as the PR strategy.

본 연구는 미분양 아파트 수요자를 대상으로 선호요인을 분석하고 향후 민간측면에서 미분양 아파트 해소를 위한 마케팅 전략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미분양 아파트 수요자 선호요인을 도출한 뒤 컨조인트 분석을 통해 가장 중요하게 판단하는 요인과 상대적으로 포기할 수 있는 요인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미분양 아파트 수요자들은 주택 구매 선택에 있어 미분양에 따른 혜택(분양가 인하 및 보장제)을 입지환경 및 거주환경 보다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분양 아파트 수요자들은 입지환경과 관련해 대중교통 이용이 양호한 환경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며, 거주환경과 관련해서는 단지 내 친환경 수준을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분양 아파트인 만큼 가격전략에서는 납부조건 완화보다는 분양가 인하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홍보전략은 주택전시관이나 설명회를 통해 홍보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오, 수요자 선호도 분석을 통한 미분양 공동 주택 해소방안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2. 김덕례, 조명수, "주택건설시장 현안문제와 대응 방안", 건설경제, 통권66권, pp.56-67, 2011.
  3. 김선덕, "지역별 미분양 주택 분석과 대응 방안", 주택과 사람들, 제209권, pp.22-27, 2007.
  4. 김현아, "최근 민간주택 미분양 증가의 원인과 해결방안", 건설교통, 제25권, 제1호, pp.1-34, 2007.
  5. 조영선, 김종진, "미분양 아파트 해소 방안 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환경학회지, 제8권, 제2호, pp.241-251, 2010.
  6. 권순주, 미분양 주택자료를 이용한 주택수요의 가격탄력성 추정,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7. 박재룡, 유정석, "미분양 주택의 적체완화를 위한 정책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부동산연구, 제20권, 제1호, pp.263-280, 2010.
  8. 박정순, "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한 정보 가전 OSD의 사용성 평가",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권, 제2호, pp.53-63, 2002.
  9. 신혜성, 손정락, 김재준, "주택시장의 동태성 분석을 위한 시스템 사고의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지, 제6권, 제3호, pp.144-155, 2005.
  10. 송윤정, 미분양 주거용부동산의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 기법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11. 임정수, "최신 영화 VOD 이용자의 선호도에 대한 컨조인트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5호, pp.191-198,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5.191
  12. 장세웅, 미분양아파트 발생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13. 정창무, 김지순, "주택시장에서의 미분양 아파트의 역할에 대한 실증분석", 대한국토계획학회지, 제40권, 제2호, pp.81-91, 2005.
  14. 허재완, 김은경, "미분양주택의 시기별 분포특성 및 발생배경 비교", 부동산연구, 제19권, 제2호, pp.259-278, 2009.
  15. Kotler, Philip, Marketing Management, Prentice-Hail Inc, 7th ed. 1991.
  16. Peter, J. Paul and Jerry C. Olson, Consumer Behavior and Marketing Strategy, IRWIN Inc., 2007.

Cited by

  1. Do Consumers Care about the Energy Efficiency of Buildings? Understanding Residential Choice Based on Energy Performance Certificates vol.10, pp.11, 2018, https://doi.org/10.3390/su10114297
  2. Research on solving method of similar cases considering customer preference vol.11, pp.2, 2019, https://doi.org/10.1177/16878140188253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