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acial Expression Research according to Arbitrary Changes in Emotions through Visual Analytic Method

영상분석법에 의한 자의적 정서변화에 따른 표정연구

  • 변인경 (충북보건과학대학교 작업치료과) ;
  • 이재호 (서울여자대학교 멀티미디어학과)
  • Received : 2013.07.18
  • Accepted : 2013.08.26
  • Published : 2013.10.28

Abstract

Facial expressions decide an image for the individual, and the ability to interpret emotion from facial expressions is the core of human relations, hence recognizing emotion through facial expression is important enough to change attitude and decisions between individuals within social relations. Children with unstable attachment development, seniors, autistic group, ADHD children and depression group showed low performance results in facial expression recognizing ability tasks, and active interventions with such groups anticipates possibilities of prevention and therapeutic effects for psychological disabilities. The quantified figures that show detailed change in position of lips, eyes and cheeks anticipates for possible applications in diverse fields such as human sensibility ergonomics, korean culture and art contents, therapeutical and educational applications to overcome psychological disabilities and as methods of non-verbal communication in the globalizing multicultural society to overcome cultural differences.

의식적 통제가 가능한 언어는 감정을 숨길 수 있으나, 얼굴 표정은 다양한 문화 속에서도 일관성을 가진다. 표정은 사람의 이미지를 결정하며, 표정에서 감정을 해석하는 능력은 대인관계의 핵심으로 사람의 태도와 결정을 바꿀 만큼 중요하다. 불안정 애착아동, 노인, 자폐증, ADHD 아동, 우울증집단은 얼굴 표정인식 능력과제의 수행결과가 낮아, 이들에 대한 적극적인 개입은 심리장애의 예방과 치료 효과의 가능성을 기대하기도 한다. 지금까지 연구는 주로 상대방 표정에 의한 정서읽기, 수용자의 감정변화가 중심이었으며, 자신의 정서를 스스로 나타내는 "자기표현 표정수행" 및 표정 변화에 대한 정량적 분석 연구가 미흡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상을 통한 표정의 정량적 분석법 개발을 목표로 8개의 정서 표정을 "자기표현 표정수행"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정량적 결과는 심리장애 극복을 위한 교육, 심리 행동 치료, 감성공학, 글로벌화 되는 다문화(multi-culture)사회에서 문화극복을 위한 사회관계 대안, 한국문화와 예술 콘텐츠의 다양한 분야에 적용을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송인해, 김혜리, 조경자, 이수미, 박수진 "얼굴표정을 통한 정서상태 읽기능력의 성인기 발달",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논문집, pp.96-97, 2008.
  2. P. Ekman and W. Friesen, "Constants across cultures in the face and emotion," Jou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17, pp.124-129, 1971. https://doi.org/10.1037/h0030377
  3. P. Ekman, Universal anf Cultureal Difference in Facial Expression of emotion, In J.K. Cole(ED), Nebraska symposium on motivation, Lincoin, NE: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1972.
  4. 김민우, 최준식, 조양석,"고려대학교 얼굴표정 모음집(KUFEC)과 의미 미분법을 통한 정서차원 평정",한국심리학회지, 제30권, 제4호, pp.1189-1211, 2011.
  5. 송인혜, 조경자, 김혜리, "정서차원과 얼굴제시 영역이 얼굴표정 인식에 미치는 영향: 성차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제13집-2, pp.197-214, 2008.
  6. J. Broucher and P. Ekman, "Facial areas and emotional information," Jounal of communication, Vol.25, pp.21-29, 1975.
  7. I. H. Fraser, G. I. Crag, and D. M. parker, "Reaction time measures of feature saliency in schemartic faces," Perception and Prycbopbysics, Vol.17, pp.429-438, 1990.
  8. N. Hanawalt, "The role of the upper and lower of the as the basis for judging facial expressions;II.In posed expressions and candid camera picture," Jounal of general Prycbology, Vol.31, pp.23-36, 1994.
