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Longitudinal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s and Perspectives of the Self-Reliance Program Participants - A Grounded Theory Approach

자활제도 참여자의 자활 경험과 전망에 대한 종단적 질적 연구 - 근거이론 분석을 중심으로

  • 조준용 (한림대학교 사회복지학부)
  • Received : 2013.09.03
  • Accepted : 2013.09.27
  • Published : 2013.10.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and perspectives of the self-reliance program participants through a longitudinal qualitative study from 2006 to 2012. Based on Grounded theory approach, it examines how participants managed their lives up to now status. Through open-coding process, 181 meanings were identified. Paradigm model shows that the goal of the self-reliance program can be viewed as causal condition. However, contextual factors such as poverty experiences and child-support affected the self-reliance program participants to adapt and stay in the program rather than actively participate in the market. The finding shows that the meaning of self-reliance are differently understood by policy makers and self-reliance program participants.

본 연구는 2006년부터 2012년까지 이루어진 자활 참여자의 자활 경험과 전망에 대한 종단적 질적연구이다. 연구자는 총 12인에 대한 심층면접 자료에 대해 근거이론 분석을 시도하였다. 개방코딩 결과 삶의 경험, 자활의 경험 및 성공과 실패, 변화 및 자활 전망에 대해 총 181개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축코딩을 통한 패러다임분석에서 자활 성공의 인과적 조건으로 일과 교육의 기회 및 자활을 위한 노력이 제시되었다. 중심현상은 자활 제도에 적응하며 현상유지와 안주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에 대한 맥락적 조건들은 피하고 싶은 빈곤 경험 및 안정적 자녀양육으로 나타났다. 공동체 실패를 경험한 경우, 내부의 갈등과 수익창출 실패가 맥락적 조건으로 작용하였다. 중심현상에 대한 상호작용 전략은 부족한 자활공동체 지원과 통합급여 방식이라는 중재적 조건을 통해 촉진되었다. 이러한 중재적 조건 하에서는 공동체로 독립하는 것은 위험으로 인식되어, 제도의 목표를 향한 인과적 조건과 제도에 안주하려는 중심현상간의 괴리가 발견되었다. 이러한 분석은 정책 입안자와 참여자가 생각하는 자활의 의미가 다를 수 있으며, 현행 자활모델이 보다 참여자가 처한 상황을 반영하여 현장중심의 자활유인을 제시해야 한다는 정책적 함의를 제공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교성, "사회정책 빈곤연구의 동향과 과제", 한국사회정책, 제18권, 제1호, pp.43-82, 2011.
  2. 김운기, 정민숙, "지역자활센터 종사자의 내부마케팅, 사회적 교환관계, 개인특성이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조직몰입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2호, pp.263-276,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2.263
  3. 백학영, 고미선, "자활사업 참여자의 자활사업에 대한 인식과 노동시장 진입 전망에 관한 연구: 여성가장의 자활사업 참여경험을 중심으로", 사회 복지정책, 제30권, pp.83-114, 2007.
  4. 백학영, 조성은, "자활사업 참여자의 자활경로와 자활과정에서의 전략적 선택에 대한 질적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2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
  5. 백학영, 조성은, "자활사업 참여자의 수급 지위와 노동시장 지위 변동", 사회복지연구, 제43권, 제1호, pp.143-178, 2012.
  6. 손능수, "국민기초생활보장 자활사업의 효과성 평가: 대구광역시 자활후견기관의 자활사업을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제17권, 제3호, pp.729-759, 2005.
  7. 엄태영, "자활사업 실무자에 대한 만족도와 동료 지지가 여성 자활근로 참여자의 정서적 자활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제18권, pp.1-24, 2008.
  8. 유태균, 김경휘, "자활사업 중도이탈집단과 참여 지속집단의 특성 및 중도이탈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연구, 제30권, pp.39-70, 2006.
  9. 유태균, 윤성원, "공공부조 수급자의 자활사업 참여 이후 삶에 관한 탐색적 고찰", 사회복지정책, 제39권, 제1호, pp.85-108, 2012.
  10. 이상록, 진재문, "지역사회 탈빈곤 정책의 효과 분석: 경남,전북지역 자활후견기관 운영의 성과 및 한계 분석과 개선방안의 모색", 한국사회복지학, 제52호, pp.241-272, 2003.
  11. 이영철, 김소정, "자활사업 집행기관이 자활사업 참여자의 자활효과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연구, 제40권, 제2호, pp.227-252, 2009.
  12. 이은주, "근로빈곤층의 삶의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근거이론 분석", 사회복지정책, 제34권, pp.331-356, 2008.
  13. 이태진, 2008년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자활기반조성에 대한 모니터링 및 평가: 수급자 및 전담 공무원 대상 질적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8.
  14. 이형하, 조원탁, "한국 자활사업의 자활효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경제적, 사회적, 정서적 자활 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제20호, pp.217-244, 2004.
  15. 전보경,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생산적 측면에 관한 연구: 자활사업의 효과성 분석을 중심으로", 아태연구, 제2권, pp.57-70, 2003.
  16. 정원오, 김진구, "자활사업에 대한 참여자들의 주관적 평가와 자립전망: 경기지역 참여자들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제28권, pp.35-67, 2005.
  17. 최종혁, 김수완, "공식화된 빈곤층의 자립의지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14권, 제4호, pp.165-200, 2012.
  18. 홍현미라, "사회복지 거시실천에서의 질적 평가 연구, 그 절차와 방법에 대한 탐색",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13권, 제3호, pp.292-318, 2011.
  19. A. Bryman, Qunatity and Quality in Social Research, Routledge, 1988. 홍동식․조정문․고승한 공역, 사회연구에 있어서 양적방법과 질적 방법, 전문출판사, 1992.
  20. J. Jo,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 in Korea: Effects on Poverty and Social Development,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2007.
  21. D. K. Padgett, Qualitative Methods in Social Work Research: Challenges and Rewards, Thousand Oaks: SAGE Publications Inc, 1998.
  22. C. Park and H. Lee, "What Makes A Case Study Really Qualitative?: Show Me Your Evidence, Please!," English Teaching, Vol.65, No.4, pp.81-103, 2010.
  23. A. Rubbin and E. Babbie, Research Methods for Social Work (5th Edition), Thomson/Brooks, 1995.
  24. J. Saldana, Longitudinal Qualitative Research: Analyzing Change Through Time, Altamira Press, 2003.
  25. J. Saldana, Fundamentals of Qualitative Research: Understanding Qualitative Research.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26. A. Strauss and J. Corbin,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Thousand Oaks: Sage Publications,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