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 Curriculum were utilized Group Activities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 Self-efficacy among Nursing Student

집단활동을 활용한 인간관계와 의사소통 교과목이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와 의사소통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봉은주 (전남과학대학교 간호학과)
  • Received : 2013.08.19
  • Accepted : 2013.09.24
  • Published : 2013.10.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n nursing student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 self-efficacy when their group activities were performed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 curriculum. This study employed one group pre test-post test study design. This course consisted of a total of 13 sessions, and was conducted for 100 minutes per session every week from September to December in 2012. Questionnaires were from Relationship Change Scale of Shlein and Guerney and Communication Self-efficacy developed by Ayres. Also,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whole 161 case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paired t-test along with PASW 18.0.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score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 curriculum self-efficacy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light of these results, the application of this curriculum has an effect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 self-efficacy among nursing students. Accordingly, this study can be provided as basic data in order to develop and utilize the curriculum that can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of nursing students in nursing education.

본 연구는 집단활동을 활용하여 인간관계와 의사소통 교과목이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와 의사소통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한 단일군 사전-사후 실험연구이다. 집단활동을 활용하여 인간관계와 의사소통 교과목을 편성한 후 2012년 9월부터 12월까지 매주 100분씩, 13회기로 인간관계와 의사소통 교과목을 운영하였다. 연구도구는 Shlein과 Guerney의 대인관계 측정도구와과 Ayres가 개발한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도구를 사용하였다. 총 161부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고, PASW 18.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와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집단활동을 활용한 인간관계와 의사소통 교과목 운영이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와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간호교육에서 간호대학생들의 의사소통 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과목을 개발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근거자료로 제시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세현, 입원환자가 지각한 간호사의 의사소통과 신뢰 및 간호서비스 민족,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2. 박예린,양수, "간호관리자의 촉진적 의사소통과 간호사의 조직몰입, 직무만족 및 임파워먼트", 정신간호학회지, 제17권, 제3호, pp.342-352, 2008.
  3. 서이아, 박경민, 이병숙, "일반간호사의 조직 내 의사소통 유형과 직무만족 및 간호업무성과의 관계", 한국보건간호학회지, 제17권, 제2호, pp.317-332, 2003.
  4. 김선아, 박정화, 이현희, "집단프로그램 통합적 의사소통 교과목 운영의 개발과 효과", 한국간호과학회지, 제34권, 제3호, pp.412-420, 2004.
  5. 구현영, 임형성, "학제별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민족도에 미치는 영향 비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호, pp.311-321, 2013.
  6. 박정원, 최명숙, "간호대학생의 자의식, 의사소통 능력과 대인관계 성향에 관한 연구", 정신간호학회지, 제18권, 제3호, pp.351-360, 2009.
  7. 김희숙, 박완주, 하태희,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2권, 제2호, pp.229-237, 2006.
  8. 김승희, 정신 간호사의 촉진적 의사소통 양상과 의사소통 능력에 대한 자기 효능감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9. 박향진, 정신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자기효능감과 공감능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10. 한국간호교육평가원, 성과기반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교수워크숍, 한국간호교육평가원, 2012.
  11. 원정숙, 신현숙, "소집단 역동을 이용한 간호대 학생의 의사소통 훈련프로그램의 효과", 동서간호학연구지, 제14권, 제2호, pp.60-66, 2008.
  12. 김선아, 한나래, 박정화, 김민정, 김현래, "의사소통 교과목에서 소집단활동과 음악활동의 적용 및 평가", 정신간호학회지, 제19권, 제3호, pp.307-317, 2010.
  13. 주지선, 의사소통 훈련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의사소통과 인간관계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14. 신경아, 이은숙, "의사소통 훈련 집단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대인 의사소통과 인간관계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7권, 제2호, pp.149-158, 2011. https://doi.org/10.5977/JKASNE.2011.17.2.149
  15. 임승주, 박은영, "사티어 의사소통 교육에 참여한 간호대학생들의 의사소통과 인간관계 변화 경험",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9권, 제2호, 2013.
  16. 현미열, 박은옥, "인간관계와 의사소통 교과목의 효과 측정",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4권, 제1호, pp.5-11, 2008. https://doi.org/10.5977/JKASNE.2008.14.1.005
  17. 박영숙, 임숙빈, 김현숙, "자기이해를 강화한 의사소통 간호교육의 효과", 정신간호학회지, 제18권, 제3호, pp.361-368, 2009.
  18. S. Shiein, B. Guerney, and L. Stover,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cal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1971.
  19. 전석균, 정신분열증 환자의 재활을 위한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20. 서혜석, "대학생의 대인관계변화 향상을 위한 자아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청소년보호지도연구, 제7권, pp.35-56, 2005.
  21. H. W. Ayres, Factors Related to Motivation to Learn and Motivation to Transfer Learning in a Nursing Popul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2005.
  22. R. Parry, "Are Interventions to Enhance Communication Performance in Allied Health Professionals Effective, and How Should They be Delivered? Direct and Indirect Evidence,"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ling, Vol.73, No.2, pp.186-195, 2008. https://doi.org/10.1016/j.pec.2008.05.029
  23. B. A. Mullan and E. J. Kothe, "Evaluating a Nursing Communication Skills Training Course: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Related Ability, Satisfaction, and Actual Performance," Nurse Education in Practice, Vol.10, pp.374-378, 2010. https://doi.org/10.1016/j.nepr.2010.05.007
  24. 오연재,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능력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25. E. R. O'Shea and S. H. Campbell, "A Descriptive Analysis of Nursing Student Communication Behaviors,"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Vol.9, pp.e5-e12, 2013. https://doi.org/10.1016/j.ecns.2011.05.013

Cited by

  1.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Assessment Tool for Measuring Communication Skills in Nursing Simulation Education vol.28, pp.1, 2016, https://doi.org/10.7475/kjan.2016.28.1.95
  2. Effects of Organizational and Interpersonal Relations on Job Satisfaction of Social Workers vol.9, pp.6, 2018, https://doi.org/10.13106/ijidb.2018.vol9.no6.25.
  3. Effects of Communication Empowerment Program Based on Situated Learning Theory for Nursing Students vol.48, pp.6, 2018, https://doi.org/10.4040/jkan.2018.48.6.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