  9. J. A. Hall, Natral sex differemces Communication accuracy and expressive style, Lomdon; Hopkins, 1984.
  10. 황유선, 신우열, 김주환, "감정의 변화가 상대방의 표정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커뮤니케이션학연구, 제18권, pp.1247-1271, 2010.
  11. 최영재, "정치인의 비언어적 행위와 이미지 형성:눈물효과에 관한 실험연구", 한국방송학보, 제19권, 제2호, pp.310-335, 2005.
  12. H. Friedman, M. Dimatteo, and T. Mertz, .Nonverbal communication on television new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Vol.6, No.3, pp.427-435, 1980. https://doi.org/10.1177/014616728063016
  13. B. Mullen, D. Futrell, D. Stairs, D. M. Tice, K. E. Dawson, C. A. Riordan, J. G. Kennedy, R. F. Baumeister, C. E. Radloff, G. R. Goethals, and P. Rosenfeld, "Newscasters' facial expressions and votingbehavior of viewers:Can a smile elect apresid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No.2, pp.291-295, 1986. https://doi.org/10.1037/0022-3514.51.2.291
  14. P. Ekman, Methods for measuring facial action, In K.R. Scherer&P, Ekman(Eds), Handbook of Methods in nonverbal behavior research,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2.
  15. 오경자, 배도희, 김여앙, 양재원, "아동 및 청소년의 사회불안과 얼굴표정 인식", 한국심리학회지, 제21권, 제3호, pp.533-546, 2002.
  16. 박기라, 고영건, "애착이 얼굴표정 인식의 정확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제30권, 제4호, pp.1129-1148, 2011.
  17. 박수진, 조경자, 이정현,"표정에 기반한 마음읽기 연구를 위한 과제 개발", 한국심리학회연차학술대회논문집, pp.56-57, 2007.
  18. 배도희, 조아라, 이지연, "ADHD 아동과 우울한 아동의 얼굴표정 및 음성을 통한 비언어적 정서 인식 능력," 한국심리학회지, 제23-3권, pp.741-754, 2004.
  19. L. M. Oberman, P. Winkielman, and V. S. Ramachandran, "Face to face: Blocking facial imicry can selectively impair recognition of emotional expressions," Social Neuroscience, Vol.2, pp.167-178, 2007. https://doi.org/10.1080/17470910701391943
  20. 장성리, 이장한, "정서적 공감과 얼굴 표정", 한국연구재단기초연구사업, 2009-0077529, pp.427-473, 2009.
  21. 이재홍, 최윤경, "얼굴표정이 우울정서 조절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논문집, pp.270-271, 2008.
  22. P. Ekman and W. Friesen, Unmasking the face: A guide to recognizing emotions from facial clues Engl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75.
  23. W. E. Rinn, Neuropsychlogy of facial expression, In R. S. Feldman & B. Rime(Eds). Fundamentals of nonverbal behavior. Nw\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
  24. 홍순구, "애니메이션 캐랙터의 표정연출 유형 연구", 한국콘텐츠학회지, Vol.6, No.3, pp.166-174, 2006.
  25. 안성혜, 백선욱, 성민영, 이준하, "감성캐릭터의 감정표현 기술의 사례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9, No.9, pp.125-133p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9.125
  26. 장욱, 최성규, 이태구 "모션 캡처와 키 애니메이션의 비교분석 - 얼굴표정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7, No.4, pp.160- 169, 2007. https://doi.org/10.5392/JKCA.2007.7.4.160
  27. 윤봉식, "인간의 감성기호 체계화를 위한 감정영역 범주화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지, Vol.5, No.2, pp.138-145, 2005.
  28. 김재호, "2D애니메이션의 감정 표현에 대한 기초 분석 - 일본애니메이션 TV물에 표현된 이미지 -", 한국콘텐츠학회지, Vol.6, No.3, pp.68-71, 2008.
  29. I. Eibi-Eibesfeldt, Ethology, the biology, the biology of behavior, New York, Rhinehart & Winston, 1970.
  30. J. Broucher and P. Ekman, "Facial areas and emotional information," Jounal of communication, Vol.25, pp.21-29, 1975.
  31. 홍희영, 이영, "FACS에 의한 한국영아의 미소 얼굴표정 분석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제16권, 제3호, pp.155-172,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