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3대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한 미래지향적 발명영재상 정립에 대한 연구

Modeling the Conception of Giftedness in Invention Based on Inventor's Three Main Aptitudes

  • 투고 : 2013.05.12
  • 심사 : 2013.06.28
  • 발행 : 2013.06.30

초록

본 연구는 "영재교육연구" 22권 3호에 게재된 '발명영재상 수립을 위한 발명영재의 특성 이해'가 밝히고 있는 발명영재상에 대해 발명영재교육 관련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델파이 조사연구를 중심으로 재검토한 결과를 담고 있다. "영재교육연구" 22권 3호에 게재된 기존 연구는 발명영재의 특성을 5개의 특성영역에 걸쳐 25개 요인과 80개의 요소로 제시하고 있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발명영재의 3대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12개 특성요인과 40개 특성요소로 발명영재의 특성을 설명하였다. 기존의 연구가 Gardner의 이론이 제시한 미래마인드를 기초로 발명영재의 특성에 대해 탐색적인 연구로써 발명영재의 고유한 특성을 드러내는 데 어려움이 있었던 반면, 본 연구는 발명영재의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하고 있어서 발명영재상 정립의 개념적 타당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기존의 연구에 비하여 약 절반 정도에 해당하는 12개 특성 요인과 40개 특성요소로 발명영재의 특성을 설명함으로써 발명영재의 판별을 위한 도구 및 행동특성 체크리스트의 개발 등 발명영재교육 현장에서의 실용성을 한층 높여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 useful model of giftedness in invention. Lee, et al.(2012a) with many other specialists in education for the gifted in invention had proposed a model which looked promising as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field of gifted education in invention, which has been absent for a decade after gifted education in the area of invention started in Korea. Results from two delphi studies and specialists numerous discussions by resulted in a more refined model of giftedness in invention. The new model is based on the inventor's three main aptitudes, which are Knowledge-Skill aptitude, Synthesis-Creativity aptitude, and Character aptitude. These three aptitudes are integrated with 12 factors and 40 behaviors. Through the outcome of this study, we can expect the following : The field of gifted education in invention can have the theorical foundation that practitioners and researchers can share for further practical and academical communication. The new model of giftedness in invention can be used as the basis for identifying promising students who are gifted in invention. Programs and Intervention for gifted students in invention can be designed or evaluated based on the new model.

키워드

참고문헌

  1.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07). 과학영재 발굴 육성 종합계획(08-12)(안). 국과위 본회의 제3호 과학영재. 2007. 8. 27.
  2. 맹희주, 서혜애 (2010). 발명영재교육 운영체제별 초등 발명영재 수업 내용 및 수업 활동 분석. 초등과학교육, 29(1), 1-12.
  3. 서혜애, 조석희, 김홍원, 정현철, 손연아 (2002). 공교육차원의 발명영재교육 체제 구축 방안 연구. 수탁연구 CR 2002-29. 한국교육개발원.
  4. 유영길 (2007). 발명영재반 운영 방안 모색. 국제과학영재학회, 1(2). 145-155.
  5. 육근철, 최석남, 한승록, 박상태, 류지영, 맹동술, 원희정, 김유상, 이재복, 천가경 (2011). 발명영재 선발을 위한 자유선택형 다단계 선발 모형 및 관찰 추천제. 영재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초교과형 발명영재육성. 특허청, 한국발명진흥회.
  6. 이재호 (2012). 2013년도 발명영재 선발도구 개발. 수탁연구. 특허청, 한국발명진흥회.
  7. 이재호, 박경빈, 진석언, 류지영, 이상철, 안성훈, 진병욱 (2012a). 발명 영재상 수립을 위한 발명영재의 특성 이해. 영재교육연구, 22(3), 551-573.
  8. 이재호, 박경빈, 진석언, 류지영, 이상철, 안성훈, 진병욱 (2012b). 발명 영재상 수립을 위한 발명영재의 특성요인 제안. 2012년 (사)한국영재학회 춘계 학술발표대회논문집 357-383.
  9. 최유현 (2007). 주니어 발명리더과정 발명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0(4). 171-193.
  10. 최유현, 이경화, 반재천, 임윤진, 강경균, 김동하, 박기문 (2010). 발명영재 선발도구 개발 연구. 특허청, 한국발명진흥회.
  11. 특허청 (2007). 발명영재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서울: 한국학교발명협회.
  12. Amabile, T. M. (1989). Growing up creative. New York: Crown.
  13. Datterman, D. K. (2002). General intelligence: Cognitive and biological explanation. In R. J. Sternberg & E. L. Grigorenko (Eds.), The general factor of intelligence: How general is it? (pp. 223-244). Mahwah, NJ: Erlbaum.
  14. Gallgher, J. J., & Courtright, R. D. (1986). The educational definition of giftedness and its policy implications. In R. J. Sternberg & J. E. Davidson (Eds.), Conceptions of giftedness (pp. 93-112).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 Gardner, H. (1983). Frames of mind.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New York: Basic Books.
  16. Gardner, H. (2008). 5 minds for the future, Cambridge, MA: Harvard Business School Publishing.
  17. Hany, E. A. (1994). The development of basic cognitive components of technical creativity: A longitudinal comparison of children and youth with high and average intelligence. In R. G. Subotnik & K. D. Arnold (Eds.), Beyond Terman: Contemporary longitudinal studies of giftedness and talent (pp. 115-154). Norwood, NJ: Ablex.
  18. Heller, K. A. (2002). Identifying and nurturing the gifted in math, science, and technology. Paper presented at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Gifted Education in Science in Pusan, Korea.
  19. Renzulli, J. S. (1977). Rating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uperior students. G/C/T, 19, 30-35.
  20. Spearman, C. (1927). The ability of man. London: Macmilan.
  21. Stankowski, W. M. (1978). Definition. In R. E. Clasen & B. Robinson (Eds.), Simple gifts: The education of the gifted, talented, and creative. Madison, WI: University of Wisconsin-Exension.
  22. Stanley, J. C. (1977). Rationale of the Study of Mathematically Precocious Youth (SMPY) during its first five years of promoting educational acceleration. In J. C. Stanley, W. C. George, & C. H. Solano (Eds.), The gifted and the creative: A fifty-year perspective, (pp. 75-112). Balti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3. Sternberg, R. J. (1985). Beyond IQ: A triarchic theory of human intelligence. Cambridge, M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Sternberg, R. J., & Lubart, T. (1993). Creative giftedness: A multivariate investment approach. Gifted Child Quarterly, 37(1), 7-15. https://doi.org/10.1177/001698629303700102
  25. Thurstone, L. L. (1938). Primary mental abilitie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6. VanTassel-Baska, J. (2002). Considerations in evaluating gifted programs. The Communicator, 33(2), 20-24.

피인용 문헌

  1. Comparison of Thinking Styles between Gifted Elementary Students in Science and Invention vol.33, pp.3, 2014, https://doi.org/10.15267/keses.2014.33.3.558